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산림복합경영의 개념

산림복합경영의 개념과 유형

1. 산림복합경영의 개념

○ 산림복합경영은 영어로 ‘agroforestry'로 쓰는데,이는 우리말로 임간재배(林間栽培), 산림농업(山林農業),혼농임업(混農林業)등으로 번역되기도 하였다.이 용어들은 농 업의 관점에서 보느냐,임업의 관점에서 보느냐 하는 차이에서 비롯되는데 본 연구에 서는 산림청에서 사용하는 산림복합경영으로 통일하기로 한다.

○ 산림복합경영의 개념은 1970년대 중반부터 본격적으로 논의되었다.Beneetal. (1977)은 “산림복합경영이란 농작물과 목재생산 그리고 축산을 동시에 조화시켜 총 생산을 증가시키는 것으로,지역민들의 경작방법과 어울릴 수 있는 경영실천을 응용 하여 적용하는 토지의 지속가능한 경영 시스템”이라고 정의하였다.

○ 열대지역에서는 산림훼손을 막기 위해 지역주민의 산림경영 참여가 중요한 과제인데 이를 위한 수단으로서 산림복합경영이 다루어졌다.열대지역의 산림복합경영은 ICRAF (InternationalCentreforResearchinAgroforestry)의 Ludgren& Raintree에 의해 1982년에 정립되기 시작하여 Nair(1989)에 의해 완성되었다고 볼 수 있다.

-Nair는 “산림복합경영이란 기술과 자본이 부족한 지역과 한계지에서 동식물의 총 생산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수목과 농작물,가축을 사회적으로나 생태적으로 조화 롭게 결합시키는 토지이용시스템”이라고 정의하였다.

○ Nair와 Fernandes(1985)는 산림복합경영을 “임목이 영구적 또는 일시적으로 농작물이 나 가축생산과 병행하여 생산될 수 있도록 하는 모든 종류의 토지이용 시스템”으로 정의하였으며,산림복합경영은 “순수임업 또는 순수농업과는 다른 생태적․경제적 기능을 갖는 양산업의 장점을 통합시켜 새로운 차원으로 발전시킨 새로운 형태의 토 지산업”이라고 하였다.

○ MacDickenandVergara(1990)는 Nair의 정의를 기초로 “산림복합경영은 생태적인 면과 경제적인 면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발생되는 이익을 위해서 농업생산(축산생산) 지역에 다년생 수목을 식재하여 나무와 농작물을 혼합시키고,이를 체계적으로 유지 하는 토지이용”으로 규정하였다.

○ 온대지역 산림복합경영에 대해서 Garrett(1994)가 열대지역 산림복합경영에 대한 정 의를 토대로 “산림복합경영은 나무나 관목이 의도적으로 농작물이나 축산과 조합될 때 생성되는 생물물리학적 상호작용으로부터 얻어지는 물리적,생물적,생태적,경제 적,사회적 이익들을 최적화시키는 집약적 토지이용 경영”이라고 규정하였다.

○ 미주리대학 AgroforestryCenter(1997)에서는 산림복합경영을 “임목이 농작물 또는 가축과 계획적으로 혼합할 때 생산되는 생물학적 상호작용으로부터 이익을 최대화하 는 집약적인 토지경영체계”이며,이는 “전통적인 농작물과 임목을 과학에 근거하여 혼합하는 종합적이고 집약적인 토지이용 전략형태”라고 하였다.

-이는 토지이용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모색하기 위하여 대두되었으며,생산성이 한 계에 달한 농지와 수익성이 적은 산림을 상호 연계시킴으로서 단기적으로는 수익 을 증가시키고,장기적으로는 토지생산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고 하였다.

○ 미국 산림복합경영 종합평가서는 “산림복합경영을 생산과 보전을 위한 집약적인 토 지이용 경영체계”라고 정의하면서,새로운 접근을 위한 시도로 임목이 작물 또는 가 축과 함께 성장할 때 서로를 보완하는 역할을 한다고 하였고,경영시스템은 자연적으 로 발생하는 것으로 구조와 기능을 시간․공간과 생물다양성으로 재설정하였다.

자료:장철수 외(2001)

그림 2-1. 산림복합경영의 개념

○ 이처럼 산림복합경영은 세계적으로 적용되는 전통적인 토지이용이며 농작물,원예작 물,축산과 수목,임산부산물 등을 함께 생산하는 토지이용시스템 혹은 경영을 의미 하며,토지 이용에서 나무와 농작물,가축 등을 다양한 형태로 조합하거나 통합하여 환경적․생태적․경제적 이익을 창출하는 토지이용체계를 의미한다.

-산림복합경영의 경제적 생태적 장점은 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개별 요소들의 시간 적·공간적 상호작용에 영향받는다는 것이다.이는 단작(monoculture)보다 복잡한 식물생태계가 양분,빛,물을 더 효율적으로 이용한다는 생각에 기초하고 있다.식 물의 다양성을 증진하는 것이 틈새보완성(nichecomplementarity)와 자원이용의 분할을 가져오게 된다(Gordon,2008).

○ 이러한 토지이용의 역사는 이미 상당히 오래 되었고 성공적인 모델들도 많다.그러나 20세기 초반부터 인공조림으로 목재를 대량생산하는 것이 임업의 주요 기능으로 부 각되어 세계적으로 전통적인 경험을 중요하게 여기지 않게 되었다.유럽에서 산림복 합경영이 쇠퇴하게 되는 원인으로 다음과 같은 점들이 지적된다(Smith,2010).

-농업기계 사용이 확대되면서 경작지의 나무들을 제거하게 되었다.

-2차대전후 농업생산성 증대의 필요성 때문에 단작경영이 확대되었다.

-농업노동력이 감소하여 노동집약적인 생산체계가 어려워졌다.

-소규모 토지소유가 통합되어 규모화되면서 경계의 나무들이 제거되고 경관도 단 순화되었다.

-작물협회가 강화되면서 단일 작물체계에 대한 정책지원도 강화되었다.

-임지는 보조금 지급대상이 아니므로 보조금 수입을 늘리기 위해 나무들이 제거되

었다.

로 산림의 구조와 기능을 향상시켜 시간·공간적 토지 생산성을 극대화시킨다<그 림 2-2>.즉,토지 이용에서 나무와 농작물,나무와 가축 등 다양한 형태를 혼합하 여 물리적·생태적·환경적·사회경제적 이익을 극대화하는 경영방식이다(Garrettet al.2000).

그림 2-2. 산림복합경영의 개념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