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2.1. 수급 동향 2.1.1. 생산 동향

∙ 사과 재배면적은 2001년 2만 6,300ha에서 2017년에 3만 3,600ha까지 확대되 었으나 이후에는 감소 추세에 있다. 최근 재배면적이 감소한 것은 노목 위주의 폐 원과 타 작목으로 전환한 농가가 늘어난 것이 주요 원인이며, 2015년 이후 과수 화상병3)이 해마다 발생하면서 폐원 면적이 증가한 것도 원인 중 하나다.

∙ 지역별로는 영남 지역의 재배면적 비중이 69%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 충청(16%), 호남(10%), 경기・강원(4%) 순이다. 영남과 충청 지역의 비중은 2010년 대비 각각 3.2%p, 2.7%p 감소한 반면, 호남과 경기・강원의 비중은 동기간 각각 3.3%p, 2.7%p 증가하였다.

∙ 생산량은 신규 식재와 품종 갱신되었던 유목이 성목화되면서 2010년 46만 톤에 서 2015년 58만 3천 톤까지 크게 증가하였다. 2019년 생산량은 착과량도 많았고 생육 후기 과 비대가 원활하여 저온 및 폭염 피해가 컸던 전년보다 13% 증가한 53 만 5천 톤이었다.

그림 16-4. 사과 재배면적과 생산량 그림 16-5. 사과 지역별 재배면적 비중

자료: 통계청

3) 과수 화상병은 2015년 경기 안성의 배 과수원에서 최초 발견되었으며, 이후 경기, 충청, 강원 지역 사과 과원에서도 화상병이 발생하여 폐원조치된 바 있고, 최근 사과 재배면적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

과일 수급 동향과 전망 _503

504_ 산업별 현안・이슈와 전망

과일 수급 동향과 전망 _505 으로 지난 10여 년 동안 최고치를 기록하였고, 최근(2015~2017년) 가격은 kg당 2,320원으로 과거(2012~2014년)보다 18% 낮은 수준이었다. 최근 사과 가격이 낮았던 이유는 2015년 사과 생산량이 전년보다 23% 증가한 58만 톤을 기록한 이후 55만 톤을 상회하는 수준에서 생산 과잉 기조가 지속되었기 때문이다. 2018년 가 격은 생산량 감소(전년 대비 13%)로 전년보다 10% 상승한 kg당 2,640원이었다.

그림 16-6. 사과 생산량과 실질가격

주: 가격은 평균단가(거래금액/거래물량)이며, 월별 생산자물가지수(2015=100)로 디플레이트함.

자료: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가락시장), 통계청

∙ 2019년 8~12월 사과 평균 가격은 생산량 증가로 전년 동기간보다 19% 하락한 2,070원/kg 수준이다. 특히 추석(9.13) 특수에도 불구하고 8~9월 가격은 전년보 다 각각 18%, 31% 낮았다. 이른 추석으로 9월 상순 가격은 중・하순보다 높았으 나, 추석 이후 홍로 잔여 물량 출하가 많았고, 잦은 비로 착색과 당도 등 품질도 낮 았던 것이 가격 하락의 주요 원인이었다.

∙ 최근 사과 출하에 있어 주목할 만한 변화는 다음과 같이 두 가지로 제시할 수 있다.

첫째, 착색계 후지(미야마, 미시마, 미야비, 챔피온, 기꾸, 로얄후지 등) 품종 보급 이 확대되고 있다. 착색계 후지 품종은 착색과 당도 등 품질이 좋고, 농가수취가격 도 높아 일반・조숙계 후지 대신 착색계 후지로 품종을 갱신하는 농가가 늘어나는 추세다.

- 경북 안동농협 공판장 자료에 따르면, 일반 후지의 출하 비중은 2006년산 99%

에서 2018년산은 30% 수준까지 낮아진 반면, 착색계 비중은 동기간 0.6%에서

506_ 산업별 현안・이슈와 전망

일반계 1,637 1,303 1,533 1,442 1,709

과일 수급 동향과 전망 _507 가공량 37,971 29,368 28,087 57,439 23,225 50,802 50,999

주: 조사기간은 작성대상 연도 5월 1일부터 익년 4월 30일 기준임.

자료: 농림축산식품부, 「과실류 가공현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