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사회문제 해결형 보건의료기술 R&D를 위한 거버넌스 구축

5 결 론

8. 사회문제 해결형 보건의료기술 R&D를 위한 거버넌스 구축

현재 우리나라의 범부처 사회문제 해결형 R&D 예산 현황을 보면, 건 강영역은 2016년에 2939억 원으로 전체의 14.6%에 해당한다. 이는 만 성질환, 희귀난치성 질환, 중독・우울장애, 퇴행성 뇌・신경질환 등의 건강 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투자되는 예산이라 할 수 있다(미래창조과학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2016). 다양한 사회문제가 존재하지만, 이 중에 서 건강 영역이 국가 차원에서 투자를 해야 할 매우 높은 우선순위이며 이와 관련한 투자를 이끌어 내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요구를 제시할 필요 가 있다.

〈표 5-2〉 사회문제 해결형 R&D 예산 추이

(단위: 억 원, %) 2015년 2016년 2015년 2016년

지속가능한 활력사회 9,354 8,892 48.1 44.2

건강 3,187 2,939 16.4 14.6

환경 3,206 3,112 16.5 15.5

문화여가 2,961 2,841 15.2 14.1

걱정 없는 안심사회 9,512 10,586 48.9 52.6

생활안전 2,038 2,166 10.5 10.8

재난재해 6,056 6,928 31.1 34.4

에너지 647 461 3.3 2.3

주거교통 771 1,031 4.0 5.1

더불어 사는 어울림사회 593 651 3.0 3.2

가족 174 180 0.9 0.9

사회통합 419 472 2.2 2.3

합 계 19,460 20,130 100.0 100.0

자료: 미래창조과학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2016) 사회문제해결형 R&D사업 운영관리 가이드 라인

현재 R&D사업은 다부터 공동사업을 지향하며, 참여 부처 간 협업을 통하여 현재 기술로 가능한 사회문제 해결을 사업화하고 있다. 그러나 사 업 추진에 대한 요구 과정과 실제 사업화하는 과정에서 현장의 의견이 원 활히 추진되고 있지 못하다.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이슈의 발굴 과정이 체계적이지 못하여, 비정기적으로 단기간의 수요조사에 의존하고 있다.

또한 사회문제의 중요도, 심각도, 해결 가능성 등을 전반적으로 검토할 수 있는 포괄적인 방법론도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보건의료 분야의 사회문제 해결형에 대한 이슈를 발굴하고 현 장의 수요가 잘 반영되며, 성과가 정책에 연결되고, 관련 법ㆍ제도의 개 선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수 있는 보건의료 R&D의 거버넌스 체계를 마련 할 필요가 있다.

<국문문헌>

강신욱, 류정희, 전진아, 정희선, 권지성, 이현주, 전홍규. (2014). 재난발생시 취 약계층 사회보장 대책. 경제·인문사회연구회.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 iN’홈페이지 http://hi.nhis.or.kr/main.do (검색일:

2018.05.20)

국민건강보험공단(2017). 질병 전 단계 수검자의 사후관리 강화를 위한 자가건 강관리 활성화 방안 연구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통계연보. 각 연도.

김승완, 이주호, 노성민, 김지혜, 이수연(2015). 장애포괄적 재난관리체계 구축 을 위한 기초 연구. 서울: 한국장애인개발원.

김용희(2016). 사회문제해결형 R&D 사업 운영관리 가이드라인. 한국과학기술 기획평가원.

김정곤, 이서진(2016). 주요국의 ICT 융합 의료산업 전략 및 시사점. 대외경제 정책연구원.

김정언, 최계영, 조유리, 강준모, 이학기, 김민식, 이은민..., 최주한.(2017). 제4 차 산업혁명 선도를 위한 과학기술ㆍICT 기반 국가정책방안 연구. 정보통 신정책연구원ㆍ미래창조과학부.

김준호ㆍ이선미ㆍ김경아ㆍ곽동선(2017). 건강보험 노인건강증진사업 개선방안 연구. 국민건강보험공단.

김철범, 김영기, 이현섭, 정용택, 김광일(2016). ICT-웰니스 케어 융합 확산 및 산업 활성화 전략 연구. 융합활성화 정책연구 15-16. 케이사이트컨설팅 주식회사.

김태원(2016). 디지털 헬스케어 정책 현황 및 과제. 한국정보화진흥원 대한민국 정부(2016) 2016~2020년 국가재정운용계획.

대한민국 정부(2017). 2017~2021년 국가재정운용계획.

미래보건의료포럼(2015). 「ICT 활용을 통한 보건의료의 국민편익 제고 방안」

미래창조과학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2016). 사회문제해결형 R&D사업 운 영관리 가이드라인

미래창조과학부(2016). 보도자료: 세계 최고 수준의 ICT 환경을 토대로 지능정 보사회 조기구현: 국제전기통신연합(ITU) 정보통신기술 발전지수, 2년 연 속 1위

박선주, 유희숙, 안정은(2014). 보건ㆍ의료 분야의 신ICT융합전략. 정보화 정책 연구 제2호. 한국정보화진흥원.

박소영(2018). 혁신성장과 미래트렌드 2018 plus10: 법! 기계와 인간이 공존하 는 미래에 대비하라.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배성훈, 신광민, 임정선, 윤진선, 강상규, 김준현, 김민관, 한창희 (2015). 시스템 다이내믹스를 활용한 나노기술의 사회영향평가.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Vol. 38 No. 2. p.129-137

보건복지부(2014, 2015, 2016). 예산 및 기금운용계획 개요.

보건복지부(2018). 제2차 보건의료기술육성기본계획.

보건산업진흥원(2016). 4차산업혁명과 보건산업 패러다임.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2018). BioNwatch. 18-77. https://www.bioin.or.

kr/board.do?num=282528 &cmd=view&bid=issue (검색일: 2018.

11.3)

성지은, 송위진, 장영배, 박인용, 서세욱,..., 박희제. (2015). 사회문제 해결형 혁 신정책의 글로벌 이슈 조사연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송위진(2004). 국가혁신체제에서 정부의 역할과 기능 : 혁신체제론적 접근. 과학 기술정책연구원.

식품의약품안전처(2017).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AI) 기술이 적용된 의료기기 허 가ㆍ심사 가이드라인(안).

신채민, 주예일, 정지영, 안다연, 이은미, ..., 이준형. (2016). ICT 기반 미래보 건의료 정책로드맵 개발. 보건복지부ㆍ한국보건의료연구원.

야노경제연구소(2016). 개호로봇의 가능성과 장래성 2016.

유승준, 문세영(2016). 한국경제의 지속성장을 위한 바이오ㆍ헬스 산업의 진단 과 전망. Issue paper 16-13.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윤강재, 송태민, 최성은, 정연, 이기호(2016). 정보통신기술(ICT)과 보건의료서 비스 융합 활성화를 위한 정책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융합연구정책센터(2016). 과학기술ㆍICT-복지 융합 기반. 융합연구리뷰 Vol.2 No.5 서울: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융합연구정책센터.

이견직, 정영호, 권순만, 정영철, 박하여, 조형원, 노환규, 이현규, 박현주.

(2005). Home Telecare 활성화 전략계획 수립 연구. 정보통신정책연구 원.

이경재, 강문상, 나승혁, 장한수, 이주석,..., 김은지 (2016). 2016년도 글로벌 R&D 투자 동향 분석.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이관용, 예철헌(2018). 2018년도 보건복지부 R&D 사업 예산 투자 방향. 보건 산업브리프. vol.258

이수연ㆍ이동헌ㆍ조정완(2015). ‘65세 이상 노인 진료비 지출 중장기 추계 연 구.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정책연구원.

이인혜(2018). 혁신성장 미래 트랜드 2018 plus10.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이정아(2009). 취약계층 안전관리를 위한 ICT 활용 전략. 한국정보사회진흥원.

일본 의료연구개발기구(AMED). https://www.amed.go.jp/en/program/

index.html. (검색일: 2018. 8.30)

장미혜, 김학경, 송효진, 박건표, 정지연, 이진희, 2014 재난피해여성에 대한 복 구 및 지원방안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전준수, 이준영, 이철회, 박경윤, 김은혜, 신현국, ..., 윤혜경(2016). 의료 ICT 융합분야에서의 지능정보기술 적용 활성화 방안 연구. 정보통신산업진흥 원

전한얼(2015) ICT 융합 활성화 방안 마련 연구: 융합활성화정책연구 15-01. 정 보통신산업진흥원

정기철, 김승현, 정일영, 이다은, 김가은 (2017). 수요자중심 헬스케어산업전망

과 대응전략.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정보통신정책연구원(2014). ICT 인문사회융합 동향: 자아정량화. 뉴스(6월.

vol.2)

정영철, 신윤정, 정영호, 최은진, 고숙자, 김동수, ..., 홍승권. (2005). 국내 e-Health 발전에 따른 정책대응방안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정영호, 고숙자(2005).보건의료서비스산업의 투입구조 및 생산파급효과분석. 보 건복지포럼 제107호, 59-66

정영호, 이견직(1999). 보건산업의 산업구조분석 및 발전방향. 서울: 한국보건사 회연구원.

정영호, 이견직(2001). 보건산업의 연구개발 파급 및 생산성 분석. 서울: 한국보 건사회연구원.

정현학, 최영임, 이상원(2016). 4차 산업혁명과 보건산업 패러다임의 변화. 한국 보건산업진흥원.

지식경제 R&D 전략기획단(2012). 미래형 웰니스 산업 동향분석 및 발전방안.

최윤희ㆍ황원식(2016). 스마트헬스케어산업의 사회경제적 효과와 정책적 시사 점. 산업연구원

통계청(2015). 보도자료. 세계와 한국의 인구현황 및 전망 통계청(2017). 보도자료. 2016년 생명표

통계청(2017). 보도자료. 2017 고령자 통계

통계청(2017). 보도자료. 장래가구추계 시도편: 2015-2045년 통계청(2017). 보도자료. 장래인구추계 시도편: 2015-2045년

한국소비자원(2017). 보도자료: 병·의원 오진 피해, 10건 중 6건이 암 오진 한국은행(2016). 2014년 산업 연관표

한국은행(2018). 경제통계시스템, 기업경영분석자료 (http://ecos.bok.or.kr/) 한웅용, 김주일(2018). 2018년도 정부연구개발예산 현황 분석, 한국과학기술기

획평가원.

황주희, 최승철, 박은혜, 허수진(2012). 공적개발원조(ODA)의 장애주류화 방안 연구. 한국장애인개발원.

황지호, 이재민, 김석필, 이경재, 김한해, ..., 문관식. (2016). 미래사회 대응 기 술혁신 아젠다 발굴 및 R&D 투자전략 수립.

<외국문헌>

Adler-Milstein J, Salzberg C, Franz C, Orav EJ, Newhouse JP, Bates DW. (2013) Effect of electronic health records on health care costs: longitudinal comparative evidence from community practices. Ann Intern Med. 16;159(2):97-104.

Aikens JE, Zivin K, Trivedi R, Piette JD.(2014) Diabetes self-management support using mHealth and enhanced informal caregiving. J Diabetes Complications. 28(2):171-6.

Centers for Medicare & Medicaid Services. https://www.cms.gov/

Regulations-and-Guidance/Legislation/ EHRIncentivePrograms/

index.html (검색일: 2018.9.8.)

CENTRE FOR WORKFORCE INTELLIGENCE (2015) Future demand for skills: Initial results. www.horizonscanning.org.uk

Clinovations(2016). State-Sponsored Health Information Exchange (HIE) Organizations’ Consent Policies: Opt-In or Opt-Out

Frost&Sullivan(2015). Cognitive Computing and Artificial Intelligence Systems in Healthcare

Hood L, Friend SH.(2011). Proactive, Predictive, personalized, preventive, participatory (P4) cancer medicine Nat Rev Clin Oncol. 8(3):184-7.

Knight E, Stuckey MI, Petrella RJ(2014). Prescribing physical activity through primary care: does activity intensity matter? Phys Sportsmed. 2014 Sep;42(3):78-89.

Martin SS, Feldman DI, Blumenthal RS, Jones SR, Post WS, McKibben RA, ..., Blaha MJ.(2015) mActive: A Randomized Clinical Trial of

an Automated mHealth Intervention for Physical Activity Promotion.J Am Heart Assoc. 9;4(11).

Mazzacco, Michelle. “Study Confirms Benefits of Home Telehealth”

(2010). The Educator Volume 1, Edition 1.

Müller AM, Khoo S, Morris T(2016). Text Messaging for Exercise Promotion in Older Adults From an Upper-Middle-Income Country: Randomized Controlled Trial.J Med Internet Res.7;18(1) OECD.(2015). Promoting Active Ageing in the Digital Economy:

Inclusion, Adaptation and Innovation.

Petrella RJ, Stuckey MI, Shapiro S, Gill DP.(2014). Mobile health, exercise and metabolic risk: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BMC Public Health. 14:1082.

Scott R, Jennett P, Yeo M.(2004). Access and authoritisation in a Glocal e-Health Policy context, International Journal of Medical Informatics, 73, 259-2266.

Scott RE, Chowdhury MFU, Varghese(2002). Telehealth policy: looking for global complementarity, J. Telemed Telecare, 8(6: Suppl 3), 55-57.

Swan(2012). Health 2050: The Realization of Personalized Medicine through Crowdsourcing, the Quantified Self, and the Participatory Biocitizen, Journal of Personalized Medicine, 2(3), 93-118.

The Office of the National Coordinator for Health Information Technology. (2015). Federal health IT strategy plan 2015-2020.

The Office of the National Coordinator for Health Information Technology.(2014). Blue Button fact sheet.

Whittaker R, McRobbie H, Bullen C, Rodgers A, Gu Y. Mobile phone-based interventions for smoking cessation.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16

WHO (2018). Global Health Observatory data

Wiman, R. (2003). Disability Dimension in Development Action.

Manual on Inclusive Planning. STAKES for and on behalf of the United Nations.

World Economic Forum(2016). Extreme automation and connectivity:

The global, regional, and investment implication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orld Economic Forum(2016). Global Information Technology Report 2016.

World Economic Forum(2016). The future of jobs.

World Economic Forum(2018). The future of jobs report.

World Economic Forum(2018). The future of jobs repo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