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3.1. 업종

농촌 지역 사회적 경제 조직의 매출액 기준으로 가장 비중이 큰 업종은 농 림업 관련 산업이다(20.7%). 그 다음으로는 의료‧교육‧문화 서비스(18.9%)와 농림축산 생산(16.0%) 등의 순이다(표 5-5). 이러한 매출액 기준 1순위 업종 은 조직의 유형과(표 5-6) 소재지(동‧읍‧면)별로 차이가 있다(표 5-7).

조직의 전체 매출액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매출 1순위 업종은30 조직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다. 영농조합법인의 82.2%에서 매출 1순위 업 종이 ‘농림축산 생산’ 또는 ‘농림업 관련 산업’이다. 이에 비해 협동조합에 서는 그 비율이 38.7%이다. 영리형 사업체와 비영리 단체 유형에서는 ‘의 료‧교육‧문화 서비스’, ‘집수리‧건축‧환경’ 분야 등 서비스 관련 업종이 매 출 1순위인 경우가 50%에 달한다.31 영농조합법인 및 협동조합 형태의 사 회적 경제 조직은 주로 농축산 생산 및 가공 등 농업 관련 활동을 하고, 그 외 영리형 사업체 및 비영리 단체 형태의 조직은 주로 농촌 지역에 필요한 사회 서비스를 제공한다. ‘농업 외 제조‧도소매‧광업’과 ‘운송‧출판‧숙박 등 편의 서비스’ 업종은 농촌 지역 사회적 경제 조직의 매출액에서 차지하 는 비율 10% 내외로 비교적 낮다. 이들 업종에 대한 농촌 지역사회의 수

30 5-5에 제시한 업종 구분보다 세분화된 구분에 따라 조사를 수행하였는데, 1 순위 업종의 평균 매출액 비중이 80% 이상이다. , 매출액은 대부분 1순위 업 종에 집중되어 있다.

31 실제 조사 시에는 기타 업종을 포함하여 총 22개로 구분하여 응답하도록 하였 . 이러한 본래 설문응답 업종별로 1, 2, 3순위 응답을 집계했을 때 응답된 비율 이 낮은 업종은 농기계농자재 제조, 수리, 판매’(0.7%), ‘보육 서비스’(0.8%),

축산’(1.6%), ‘택배, 운송업’(1.6%), ‘연구개발 등 전문과학기술 서비스업’, ‘정보 지식 제공’(1.7%), ‘임업, 어업 생산’(1.9%), ‘숙박업’(2.0%), ‘보건의료 서비스 (2.4%), ‘출판, 영상 관련 업종’(2.6%), ‘간병, 가사지원 서비스’(3.2%) 순이었다.

요 및 구매력 수준을 반영하는 것이라 볼 수 있다.32

영리형

사업체 영농조합 협동조합 비영리

단체

농림축산 생산 18 45 28 6 97

(9.1) (44.6) (16.2) (4.4) (16.0)

농림업 관련 산업 27 38 39 22 126

(13.6) (37.6) (22.5) (16.2) (20.7)

농업 외 제조‧도소매‧광업 26 3 22 16 67

(13.1) (3.0) (12.7) (11.8 (11.0) 운송‧출판‧숙박 등 편의

서비스

19 7 21 11 58

(9.6) (6.9) (12.1) (8.1) (9.5)

집수리‧건축‧환경 40 2 11 25 78

(20.2) (2.0) (6.4) (18.4) (12.8)

의료‧교육‧문화 서비스 39 3 32 41 115

(19.7) (3.0) (18.5) (30.1) (18.9)

기 타 29 3 20 15 67

(14.6) (3.0 11.6 11.0) (11.0)

198 101 173 136 608

(100.0) (100.0) (100.0) (100.0) (100.0) 주: =156.4, p=0.000

표 5-5. 법률적 형식에 따른 조직 유형별 매출 1순위 업종

단위: 개, %

32 사회적 경제 조직이 농촌에서 사업을 추진해야 하는 중요 분야 문항과 연결하 여 분석할 필요가 있다.

마을기업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주: =189.2, p=0.000

종에서 매출이 높다는 점은 법률상 사회적 기업 지원의 당위성이 있으며 바람직한 방향이라고 볼 수 있다. 해당 부문은 지역주민의 삶과 밀접한 관 련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자활기업은 취약계층이 공동 창업하여 빈곤 상 태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 협동사회경제의 주요 구성원이라 고 볼 수 있다. 이런 관점에서 자활기업이 농촌에서 필요한 집수리, 건축 환경 업종에서 매출을 창출한다는 점을 긍정적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이 들이 해당 업종의 사업을 통해 지속 가능한 정도의 수익을 창출하고 건전 한 재무 구조를 갖고 있다는 점이 전제되어야 그 같은 긍정적인 해석이 가 능할 것이다.

소계

농림축산 생산 15 29 89 133

(5.2) (12.8) (28.6) (16.0)

농림업 관련 산업 34 51 107 192

(11.7) (22.5) (34.4) (23.2)

농업 외 제조‧도소매‧광업 37 26 33 96

(12.7) (11.5) (10.6) (11.6) 운송‧출판‧숙박 등

편의 서비스

48 22 22 92

(16.5) (9.7) (7.1) (11.1)

집수리‧건축‧환경 32 32 17 81

(11.0) (14.1) (5.5) (9.8)

의료‧교육‧문화 서비스 79 42 30 151

(27.1) (18.5) (9.6) (18.2)

기 타 46 25 13 84

(15.8) (11.0) (4.2) (10.1)

291 227 311 829

(100.0) (100.0) (100.0) (100.0) 표 5-7. 소재지(동‧읍‧면)별 매출 업종 1순위, 2순위, 3순위 합계

단위: 개, %

농촌의 동 지역, 읍 지역, 면 지역에서 사회적 경제 조직이 어떤 업종의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소재지별 매출업종을 확인 하였다. 읍과 면에는 농림축산 생산과 농림업 관련 산업이 집중되어 있고, 타 분야 업종은 적었다. 특히 면 지역에서 서비스업 분야가 차지하는 비중 이 동과 읍에 비해 낮았다. 동과 읍 지역에 비해 면 지역에서는 사회적 경 제 조직이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기에 물리적 거리가 상대적으로 멀다 는 점을 시사한다. 그러나 이러한 결론은 조직 소재지뿐만 아니라 조직들 의 활동 범위(주된 고객 범위)를 통해서도 확인해야 할 것이다.

3.2. 활동 범위

사회적 경제 조직이 농촌 지역에서 어떠한 활동 범위를 갖고 있는지를 크 게 두 가지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원자재나 필요 재료를 구입하는 지역 범위 가 어떠한지, 주된 고객이 어느 지역 범위에 있는지를 파악하였다. 이를 통 해 조직이 해당 지역에 미치는 영향을 간접적으로나마 확인할 수 있다.

사회적 경제 조직들이 원자재나 필요 재료를 구입하는 지역의 범위를

‘조직이 소속된 읍‧면‧동’, ‘조직이 소속된 시‧군의 타 읍‧면‧동’, ‘인근 시‧

군’, ‘그 외 거리’ 네 가지로 구분하고 각 지역 범위에서 조달하는 원자재 의 비율을 응답하게 하였다. 그 결과, 조직이 소재한 읍‧면‧동에서 원자재 및 필요 재료를 조달하는 비율이 평균 53.9%로 가장 높았다. 인근 시‧군에 서 조달하는 비율과 그 외 거리에서 조달하는 비율은 각각 17.3%와 16.3%

로 비슷하다. 단체가 위치한 시‧군의 타 읍‧면‧동에서 조달하는 원자재의

비율은 12.6%로 가장 낮았다. 사회적 경제 조직들이 가급적 조직이 위치한

읍‧면‧동에서 원자재의 절반 이상을 조달하며, 필요에 따라 그 외의 지역 범위에서 적절히 조달한다는 점을 보여준다.

그림 5-2. 농촌 지역 사회적 경제 조직의 지역 범위별 원자재 조달 비율

단위: %

집단 평균 표준편차 F Sig. LSD 사후검정

영리 영농 협동 비영리 영리형 사업체 52.061 41.7826

6.071 0.000

영농조합 68.584 36.3478 ***

협동조합 46.706 42.6112 ***

비영리 단체 54.459 43.0154 **

전체(N=601) 53.854 41.9657

*: p<.05, **: p<.01, ***: p<.001

표 5-8. 법률적 형식에 따른 조직 유형 간 원자재 조달 비율 비교 (조직 소재 읍‧면‧동)

단위: %

사회적 경제 조직 유형 가운데, 영농조합법인이 ‘조직이 소재한 읍‧면‧동’

에서 원자재를 조달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다. 원자재 조달의 지역 범위가 가 장 넓은 조직 유형은 협동조합이었다. 업종별로 비교하면 조달 범위가 가장 넓은 업종은 농업 외 제조‧도소매‧광업이다.33 이는 업종의 특성에 따른 결

33 원자재 조달 비율의 집단 간 차이가 유의한 항목은 조직이 소속된 읍

그 외 거리두 가지이다.

과인 듯하다. 즉, 산업 특성상 지역의 인적‧물적 자원을 가장 많이 활용해야 하는 농림축산 생산업의 경우 소속 읍‧면‧동에서 원자재를 가장 많이 조달 하고, 산업 특성상 다양한 원자재와 재료가 필요한 제조업‧도소매의 경우 인근 시‧군을 벗어난 범위에서 원자재를 조달하는 것이다. 그러나 다른 한 편으로는 농촌 지역에 소재하지만 농업 외 제조‧도소매‧광업 분야에 종사하 는 사회적 경제 조직은 타 산업에 비해 원자재를 조달하기 어려우므로 상대 적으로 운영이 불리할 수 있다는 해석도 가능하다.

그림 5-3. 매출액 1순위 업종별 원자재 조달 비율 평균

단위: %

영리형 사업체와 비영리 단체가 대상으로 하는 주요 고객 지역 범위는 조직이 위치한 시‧군 내인 경우가 가장 많았고, 영농조합법인과 협동조합 의 경우 전국의 고객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가 많다. 이 결과 또한 각 법인 유형이 주로 종사하는 업종에 따른 구분과 유사하므로, 원자재 조달의 경 우와 마찬가지로 업종에 따른 영향이 더 큰 것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농 산물을 주로 전국을 대상으로 판매하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농림업 관련 종사 비율이 높은 마을기업 및 농촌 공동체회사에서 역시 고객 범위가 전국인 경우의 비율이 높다. 자활기업 지원 사업 대상 조직의 경우 50% 이상이 주된 고객 지역 범위가 단체가 위치한 시‧군 내, 27.5%

는 단체가 위치한 읍‧면‧동 내라고 응답하여 타 유형에 비해 자활기업이 대상으로 하는 고객 범위가 좁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5-11의 ‘농촌 지역 사회적 경제 조직 유형별 총자산, 자기자본, 부채, 영업이익‧잉여’에서 나 타나듯 다른 조직 유형에 비해 자활기업이 영세하다는 점에서 그 이유를 찾을 수 있다.

영리형

사업체 영농조합 협동조합 비영리 단체

단체가 위치한 읍‧면‧동 내 36 6 29 25 96

(18.2) (5.9) (16.8) (18.4) (15.8)

단체가 위치한 시‧군 내 84 14 50 50 198

(42.4) (13.9) (28.9) (36.8) (32.6) 단체가 위치한 도 내

(인근 시‧군)

29 10 35 16 90

(14.6) (9.9) (20.2) (11.8) (14.8)

전국 49 71 59 45 224

(24.7) (70.3) (34.1) (33.1) (36.8)

198 101 173 136 608

(100.0) (100.0) (100.0) (100.0) (100.0) : =71.166, p=0.000

표 5-9. 법률적 형식에 따른 조직 유형별 주된 고객 지역 범위

단위: 개, %

마을기업

(55.3) (70.8) (38.1) (10.8) (34.3) (46.7) (36.8)

94 24 155 120 140 75 608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 =94.026, p=0.000

분 2013년 이후에 설립되어 운영이 안정화되지 못한 경우가 많을 것이라 는 점과, 5인 이상이면 조직할 수 있으므로 비교적 영세한 규모가 많다는 점에서 취약한 재정 상태의 원인을 찾을 수 있다.

항목 법적지위 평균 표준편차 N 중위수

총자산

영리형 사업체 396,913 917,446.1 128 100,000

영농조합 381,433 769,012.4 73 146,000

협동조합 169,356 384,886.2 128 49,000

비영리 단체 279,036 824,620.9 77 70,000

전체 300,032 743,489.3 406 80,000

자기자본

영리형 사업체 194,009 564,775.6 125 50,000

영농조합 214,447 324,869.0 72 100,000

협동조합 90,645 177,299.6 125 30,000

비영리 단체 191,265 444,410.5 71 41,000

전체 164,381 409,672.4 393 50,000

부채

영리형 사업체 210,334 561,714.6 125 15,000

영농조합 144,288 518,993.5 71 0

협동조합 82,436 310,657.9 125 0

비영리 단체 94,583 473,727.3 72 250

전체 136,515 471,260.7 393 300

영업이익‧잉여

영리형 사업체 68,423 361,778.4 142 10,000

영농조합 127,734 439,778.5 84 11,000

협동조합 98,285 482,602.0 121 0

비영리 단체 190,036 701,556.2 94 11,500

전체 113,836 497,979.4 441 8,000

표 5-11. 법률적 형식에 따른 조직 유형별 총자산, 자기자본, 부채, 영업이익‧잉여

단위: 천 원,

: 상자의 시작과 끝은 각각 제3사분위수, 2사분위수이다. ‘◦’은 이상치이며,

‘*’은 극단치이다. 이상치, 극단치 일부는 표시되지 않았다.

그림 5-4. 법률적 형식에 따른 조직 유형별 영업이익‧잉여 범위

총자산, 자기자본 평균이 가장 낮은 유형은 자활기업이다. 그러나 중위 수 기준으로는 지원 정책사업과 무관한 조직 유형의 자산 규모가 가장 작 고 자활기업에 비해 총자산 규모의 편차도 심하다. 총자산과 자기자본 규 모가 가장 큰 유형은 농촌 공동체회사인데, 설립 단계부터 별도의 사회적 목적을 가지고 제도 내로 들어온 것이 아니라 자체 운영을 시작하였기 때 문에 비교적 운영 상태가 안정적이라고 볼 수 있다. 평균 부채액은 사회적 기업이 가장 크고 부채의 편차도 심하다. 비교적 다양한 업종에 분포하는

총자산, 자기자본 평균이 가장 낮은 유형은 자활기업이다. 그러나 중위 수 기준으로는 지원 정책사업과 무관한 조직 유형의 자산 규모가 가장 작 고 자활기업에 비해 총자산 규모의 편차도 심하다. 총자산과 자기자본 규 모가 가장 큰 유형은 농촌 공동체회사인데, 설립 단계부터 별도의 사회적 목적을 가지고 제도 내로 들어온 것이 아니라 자체 운영을 시작하였기 때 문에 비교적 운영 상태가 안정적이라고 볼 수 있다. 평균 부채액은 사회적 기업이 가장 크고 부채의 편차도 심하다. 비교적 다양한 업종에 분포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