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2 오이

2.1. 수급 동향

2.1.1. 생산 동향

∙ 오이 재배면적은 2000년 7,269ha에서 2013년에 3,629ha로 절반가량 감소했으 나, 이후로는 연평균 6%의 증가 추세에 있다. 최근 오이 재배면적이 증가한 것은 주산지인 강원과 충청지역의 재배면적 확대, 타 과채류에서의 작목 전환 등이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 2019년 오이 재배면적은 전년보다 7% 줄어든 4,962ha이었다. 이 중 노지면적 비중은 20%로 2010년보다 2%p 증가한 반면, 시설면적 비중은 2010년보다 2%p 감소한 80%를 차지하였다.

그림 15-7. 오이 재배면적과 생산량

주: 2019년 생산량은 농업관측본부 추정치임.

자료: 통계청, 한국농촌경제연구원(KASMO)

∙ 지역별로 살펴보면, 2019년 재배면적 기준, 충청이 34%로 가장 크며, 다음으로 경기 22%, 영남 17%, 강원 16%, 호남 11% 순이다. 유형별로는 시설의 경우, 강원, 충청 비중이 2019년에 각각 11%, 35%로 2010년보다 확대되었으나, 경기, 영남,

418_ 산업별 현안・이슈와 전망

호남지역은 각각 23%, 19%, 13%로 2010년보다 감소하였다. 노지의 경우, 같은 기간 강원, 충청지역 비중이 각각 38%에서 41%, 14%에서 27%로 증가하였다. 경 기, 영남, 호남지역 비중은 같은 기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경기지역 비중은 같은 기간 무려 13%p 줄어 여타 지역보다 감소폭이 가장 컸다.

그림 15-8. 지역별 오이 재배면적 비중

(시설오이) (노지오이)

주: 광역시는 인근 도에 포함 시켰으며, 제주는 제외함.

자료: 통계청

∙ 오이 단수는 농가 재배기술 향상 및 다수확 품종 전환 등으로 꾸준히 증가하였고, 최근 3년에는 10a당 7,090kg 수준까지 확대되었다. 2019년 단수는 작황이 좋아 전년보다 8% 증가한 10a당 7,939kg으로 추정된다.

∙ 오이 생산량은 재배면적 변화 추세에 따라 비슷한 패턴으로 증감을 반복하고 있 다. 추세적으로 보면, 오이 생산량은 2000년 45만 4천 톤에서 2013년 25만 5천 톤으로 최저치를 기록하였으나, 이후 최근까지 연평균 6%의 증가 추세에 있다.

- 2019년 오이 생산량은 재배면적 감소에도 단수가 증가하여 전년보다 소폭 많은 39만 4천 톤 수준으로 추정된다.

과채 수급 동향과 전망 _419

2.1.2. 출하 및 가격 동향

∙ 전국 도매시장 기준, 2019년 오이 품종별 도매시장 반입 비중은 백다다기오이가 전 체의 58%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다음으로 가시오이(24%), 취청오이(14%) 순이다. 2015년과 비교하면, 백다다기오이와 취청오이의 비중은 2019년에 각각 2%p, 1%p 감소하였으나, 가시오이는 5%p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15-9. 전국 도매시장 오이 품종별 반입 비중 변화

단위: %

주: 반입량은 서울가락도매시장을 포함한 전체 33개 도매시장 실적자료이며, 기타는 노각오이, 피클오이, 캡오이 등임.

자료: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가락도매시장 기준으로 살펴보면1), 백다다기오이 반입량은 2000년 이후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특히, 2014~2017년에는 10만 톤을 상회하는 수준까지 크게 확대되었다. 2018년 반입량은 폭염에 따른 작황 부진으로 8만 8천 톤까지 줄었고, 2019년에는 전년보다 소폭 증가한 8만 9천 톤이었다. 취청오이 반입량은 백다다 기오이로의 품종 전환에 따른 재배면적 감소로 2000년 이후 최근까지 지속적인 감소세에 있다.

∙ 백다다기오이 실질가격은 최근 5년간 큰 변화 없이 2,670원/kg 내외를 유지하고 있다. 취청오이 실질가격은 2000년 이후 완만한 상승세에 있으며, 2019년 실질가 격은 반입량 감소로 전년보다 12% 높은 2,550원/kg이었다.

1) 2019년 기준, 가락도매시장 오이 반입량 비중은 전체의 30.7%로 전국 33개 도매시장 중 오이 취급 비중이 가장 높다.

420_ 산업별 현안・이슈와 전망

그림 15-10. 오이 품종별 반입량과 가격 추이

(백다다기오이) (취청오이)

주: 반입량 및 가격은 서울가락도매시장 실적자료이며, 가격은 월별 생산자물가지수(2015년=100)로 디플레이트함.

자료: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

∙ 백다다기와 취청오이의 최근 3년간(2017~2019년) 실질가격은 각각 2,660원/kg, 2,320원/kg으로 과거(2014~2016년)보다 각각 3%, 2% 상승하였다. 특히, 시설 에서 주로 재배되는 취청오이와 달리 백다다기오이는 여름철 주산지가 노지재배 를 하는 강원지역에 한정되어 있어 기상이변에 따른 가격 상승률이 큰 편이다. 두 품종의 실질가격 변화를 비교하면, 과거 대비 최근 7~9월 백다다기오이 실질가격 상승률은 34%로 같은 기간 취청오이 가격 상승률(11%)보다 크게 나타났다.

그림 15-11. 오이 품종별 월별 실질가격 추이

(백다다기오이) (취청오이)

주: 가격은 서울가락도매시장 실적자료이며, 월별 생산자물가지수(2015년=100)로 디플레이트함.

자료: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

과채 수급 동향과 전망 _421

2.1.3. 소비 및 소비자 구매행태

∙ 오이 1인당 연간 소비량은 2000년 9.5kg에서 2013년 5.0kg으로 연평균 5%의 감소 추세를 나타냈으나, 이후로는 연평균 7%의 증가율로 2019년에 7.6kg까지 회복되었다.

그림 15-12. 오이 1인당 연간 소비량

주: 1인당 소비량=(생산량+수입량-수출량)/인구수 자료: 통계청, 한국농촌경제연구원(KASMO)

∙ 소비자 조사결과, 소비자가 주로 구입하는 오이 품종은 백다다기오이가 74%로 가 장 높으며, 선호하는 품종도 백다다기오이가 65%로 가장 큰 비중을 나타냈다.

∙ 2013년 조사치와 비교하면, 백다다기오이 구입 비중은 66%에서 74%로 증가한 반면, 취청오이는 18%에서 10%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백다다기오이의 선호 비중은 2013년 62%에서 2015년 67%로 증가하였다가 2019년 65%로 소폭 감소 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 백다다기오이 소비자 가격이 비쌀 경우 취청오이로 대체 구입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 는 전체 응답자의 59%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가격 수준에 따라 백다 다기오이가 취청오이로 소비가 대체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소비자의 오이 구입 주기는 ‘2주일에 1회’ 35%, ‘한 달에 1회’ 34%로 나타나 구매 빈도가 비교적 적게 나타났다.

422_ 산업별 현안・이슈와 전망

과채 수급 동향과 전망 _423

절임 2,576 13,305 16,805 14,302 12,401 12,377 11,392 10,867 초산조제 6,165 4,358 3,795 6,732 8,569 7,746 8,914 9,329

전체 8,741 17,663 20,600 21,034 21,025 20,123 20,307 20,196

자료: 한국무역협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