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설문조사에서는 종사자들이 어떠한 경로로 사회적 기업에 종사하게 되었는지, 취 업 경로에 대한 현황 파악과 사회적 기업의 목적과 가치에 대한 동의 정도, 그리고 현재 사회적 기업에서 일하고 있는 이유에 대한 종사자의 의견을 물었다. 이러한 질문을 통하여, 사회적 기업에 종사하고 있는 근로자의 근무 현황과 사회적 기업의 지속 가능성을 진단하고자 한다.

조사에 응한 예비 사회적 기업 종사자들이 예비 사회적 기업에 취업하게 된 경 로는 다음과 같다.

60

-[그림 5-1] 예비 사회적 기업 취업 경로

(단위:%)

응답자의 35%는 ‘이웃 또는 지인의 소개를 통해’ 사회적 기업에 취업하게 되었 다고 응답하였다. 채용 공고를 통한 공적인 유입 경로 보다 소개를 통한 사적인 유 입 경로 비율이 더 높은 점은 아직 사회적 기업에 대한 일반적 인지도가 낮은 점 이 가장 큰 이유로 예상된다. 사적인 경로를 통한 노동 시장으로의 진입은 여성들 의 특성이기도 하다. 사회적 기업의 규모가 작고 임금이 낮은 특성, 사적 경로를 통한 진입 등은 여성들이 진입하기 용이한 특성이라 할 수 있다.

종사자들이 현 예비 사회적 기업에서 일하고 있는 가장 큰 이유는 경제적인 이 유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57%가 경제적인 이유로 현 사업체에서 일하게 되었다고 응답하였다.

61

-[그림 5-2] 현 사업체에서 일하고 있는 이유

(단위:%)

‘사업체의 사회적 목적이 좋은 일이라고 생각해서’라는 이유는 약 13%에 불과하 였다. ‘가족 돌봄, 가사, 양육 등 다른 일과 병행할 수 있어서’라는 응답도 매우 소 수를 차지하였는데, 종사자의 연령대가 전반적으로 높은 이유에 기인할 수 있다.

종사자들의 사회적 가치에 대한 동의 정도는 다음과 같다.

[그림 5-3] 현 사업체의 ‘사회적 가치’에 대한 동의 정도

(단위:%)

62

-응답자들의 절반 이상이 현재 근무하고 있는 사회적 기업의 ‘사회적 가치’에 동 의한다고 응답하였다. 매우 동의하고 있는 응답 비율까지 합하면, 사회적 가치에 대한 동의 정도는 70%를 넘어서는 높은 비율이다. 그러나, 사회적 가치에 대하여 전혀 모른다거나, ‘그저 그렇다’는 소극적이면서도 무관심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는 응답도 20%를 넘어서고 있어 기업의 사회적 가치에 대한 인식 제고 노력이 지속 적으로 필요하다.

설문에 참여한 종사자들 중 54.4%는 최근 1년 동안 교육 및 훈련의 기회를 가 진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응답자의 절반 정도만이 교육의 기회를 가졌던 것으로 파악되어, 앞으로 교육 및 훈련의 기회가 더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교육 및 훈련을 경험한 종사자들이 주로 받은 교육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표 5-17> 대전지역 예비 사회적 기업 종사자 교육 내용

(단위: 명, %)

교육 내용 종사자 수 비율

회계 및 사무교육 28 10.7

제품생산이나 판매에 필요한 기술교육과 훈련 57 21.8

리더십 및 인간관계 교육 27 10.3

사회적기업의 가치와 운영 51 19.5

사업체의 운영 방식 공유를 위한 교육 26 9.9

인권(성차별, 장애인차별 등과 관련된) 교육 37 14.1

노동자 및 시민의 권리에 관한 교육 14 5.3

사회적 기업가 양성 과정 13 5.0

기타 9 3.4

합계 262 100

교육 및 훈련 받은 내용은 현 종사하고 있는 일과의 관련이 깊은 것으로 나타났 다. ‘제품생산이나 판매에 필요한 기술교육과 훈련’, ‘회계 및 사무 교육’, ‘사업체 운영 방식 공유를 위한 교육’ 등 사업체 업무와 직접 연관이 있는 내용이 약 40%

정도를 차지한다. ‘사회적기업의 가치와 운영’이라는 사회적 기업에 대한 일반 지식

63 -교육

경험 유무

연령 전체

20대 이하 30대 40대 50대 60대 이상

있음 59(33.9) 33(19.0) 22(12.6) 29(16.7) 31(17.8) 174(100.0) 없음 23(16.1) 19(13.3) 35(24.5) 35(24.5) 31(21.7) 143(100.0) 합계 82(25.9) 52(16.4) 57(18.0) 64(20.2) 62(19.6) 317(100.0) 을 공유하는 교육 내용이 두 번째로 많은 응답을 차지하였고, ‘리더십 및 인간관 계’, ‘인권 교육’도 약 25%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전지역 예비 사회적 기업 종사자의 연령과 교육 경험 유무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표 5-18> 대전지역 예비 사회적 기업 종사자 연령과 교육 참여 관계

(단위: 명, %)

* = 20.264, df=4, p<.000

연령이 높아질수록 교육 경험을 가질 확률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현재 조사에 참여한 예비 사회적 기업 종사자의 연령 분포가 중장년에 치우쳐 있 는 것을 감안하면, 앞으로 교육 및 훈련 참여가 보다 확대 강화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특히, 사회적 기업은 여성 중장년층의 고용에 주력하고 있는 상황 이기 때문에, 중장년층의 교육 및 훈련 참여 저조는 앞으로 개선되어야 할 필요성 이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