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농촌거주 일반가구의 주거실태

문서에서 농촌 주택정책 방안 연구 (페이지 61-77)

(1) 분석자료 및 범위

농촌의 주거실태를 분석하기 위해서 주거실태조사자료(2010년, 일반가구)를 사용 한다. 상대적인 시사점을 얻기 위하여 전국과 농촌지역의 주거실태를 함께 비교 분석한다. 이때 지역구분은 농촌은 읍‧면부, 그리고 도시지역은 동부로 정의하여 분석한다. 2010년 주거실태자료에 의하면 전체 가구 중에서 농촌 거주가구는 약 19%에 해당하는 334만 가구이다.

26

농촌지역의 주거품격 향상을 위한 농촌 주택정책 방안 연구

구 분 가구 규모(가구) 비율(%)

전 국 17,339,558 100.00

농 촌 3,340,651 19.27

도 시 13,998,907 80.73

<표 2-9> 농촌거주 일반가구 규모

자료 : 국토해양부. 국토연구원. ‘2010년도 주거실태조사’.

소득계층구분은 「2010년도 주거실태조사」에서 조사된 가구소득 10분위 기준값 을 이용하여 저소득층(1분위~4분위), 중소득층(5분위~8분위), 고소득층(9분위~10 분위)으로 구분하였다. 이를 통하여 저소득층의 월평균 소득은 199만 원 이하, 중소득 층의 월평균 소득은 400만 원 이하, 고소득층은 400만 원 초과의 가구로 구분된다.

<표 2-10> 소득계층 구분

저소득층(1~4분위) 중소득층(5~8분위) 고소득층(9~10분위)

199만 원 이하 199만 원 초과 ~ 400만 원 이하 400만 원 초과 주 : 「2010년도 주거실태조사」의 소득은 세금 등을 제외한 실수령액을 조사한 결과이며, 통계청 가구동향조사

와는 차이가 있음

(2) 가구특성

① 가구주 연령/성/학력

농촌거주가구의 가구주 연령은 전국평균보다 높은 58세로 나타나고 있다. 전국 평균은 약 51.5세이고 농촌 가구주의 평균나이가 약 8세나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표 2-11> 지역별 가구주 연령

(단위 : %, 세) 구 분 20세

미만 20세

~29세 30세

~39세 40세

~49세 50세

~59세 60세

~69세 70세

~79세

80세

이상 평균

연령 전 국 0.08 2.23 12.24 17.94 20.86 18.75 20.48 7.42 100.00 51.52 농 촌 0.11 5.45 19.01 26.91 23.63 14.07 8.53 2.29 100.00 57.68 자료 : 국토해양부. 국토연구원. ‘2010년도 주거실태조사’.

농촌거주가구 중에서 여성가구주 가구의 비중이 높다는 것도 농촌의 고령화추이로 인한 현상으로 보인다. 농촌거주가구의 약 22%가 여성가구주 가구로 전국 약20%에 비해 높은 비율을 보이고 있다. 노인 중에서 특히 여성노인의 수명이 상대적으로 길기 때문에 농촌의 독거노인이 주로 할머니일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표 2-12> 지역별 가구주 성별

(단위 : %)

구 분

전 국 80.25 19.75 100.00

농 촌 77.55 22.45 100.00

자료 : 국토해양부. 국토연구원. ‘2010년도 주거실태조사’.

학력은 일반적으로 소득과 밀접한 연관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소득에 대한 시사점을 얻기 위하여 가구주의 학력을 살펴본 결과 농촌거주가구 약 36%의 가구주 학력이 초등졸 이하로 전반적으로 전국 평균에 비해 크게 차이가 난다. 전국 가구주가 대졸 이상의 학력을 나타내는 비율이 35%이나 농촌거주가구의 경우 약 19%로 나타나고 있다.

가구주의 연령별로 학력을 살펴보면 가구주의 연령이 높아질수록 학력차이가 크게 나고 있다. 농촌거주가구 65세 이상의 경우 약 74%가 초등졸 이하이고 30~45세 이상 가구주에서는 약 49%가 대졸 이상, 고졸 이상도 46%이다. 가구주의 연령이 45세~65세 가구의 경우 중졸과 고졸의 비율이 높았다. 농촌거주 30세 미만 가구주의 절반은 고졸의 학력을 나타내고 있다. 가장 학력이 높은 연령층은 30~45세이다.

<표 2-13> 지역별 가구주연령별 학력

(단위 : %) 구 분 초등학교 졸업

이하 중학교 졸업 고등학교 졸업 대학교 졸업

이상

전 국 16.76 12.20 35.65 35.38 100.00

농 촌 36.49 15.36 29.32 18.83 100.00

30세 미만 0.14 2.37 50.29 47.20 100.00

30세~45세 1.26 3.00 46.34 49.40 100.00

45세~65세 22.30 23.66 38.41 15.63 100.00

65세 이상 73.63 14.32 8.80 3.25 100.00

자료 : 국토해양부. 국토연구원. ‘2010년도 주거실태조사’.

28

농촌지역의 주거품격 향상을 위한 농촌 주택정책 방안 연구

② 가구원수

농촌의 가구규모를 평균 가구원수로 살펴본다. 농촌의 가구규모는 평균 2.63명으로 전국 2.87명에 비해 적은 수를 나타내고 있다. 농촌가구중에서 가장 가구의 비중이 높은 가구는 1인가구와 2인가구로 각 각 22.1%, 32.9%였다. 특히 1인가구의 비중이 전국에 비해 크게 높게 나타나고 있다.

농촌가구의 가구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가구주 연령별 가구규모의 비율을 살펴본 다. 농촌거주가구의 경우 가구주의 연령이 높을수록 1인가구의 비중이 급격히 증가하 고 있다. 즉 65세 이상의 경우 평균적으로 1.89명의 가구원으로 노인단독가구 혹은 노인부부가구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65세 이상인 가구의 1인가구 비율은 39.2%로 높은 비율로 나타나고 있다. 45세 이상 65세 미만의 구간에서도 농촌가구의 평균 가구원수는 2.92명으로 자녀를 교육과 직장 등의 이유로 분가시킨 가구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표 2-14> 지역별 가구주연령별 가구원수

(단위 : %, 명) 구 분 1인 가구 2인 가구 3인 가구 4인 가구 5인 가구 6인 이상 평균

가구원수 전 국 17.97 24.92 21.09 26.59 7.26 2.17 100.00 2.87 농 촌 22.12 32.86 17.78 18.13 6.19 2.92 100.00 2.63

30세 미만 36.44 29.10 27.72 6.02 0.72 0.00 100.00 2.05 45세 미만 8.28 14.49 22.72 39.86 11.07 3.57 100.00 3.42 65세 미만 12.54 30.94 23.46 21.69 7.99 3.38 100.00 2.92 65세 이상 39.19 45.47 8.35 2.89 1.87 2.23 100.00 1.89 자료 : 국토해양부. 국토연구원. ‘2010년도 주거실태조사’.

(3) 특성가구 규모

가구의 특성을 1인가구, 고령자가 있는 가구, 장애인이 있는 가구, 기초생활수급가 구로 구분하여 분포를 살펴본다.

농촌거주가구는 1인가구, 고령자가 있는 가구, 장애인이 있는 가구의 비율이 전국평 균보다 높고 기초생활수급가구의 비율은 전국평균과 비슷한 수준이다. 즉 1인가구의

경우 농촌거주가구중 약 22%가 1인가구로 전국 18%에 비해 약 4%p 더 높은 비율이 다. 그리고 고령가구의 비율은 전국가구의 약 1.6배에 해당하는 45%이다.

장애인이 있는 가구는 약 13%로 전국 평균 9%에 비해 높은 비율을 나타내고 있다. 농촌거주가구중에는 고령자 비율이 높으므로 고령으로 인해 장애를 갖게 된 1인가구의 비율이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특성가구의 특징을 살펴보기 위하여 가구주 연령별로 특성가구 분포를 분석해 보면 가구주 65세 이상가구의 약 39%가 1인가구이고 장애인이 있는 비율이 18%에 이르고 있다. 한편 30세 미만에서 1인가구의 비율이 36%로 높게 나타나고 있다.

농사의 성격상 여러 사람의 노동력을 필요로 하는 일이 많은데 1인가구의 비율이 의외로 높게 나타났다. 현재 만혼의 추세와 더불어 농촌총각의 문제를 다시금 생각게 된다.

<표 2-15> 지역별 가구주연령별 특성가구

(단위 : %) 구 분 1인가구 고령자가 있는 가구 장애인이 있는 가구 기초생활수급가구

전 국 17.97 27.03 9.00 3.51

농 촌 22.12 44.64 12.87 3.77

30세 미만 36.44 0.56 1.33 0.96

30세~45세 8.28 8.82 5.92 1.24

45세~65세 12.54 14.07 12.76 2.51

65세 이상 39.19 99.97 17.61 6.71

자료 : 국토해양부. 국토연구원. ‘2010년도 주거실태조사’.

(4) 경제적 특성

① 가구수지

농촌거주가구의 경제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월평균 소득과 생활비를 비교해 본다. 세후소득의 개념으로 농촌거주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약 220만 원이고 생활비는 약 131만 원으로 소득중 약 59%가 생활비로 소비되고 있다. 전국 평균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약 283만 원으로 62만 원의 차이가 난다. 전국평균가구의 생활비는 약 166만 원으로 소득 중 생활비의 비율은 전국이나 농촌거주가구가 모두 비슷한 수준이다.

30

농촌지역의 주거품격 향상을 위한 농촌 주택정책 방안 연구

그러나 주거관리비는 농촌이 23만 원, 전국 24만 원으로 비슷한 비용이 소비되어 농촌거주가구의 소득 중에서 주거관리비의 비중이 10%로 나타나고 있다. 주거관리비 는 비일상적인 수선유지를 제외하고 난방비 등의 주택과 관련된 소비를 나타낸다.

도시의 경우 저렴한 도시가스 등이 보급되어 있지만 농촌거주가구의 경우 대부분 기름보일러 등으로 운반비를 감안하면 오히려 더 부담이 크다고 할 수 있다.

가구주 연령별 가구수지를 살펴보면 가장 소득이 높은 연령층은 30세~45세 가구주 가구이다. 이 연령층은 소득이 약 310만 원으로 가장 높지만 생활비도 가장 많은 180만 원이 소비되어 소득 중 생활비의 비중이 약 58%에 이른다. 30세 미만의 가구는 소득은 그다지 많지 않지만(208만 원) 생활비의 소비가 적어서 소득중 약 49%만이 생활비로 소비되고 있다. 농촌 고령가구의 경우 약 113만 원의 소득 중 약 63%가 생활비로 소비되고 주거관리비도 소득의 약 14%가 사용되어 주거비의 부담이 큰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표 2-16> 지역별 가구주연령별 가구수지

(단위 : 만 원, %)

구 분 소득(A) 생활비(B) B/A 주거관리비(C) C/A

전 국 283.31 166.37 58.72 24.26 8.56 농 촌 220.68 130.60 59.18 22.63 10.26

30세 미만 207.58 102.54 49.40 17.45 8.41 30세~45세 310.14 180.07 58.06 26.23 8.46 45세~65세 275.55 162.41 58.94 27.08 9.83 65세 이상 112.94 70.77 62.66 16.21 14.36 자료 : 국토해양부. 국토연구원. ‘2010년도 주거실태조사’.

② 소득계층

전반적인 경제상황을 보기 위해서 소득분위에 따라 저소득, 중소득, 고소득으로 구분해 본다. 농촌거주가구의 약 50%가 저소득가구(소득 1~4분위)이고 39%가 중소득(소득 5~8분위), 약 11%가 고소득가구에 속한다. 전국평균과 비교해서 저소득 가구의 비율이 높고 중소득과 고소득가구의 비율은 낮게 나타나고 있다.

<표 2-17> 소득계층별 분포

(단위 : %)

구 분 저소득 중소득 고소득

전 국 36.36 45.29 18.35 100.00

농 촌 50.44 38.68 10.89 100.00

자료 : 국토해양부. 국토연구원. ‘2010년도 주거실태조사’.

③ 근무형태

소득의 안정성을 나타내는 한 가지 방법은 근무의 형태를 살펴보는 것이다. 지역별 가구주의 근무형태를 살펴보면 농촌거주가구의 경우 상대적으로 상용근로자의 비율 은 낮고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의 비율은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이는 농사의 성격상 작물의 종류나 경작의 규모에 따라 혼자 농사짓는 경우가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즉 농촌가구의 약 34%는 상용근로자인 반면 임시․일용근로자가 약 15%,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이 41%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전국 거주가구의 경우 상용근 로자가 약 51%인 것에 비해 대비가 된다.

<표 2-18> 지역별 근무형태

(단위 : %) 구 분 상용

근로자

임시·일용 근로자

고용원을 둔 사업주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

무급

가족종사자

전 국 50.80 18.30 9.63 20.70 0.58 100.00 농 촌 34.09 15.40 7.76 41.08 1.66 100.00 자료 : 국토해양부. 국토연구원. ‘2010년도 주거실태조사’.

(4) 주택 및 주거상태

① 주택유형

농촌거주가구의 주거실태를 알아보기 위해 거주 주택의 유형을 살펴본다. 농촌거주 가구의 62%가 단독주택에 거주하고 있고, 아파트 거주비율은 약 32%로 나타나고 있다. 전국평균과 비교해서도 농촌의 경우 단독주택의 비율이 높고 아파트, 연립, 다세대, 비거주용건물내 주택, 주택이외의 거처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문서에서 농촌 주택정책 방안 연구 (페이지 61-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