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상급종합병원 비중을 이용한 MDC별 스케일 조정방법 고안

― 첫 번째 스케일 조정방법은 모든 MDC에 최고점을 동일하게 만들어서 유사

그림 20 MDC 11 신장 및 비뇨기계의 질환 및 장애 (입원 내과계) 스케일조정전후 점수 변화

― MDC 04 호흡기계의 질환 및 장애 (Respiratory System) (외래)

※ MDC 04 외래 DRG 점수의 초기 조정계수는 0.2273이며, 학회 검토 및 연구진 조정 후 조정계수는 0.2360이었음.

※ 이 조정계수를 최대점수(100점)를 고정시키고 다른 질병군의 점수를 비례적으로

낮추어 조정계수를 1로 만드는 스케일조정방법1을 이용하면서 그림 21과 같이 음 수값이 출현했고, MDC 04 내의 최대 상급종합병원 비중인 78.0%(78점)으로 최 대점수를 조정하는 스케일조정방법2으로 음수값의 일부를 줄일 수 있었음.

그림 21 MDC 04 Respiratory System (외래) 스케일조정전후 점수 변화

입원 표준점수 조정 후 ABC 질병군별 점수 분포

― 스케일조정방법1은 최대점수를 100점으로 고정해야 하므로 조정계수가 낮은 MDC의 경우, 최대점수의 질병군를 제외한 다른 질병군의 점수를 낮추는 경 향이 있음. 이 경우 그림 22와 같이 B, C 질병군에서 큰 값의 음수값이 출현 하였음.

― 반면, 스케일조정방법2는 MDC내 최대 상급종합병원 비중을 최대점수로 적용 하여 최대점수가 100점 이하로 설정될 수 있으므로 그림 23과 같이 조정계수 가 낮은 MDC에서 음수값이 출현하는 경우가 적었음.

그림 22 입원 표준점수 조정 후 ABC 질병군별 점수 분포 (스케일조정방법1)

그림 23 입원 표준점수 조정 후 ABC 질병군별 점수 분포 (스케일조정방법2)

입원 표준점수 조정 후 상급종합병원 비중과의 상관성

― 스케일조정방법1을 적용한 후, 학회의 의견을 반영한 진료유형 표준점수와 상급종합병원 비중의 상관성 분석을 진행하였음.

― 그림 24와 같이, 분석결과 대부분 상관도가 높게 분포하였으며 일부 100점의

― 본 분석 모형의 조정 설명력은 0.5695였음.

그림 24 입원 표준점수 조정 후 상급종합병원 비중과의 상관성(스케일조정방법1)

― 스케일조정방법2를 적용한 후, 학회의 의견을 반영한 진료유형 표준점수와 상급종합병원 비중의 상관성을 살펴보았음.

― 그림 25와 같이, 분석결과 이 경우에도 대부분 상관도가 높게 분포하였으며, 스케일조정방법1과 비교했을 때, 100점 질환분포가 줄어들고 큰 음수값이 사 라졌음.

― 본 분석 모형의 조정 설명력은 0.7028이었음.

그림 25 입원 표준점수 조정 후 상급종합병원 비중과의 상관성(스케일조정방법2)

입원 표준점수 조정 후 음수값 검토

― 상급종합병원 비중이 낮은 질병군의 경우, 스케일조정방법1보다 스케일조정 방법2에서 음수값이 크지 않고 출현 빈도가 적게 산출되었음.

― 표 18은 입원 표준점수 조정 후 음수값이 출현한 질병군의 예임.

※ O6300(가성분만), U6012(정신 지연, 연령 >17), U6022(치매, 연령 >64), U6500 (불안 장애 및 수면 장애), V6200(알콜 및 약물의존, 재활치료 동반), Z6000(재

활치료), Z6300(기타 추적관리)의 경우 스케일조정방법1에서 점수값은 각각

-43.1, -74, -49.9, -46.2, -32.2, -39.2, -94.5 였음.

※ 반면 스케일조정방법2에서는 4.9, -24.9, -15.2, -13.7, 2.9, 16.1, 1.9 의 값을 보여 스케일조정방법1 보다 음수값의 크기가 줄었고 일부 양수값으로 전환된 양상을 보였음.

MDC AADRG AADRG 명칭 빈도

가지로 진료유형점수가 낮은 B 질병군이나 C 질병군에서의 음수값의 출현이 적었음.

그림 27 외래 표준점수 조정 후 ABC 질병군별 점수 분포(스케일조정방법2)

외래 표준점수 조정 후 상급종합병원 비중과의 상관성

― 스케일조정방법1을 적용한 후, 학회의 의견을 반영한 진료유형 표준점수와 상급종합병원 비중의 상관성 분석을 진행하였음.

― 그림 28과 같이, 분석결과 대부분 상관도가 높게 분포하였으나 다수의 0점 이하 질병군 분포가 있었음

― 본 분석에서 상관계수의 조정 설명력은 0.5619였음.

그림 28 외래 표준점수 조정 후 상급종합병원 비중과의 상관성(스케일조정방법1)

― 스케일조정방법2를 적용한 후, 학회의 의견을 반영한 진료유형 표준점수와 상급종합병원 비중의 상관성을 살펴보았음.

― 그림 29와 같이, 분석결과 이 경우에도 대부분 상관도가 높게 분포하였으며, 스케일 조정방법1과 비교했을 때, 100점 질병군과 다수의 음수값 질병군의 분포가 줄었음.

― 본 분석 모형의 조정 설명력은 0.7272이었음.

그림 29 외래 표준점수 조정 후 상급종합병원 비중과의 상관성(스케일조정방법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