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생태정보학적 생물다양성 평가기술을 이용한 지도작성 방법론

생태정보학적 생물다양성 평가기술은 계통적 다양성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다양한 환 경요인의 변화를 함께 고려한 평가결과로 제시될 수 있다. 평가결과는 지수 및 등급 등으로 이해하기 쉽게 표현할 수 있는데, 유사하게 표현된 국내 생물다양성 관련된 지도로는 크게 생태·자연도와 도시생태현황 지도가 있다. 참고로 최근 국정과제의 일환으로 환경부에서 생태계서비스평가 지도를 작성하고 있지만, 생물 및 비생물요소의 다양한 평가결과가 독립 적으로 나오는바 본 연구의 비교대상에서는 제외하였다.

<표 3-2>에서 보듯이 생물다양성 관련 지도화 과정은 크게 1) 평가결과를 통해 등급화를 하고 이를 지도에 표기하는 방법과 2) 다양한 주제도를 중첩하여 분석한 결과를 지도에 제시하는 방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생태정보학적 생물다양성 평가지도 또한 기본적으로는 계통적 다양성 결과를 토대로 지도를 작성하기 때문에, 생태·자연도와 같이 평가 결과를 간단히 지도화하는 방법을 우선 검토할 수 있다. 또한 생물다양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다양 한 환경요소, 예를 들어, 기후변화, 토지피복도 변화, 개발사업 등에 대하여 계통적 다양성 평가결과의 교차 또는 공간화 후 중첩하여 분석하는 방법도 충분히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 다. 결국 지도화에 있어서는 먼저 공간화를 추진하고 공간화 완성 후 다양한 요인과의 융합 평가를 준비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84 ∣ 생태정보학적 생물다양성 평가기술 개발(Ⅱ): 생물다양성 지도를 통한 정책활용 방안

자료: 국립생물자원관(2020), “2019 국가생물종목록”, 검색일: 2020.1.31; GenBank, “BLAST”, 검색일: 2020.2.1을 바탕으로 저자 작성.

<그림 3-5> 국내 분류군별 생물종목록에 대한 GenBank 내 저장된 유전정보 현황

자료: 저자 작성.

<그림 3-6> 분류군별 계통도 작성에 관련된 기관 및 학회

86 ∣ 생태정보학적 생물다양성 평가기술 개발(Ⅱ): 생물다양성 지도를 통한 정책활용 방안

나. 생태정보학적 생물다양성 평가지도 작성 방법론

생태정보학적 생물다양성 평가기술을 활용함에 있어 기초적인 계통적 다양성 지도(안)는

<그림 3-7>과 같은 단계를 거쳐 작성할 수 있다. 지도는 생태·자연도처럼 계통적 다양성 평가결과를 그대로 지도화하는 방법이나 지수결과를 등급화하여 나타내는 방법으로 작성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지수결과를 그대로 지도화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먼저 생물종 수 및 개체 수 정보와 같은 생물자원조사 결과를 토대로 한 공간적 분포를 정리해야 한다. 2단계로는 유전정보와 관련된 국가 생물종목록에 대한 계통도가 완성되어 야 하며, 각각의 종마다 계통적 거리를 계산한 매트릭스를 구성해야 한다. 3단계로는 계통 적 매트릭스를 이용하여 자연환경조사(또는 목적에 따른 현황조사)에서 확인된 조사지역 (즉, 군집)의 분류별 관찰된 종의 계통적 거리의 총합을 계산한다. 마지막 단계에서는 계산 된 계통적 거리의 총합을 직접 또는 표준화한 값을 이용하여 지도화 작업을 완성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생물다양성 지도(안)는 계통적 다양성 평가결과를 활용한 가장 기본 적인 생물다양성 지도를 작성하는 방안이라 할 수 있다. 선행연구를 통해 제시한 서식지의 공간적 크기를 고려한 알파 다양성, 감마 다양성 그리고 서식지 간 생물종의 차이를 비교할 수 있는 베타 다양성 분석에 대한 결과로도 지도를 작성할 수 있다.

지도 작성을 위한 기초자료의 수집은 「도시생태현황지도의 작성방법에 관한 지침」96)처 럼 “기초 및 참고자료를 수집해야 하며, 필요 시 지역 특성을 고려하여 별도의 자료를 활용”

할 수 있어야 하고, 또한 “수집한 자료는 조사시작연도를 기준으로 최신의 자료”를 이용하여 야 한다. 생태정보학적 생물다양성 평가지도(안)는 생태·자연도, 전국자연환경조사 자료, 자자체 자연환경조사 자료,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자료, 수생태계 모니터링 자료 등과 같은 현황자료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필요 시 실시하는 현장조사는 「도시생태현황지도의 작성 방법에 관한 지침」에 제시한 현장조사 방법을 준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표 3-3 참조).

96) 국가법령정보센터, “도시생태현황지도의 작성방법에 관한 지침”.

자료: 저자 작성. <그림 3-7> 계통적 다양성 평가지도 작성과정

88 ∣ 생태정보학적 생물다양성 평가기술 개발(Ⅱ): 생물다양성 지도를 통한 정책활용 방안

생태정보학적 생물다양성 평가를 위한 계통적 다양성 지도는 국가생물종목록과 종의 유 전적 정보에 따른 계통도 결과를 이용하여 작성된다. 이에 현황조사 결과에 따라 작성되는 유사한 성격의 지도와 달리 국가 현황의 변화에 따른 결과 변화에 의해 분류군별 총 종 수 및 계통도거리의 총합 등이 변동될 우려가 있다. 다시 말해서 계통도상 새로운 종의 추가 는 종간거리를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산출된 계통도거리의 총합이 달라질 수 있다(그림 3-8 참조). 그러나 국가생물종목록이 변동됨으로 인하여 결과에 미치는 영향은 동일하기 때문에 결과에 미치는 영향은 없으며, 등급화로 지도를 도출할 경우에도 결과에는 영향을 주지 않을 것이다. 다만 등급화의 구간폭을 결정하는 데 있어 경계선에 속한 지역의 등급은 영향을 받을 수 있지만 도시생태현황지도의 갱신에 대한 규정을 준용하여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표 3-4 참조).

주: PD(phylogenetic distance)는 조사된 종의 계통도상 거리의 총합을 의미함.

자료: 저자 작성.

<그림 3-8> 계통적 생물다양성 계산

90 ∣ 생태정보학적 생물다양성 평가기술 개발(Ⅱ): 생물다양성 지도를 통한 정책활용 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