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국내에서의 생물다양성 지도 작성에 대한 추진계획은 󰡔제3차 국가생물다양성전략 (2014-2018)󰡕 ‘전략 5. 생물다양성 연구 및 관리체계 구축’ 중 ‘목표 14. 생물다양성 조사, 평가 및 모니터링’에서 생물다양성 조사·연구 강화에 따른 ‘한반도 생물다양성 정보지도 작성 및 공개’를 통해 수행되었다.97) 생물다양성 지도로서 생태·자연도, 해양생태도, 식물 분포도, 도시생태 현황도, 국립공원 생태자원지도 등 각종 생물다양성 정보지도 작성과 공 개를 추진하였다. 하지만 많은 정보를 중첩함에 따른 지도결과 해석의 어려움과 등급화에 따른 일반화로 인해 예외적인 상황에 대한 평가의 한계성 등이 노출되고 있는 상황이다.

앞서 사례분석을 통해 해외에서는 분류군별 현황을 파악할 수 있는 생물다양성 지도에 기초 한 정책적 활용을 추진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본 장에서는 기초적인 다양성 현황을 나타내는 국가 조류다양성 지도(안)를 작성하기 위 하여 제3차, 제4차 전국자연환경조사 자료와 국토교통부에서 제공하는 행정구역경계를 이 용하였다. 참고로 전국자연환경조사는 법정보호종(예, 멸종위기야생생물 등)에 대한 현황은 공개되지 않으나 본 연구에서는 서식위치를 특정하지 않기 때문에 다양성 평가를 위하여 모두 포함하여 계산하였다.

우선 공간 규모별 결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시군구, 읍면동(리) 등의 행정구역단위와 수치 지도상의 도엽별 베이스맵을 작성하였다. 제3차 및 제4차 전국자연환경조사에서 제공하고 있는 조류의 정보는 <표 3-5>와 같으며, 이 중 종 정보(국명, 학명)와 조사위치(경도, 위도) 를 추출하여 행정구역별 생물다양성을 계산하였다. 참고로 전국자연환경조사는 조사지역을 도엽별로 구분하여 수행되었다.

생물다양성은 종 풍부도(Species Richness), 종 다양도(Species Diversity)의 2가지 방 법으로 계산되었으며, 종 풍부도는 Margalef Index, 종 다양도는 Shannon-Weaver Index를 나타낸다. 기술된 생물다양성의 계산과 공간적 분석에는 Picante(R package)와 ArcGIS 10.4를 이용하였다.

제3차 전국자연환경조사 결과를 이용하여 기초적인 조류다양성 평가에 따른 조류다양성

97) 관계부처합동(2014), pp.25-44.

92 ∣ 생태정보학적 생물다양성 평가기술 개발(Ⅱ): 생물다양성 지도를 통한 정책활용 방안

지도(안)를 <그림 3-9>처럼 작성하였다. 참고로 전국자연환경조사는 전국을 824개 도엽 (1:25,000 지형도)을 단위로 실시되며, 전국을 동시에 조사할 수 없기 때문에 전국을 크게 3개 권역으로 구분하여 연도별로 실시한다.98)

도엽별로 구분된 종 다양도 결과는 강원도, 경북 북부, 충북 남부 그리고 전남 동부와 전북 남서로 이어지는 지역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종 풍부도가 높은 지역은 전국적 으로 고르게 분포하였다. 생물다양성 지도를 도엽기반으로 작성하는 데 있어 행정적 관리를 위해 작성된 도엽은 생태환경적 특성을 반영하는 데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다만 도엽 내 산림 또는 하천 등 조류가 선호하는 서식지의 비율이 높을 경우 다양성과 풍부도가 높은 것으로 사료되지만, 정확한 판단을 위해서는 도엽 내 서식지 특성에 따른 분포비율과 조사 경로 등 추가적인 정밀분석이 필요하다.

<표 3-5> 전국자연환경조사에서 제공되는 조류 정보

항목 제3차 제4차 예시

종 정보 국명 말똥가리

학명 Buteo buteo

과 정보 국문명 - 수리과

목 정보 국문명 - 매목

조사정보

도엽명 산청

도엽번호 357122

조사연도 2014

조사위치 경도 127:10:51.20

위도 34:58:28.00

자료: 국립생태원 에코뱅크, “전국자연환경조사”, 검색일: 2020.3.15을 분석하여 저자 작성.

98) 국립생태원(2017), pp.10-17, p.152.

자료: 국립생태원 에코뱅크, “전국자연환경조사”, 검색일: 2020.3.15을 분석하여 저자 작성.

<그림 3-9> 기초적인 평가기법(종 다양도, 종 풍부도)을 이용한 조류다양성 지도(안)

생물다양성 지도를 작성하는 데 있어 도엽이 가지는 공간적 크기를 해소하고 행정적 실효 성을 높이기 위해 행정구역단위로 결과를 구분하여 지도를 작성하였다. 행정구역단위에 따 른 공간적 크기는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크게 시군구 및 읍면동 수준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조류다양성 지도를 작성하였고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또한 시간에 따른 결과의 차이를 비 교하기 위하여, 제3차와 제4차 전국자연환경조사 결과를 함께 비교하였다.

먼저 시군구별 조류다양성 지도를 비교한 결과, 제3차 조사에서는 조류 종 풍부도가 중부 와 북부 그리고 일부 남부지역에서 높았으나, 제4차 조사에서는 충청남도와 전라북도 등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어 전반적으로 서쪽지역으로 이동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종 다양도는 제3차 조사에서는 강원-경기북부, 충북-강원, 남도 일대가 높았으나, 제4차 조사에서는 경 기도 남서부, 충남과 전북 인접지역 그리고 새만금 상류 일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표 3-6 참조).

94 ∣ 생태정보학적 생물다양성 평가기술 개발(Ⅱ): 생물다양성 지도를 통한 정책활용 방안

<표 3-6> 시군구별 기초적인 조류다양성 지도(안)

구분 제3차 자연환경조사

(2006~2013)

제4차 자연환경조사 (2014~2018)

풍부도

다양도

자료: 국립생태원 에코뱅크, “전국자연환경조사”, 검색일: 2020.3.15을 분석하여 저자 작성.

<표 3-7> 읍면동별 기초적인 조류다양성 지도(안)

구분 제3차 자연환경조사

(2006~2013)

제4차 자연환경조사 (2014~2018)

풍부도

다양도

자료: 국립생태원 에코뱅크, “전국자연환경조사”, 검색일: 2020.3.15을 분석하여 저자 작성.

96 ∣ 생태정보학적 생물다양성 평가기술 개발(Ⅱ): 생물다양성 지도를 통한 정책활용 방안

읍면동별 조류다양성 지도를 비교한 결과, 종 풍부도는 제3차 조사 시 강원 북부 일부 지역과 충북 북동부 그리고 지리산 일대가 높았고, 제4차 조사에서는 특정 패턴이 나타나지 않고 종 풍부도가 높은 지역이 전국적으로 흩어져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시군구별 조류다양성 지도에서 높았던 지역을 중심으로 분포하는 경향을 보였다. 종 다양도는 종 풍 부도와 유사하게 제3차 조사 시 강원 북부, 충북 북동부 그리고 지리산 일대가 높았고, 제4 차 조사에서는 마찬가지로 종 다양도가 높은 지역이 전국적으로 흩어져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종 풍부도가 높았던 지역은 대체로 다양도도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표 3-7 참조).

전반적으로 종 풍부도와 종 다양도에 대한 조류다양성 지도 결과는 공간적으로 조사지역 의 크기를 다르게 하였을 때(즉, 시군구별 vs. 읍면동별) 각각의 규모에서는 의미를 찾을 수 있으나 연계하여 분석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는 생물다양성 분석에 있어 조사지 역의 면적이 증가할 경우 다양성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기보다는 일정규모 이상에서 유지되 는 특징을 보여준 것이라고 사료된다. 또한 제3차 조사와 제4차 조사의 시간적 차이에 있어 시계열적 연속성이 낮았는데, 이는 조사의 횟수가 단 2회인 것과 조사시기 및 조사당일 날씨 등의 차이로 볼 수 있다. 더욱이 제3차 조사와 제4차 조사의 조사지역 선택방법 등의 차이점으로 판단되나, 좀 더 명확한 분석은 제5차 및 추후 후속조사 결과를 통한 장기적인 패턴변화를 통해 분석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다만, 정책적으로 기초적인 조류다양성 지도의 활용이나 다른 주제도 등에서의 활용을 위해서는 조시기간의 갭(gap)을 줄이기 위한 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