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분석결과 25

문서에서 농식품 수출지원제도 개선방안 (페이지 87-97)

2 .수출선도조직 운영실태

2.3. 분석결과 25

2. 3. 1.조직화·규모화 이행 실태

2009년에 수출선도조직들은 전반적으로 생산자관리,협의회 운영,품질 관리사 활동실적이 우수한 편이다.2010년 수출선도조직들은 생산자 관리 내용은 농수산물유통공사의 표준계약서를 준용하여 농가와 물품공급 계약 을 체결하고,생산자에 개별 ID를 부여해 관리하고 있다.신규농가 확보 등 재배면적 확대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농가별 계약이행 여부 확인이 나 실적이 저조한 농가에 대한 조치 등 실질적인 관리노력은 미흡하다.또 한 일부조직은 품목특성에 맞는 차별화된 교육을 실시하지 않아 수출조직 에 농가를 유인하는 효과가 미흡한 편이다.그리고 외부전문가 컨설팅 또 는 농약안전지침 등과 연계해 자체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며 연합조직은 회 원사에 대한 실질적인 관리가 미흡하고 개별조직은 품질관리가 취약한 농 가,신규 참여농가대상의 맞춤형 교육은 실시하고 있지 않다.

생산자와 의사결정기구(협의회)의 활성화를 위해 생산자 대표가 참여하 는 협의회를 구성·운영하고 있으나,일부 수출조직은 운영규정·회칙이 없 고,개최실적이 저조한 경우가 많아 활성화 노력이 미흡한 실정이다.품질 관리 지도사 운영실태는 내·외부 품질지도사 또는 수출국 현지전문가 등과

25농수산물유통공사의 현장조사 결과 및 재분석한 내용으로 구성함.

계약을 통해 생산단계부터 재배지도의 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나 일부조직 은 품질지도사의 역할 미숙지,지도실적 등의 자료 미비,품질관리매뉴얼 활용교육 미실시 등 운영이 미흡한 실정이다.

가.생산자 관리 실태 및 개선상황

수출선도조직에서 수출참여 농가들에게 수행한 교육실적은 2009년에 선 정조직은 대체로 양호한 편이나,2010년 선정조직은 KM(팽이버섯)과 ET (토마토)가 저조한 편이다.하지만 수출농가들에 대한 ID 관리는 2009년과 2010년 모두 양호한 편이다.생산자별 계약은 주로 농협단위로 물량을 수 집하는 조직의 운영실태가 미흡한 편이며,수출에 참여하는 신규 생산자를 확보하기 위한 노력은 일부 농협에서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0년에 모든 수출선도조직에 운영협의회 구성이 완료된 것으로 나타

2. 3. 2 수출시장 마케팅 활동

2009년도에 해외마케팅 노력은 전반적으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26 2010년도에도 전반적으로 해외마케팅과 홍보(판촉전,박람회,초청행사 등)활동이 양호한 것으로 평가되며,일부조직은 신상품의 포장디자인 개발 등 신시장 개척의 성과도 보이고 있다.그러나 대부분의 수출선도조직이 수출바이어 및 유통채널 확보의 제한으로 인해 수출활동에 제약을 받고 있 으므로 보다 적극적인 신규시장의 바이어 접촉과 시장개척을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연합조직인 CP의 경우 회원사별 개별 홍보활동이 이루어져 공 동브랜드를 활용한 공동마케팅 노력은 미흡하다.

수출시장 마케팅 활동은 2009년에 대부분 박람회나 전시회,판촉행사에 참여하는 수준이었으나 2010년에는 신규 바이어 발굴로 마케팅 활동이 개 선되었다.마케팅 활동 대상 국가도 동남아시장뿐만 아니라 북미 등으로 확대되고 있다.

신규 바이어 발굴 및 수출시장 확대 단계도 2009년에는 대부분의 수출 선도 조직들이 신규바이어를 발굴 중이거나 동남아시장의 바이어를 발굴 하는 수준이었다.하지만,2010년에는 바이어 발굴업체 수가 늘어나고 시 장 및 바이어 발굴지역이 확대되는 등 개선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가.공동마케팅 노력

공동마케팅 노력에서 2009년에는 공동마케팅을 위한 공동브랜드 포장상 자 제작 사용은 대체로 미흡한 편이며,몇몇 수출선도조직에서 휘모리 박 스를 사용하거나 제작 중에 있었고,2010년에도 여전히 공동브랜드 및 공 동 포장상자를 이용하는 수출선도조직은 많지 않았다.오히려 2009년 조사 결과 공동박스를 디자인 중인 선도조직도 2010년에는 중단한 업체들이 있었다.

26과실류는 선도조직 지정 이후 출하시기가 도래하지 않아 평가하기 어려움.

2. 3. 3.상품화 개선 노력

수출선도조직들의 규격품 관리상황은 2009년도에 대체로 양호하며,품 위기준 준수를 위해 노력하고 있었다.2010년도에도 규격품 관리 및 품위 기준 준수 상황은 대체로 지정 선별장 사용,ID 부착을 통한 품질관리 표 시,포장박스 차별화를 통한 규격품의 구분표기 등의 노력은 양호한 것으 로 평가된다.한편,품질관리 매뉴얼 관리 및 활용 상황에서 매뉴얼 제작 및 농가배포는 양호하게 추진하고 있으나,매뉴얼을 활용한 품질교육 등의 실적은 미흡한 편이다.특히,신규농가 등 품질규격이 미흡한 생산자에 대 한 개별품질지도가 필요하나,집합교육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규격품 관리 실태에서 2009년의 선별·포장과 규격품 별도 구분,비계약 농가 상품 혼입 여부 구분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하지만,생산이력 ID 부착은 일부 과실류 수출 농협조직에서 미흡하다.2010년에는 1차연도와 2 차연도 선정조직 모두 선별포장,규격품 구분,비계약농가 물량 구분이 모 두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생산이력 ID 부착 실태도 대부분 양호하고, ID 추적도 수출선도조직 모두 가능하게 되어 규격품 관리 수준이 크게 향 상되었다.

가.품위·품질과 안전성 관리실태

수출선도조직들의 품위·품질과 안전성 관리 실태는 2009년도에 품위관 리요원활동,품위관리 일지작성,품질관리 메뉴얼 활용은 대부분 양호한 편이다.하지만,2010년도 품질관리 매뉴얼 활용실태는 새송이버섯,배,감 귤,단감,유자차,김치 품목의 운영조직에서는 미흡하다.2009년도에는 품 질관리 매뉴얼 보유 여부를 평가하고 2010년에는 실질적으로 활용하는 수 준을 평가하였기 때문에 평가결과가 나빠진 것으로 나타났다.대체로 품질 관리 매뉴얼 활용이 미흡한 실정이므로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매뉴얼 제 작 및 활용방법 개선이 필요하다.

문서에서 농식품 수출지원제도 개선방안 (페이지 87-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