•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선행연구와 본 연구의 차별성

문서에서 농촌 주택정책 방안 연구 (페이지 47-51)

현재까지 농촌의 주택정책연구는 주로 지역개발, 정주여건 개선의 구성요소 중 하나로 연구되어 왔다. 농촌의 정주환경에 대한 연구는 농촌마을을 단위로 지역활성화 를 위한 사업 등에 대한 연구가 다수인 현황이다. 따라서 농촌가구의 주거와 주택정책 에 초점을 맞추어서 현황과 문제점을 도출하고 정책대안을 제시한 연구는 없었다고 할 수 있다.

연구 분야별로 살펴보면, 농촌의 주거여건에 대한 연구는 다방면으로 진행이 되어왔 으나, 본 연구와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는 주택정책에 대한 연구는 주로 농촌 주택의 시설에 대한 연구, 도시이주민들의 이농을 위한 설계, 공동주택 등의 건축적인 부분에 서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현재 농촌의 주택 및 주거환경을 점검해 보고 농촌거주가구의 주거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과정은 극히 미흡했다 고 보여진다.

따라서 본 연구는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가구의 주거 및 주택에 초점을 맞추어서

12

농촌지역의 주거품격 향상을 위한 농촌 주택정책 방안 연구

주거수준현황 및 주택정책을 분석하고, 현재를 진단하여 미래를 준비하기 위한 주택정 책의 방향을 제시하며 전략과 방안을 제시하려는 면에서 다른 연구와 차별성이 있다.

구 분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연구목적 연구방법 주요연구내용

주요 선행 연구

1

∙ 과제명: 농촌거주유형분석을 통 한 농촌주택 계획방향연구

∙ 연구자: 이해욱(2009)

∙ 연구목적: 농촌생활패턴을 반영 하는 농촌거주유형을 추출하 여, 새로운 농촌계획방향을 제

∙ 선행연구 검토

∙ 농촌거주자와 귀농예정자 설문 조사

∙ 기존 농촌주택의 설계도 분석

∙ 생활양식 및 주공간 요구 요인 및 군집분석

∙ 생활양식 및 주공간 요구분석

∙ 생활유형 설정

∙ 농촌주택 계획방향 제시

2

∙ 과제명: 농촌이주 도시민의 특성 과 공간적 선호에 대한 연구

∙ 연구자: 정일홍 외1(2010)

∙ 연구목적: 도시민의 농촌이주와 관련된 정책적 시사점 도출

∙ 2005년 인구주택총조사자료 분

∙ 농촌 이주확률 모형 추정

∙ 거리에 따른 도시민의 농촌이주 공간적 선호 분석

∙ 농촌의 수도권과의 거리에 따른 정책 차별화

∙ 결론

3

∙ 과제명: 농촌형 공동주택의 사회 적 함의와 공간구성 요소에 관 한 연구

∙ 연구자: 김강섭 외 1(2008)

∙ 연구목적: 농촌형 공동주택의 사회적 필요성 검토 및 공간구 성 요소 제안

∙ 농촌의 공동주택에 대한 수요분

∙ 농촌의 생활 유형분석

∙ 농촌지역 공동주택의 분포, 특 성, 문제점, 변화의 필요성, 공 간구성 요소 분석

∙ 농촌형 공동주택 개발안 제안

∙ 주거성, 커뮤니티, 친환경성, 농 촌성을 높이는 주거유형으로 정착할 수 있는 가능성 제시

∙ 결론

본 연구

∙ 농촌의 주거수준을 제고하기위 한 주택정책방안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음

∙ 국내외 문헌 검토

∙ 계량 및 통계기법

∙ 설문조사 및 현장조사

∙ 외국사례 분석

∙ 면담조사/외부전문가 활용

∙ 관련 전문가의 의견수렴

∙ 시스템 다이내믹스기법을 이용 한 농촌 주택 모형개발

∙ 정책 효과 분석

∙ 농촌거주가구의 주거실태 분석

∙ 농촌주택정책의 현황과 문제점 도출

∙ 외국의 농촌 주택정책 및 사례분 석을 통한 시사점 도출

∙ 농촌 주거수준 향상을 위한 전략 과 방안 제시

<표 1-1> 주요 선행연구 정리

chapter 2

농촌 주거여건과 주거실태

C | H | A | P | T | E | R | 0 2

농촌 주거여건과 주거실태 분석

이 장에서는 농촌과 농촌주택에 대하여 조작적으로 정의하고 이러한 정의에 의거하여 농촌의 주거여건변화를 분석하고 농촌에 거주하는 가구의 주거실태를 분석하여 농촌의 주거측면에서의 문제점과 시사점을 도출한다.

1. 농촌 및 농촌주택에 대한 개념정의

문서에서 농촌 주택정책 방안 연구 (페이지 47-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