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표 3-2> 설문회수 결과

주요업무 공무원 관련전문가 합계

인원 비율 인원 비율 인원 비율

도로정책 4 19.0% 15 60.0% 19 41.3%

도로건설 7 38.1% 3 12.0% 10 21.7%

도로관리 4 19.0% 6 24.0% 10 21.7%

도로환경 6 23.8% 1 4.0% 7 15.2%

총 합계 21 100.0% 25 100.0% 46 100.0%

<그림 3-1> 평가기준의 개념도

도로정책 통계정보 Reliability

Availability

Level of detail Usability

Understandability

도로관리 통계정보 Reliability

Availability

Level of detail Usability

Understandability

도로건설 통계정보 Reliability

Availability

Level of detail Usability

Understandability

도로환경 통계정보 Reliability

Availability

Level of detail Usability

Understandability

도로교통 통계정보 기반 도로정책 수립 및 시행

나. 평가기준의 우선순위 결과

각 응답자들이 평가한 우선순위에 각 순위별로 점수를 부여하고 이를 종합 점 수화하여 순위를 산출하였다. 1순위(5점), 2순위(4점), 3순위(3점), 4순위(2점), 5순 위(1점)의 순으로 부여하고 각 순위별 응답수와 곱하여 단일 점수화하였다. 이후 의 우선순위를 제시하도록 한 설문 문항에서는 동일한 방법을 통해 단일 점수화 를 한 후 순위를 산출하였다(예: 3순위까지 제시하는 경우는 3점, 2점, 1점의 순 으로 부여하여 산출함). 기타 기준을 제시한 응답자는 매우 적어 분석의 일관성

을 위해 제외하였다. 기타로는 기반구축성과 필요성을 제시한 의견이 있었다.

평가결과 신뢰성〉활용성〉이해성〉구득성〉상세성의 순으로 분석되었다. 특 히 1순위로 30명(65%)의 응답자가 통계정보에 대한 신뢰성을 가장 중요한 요소 로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우선순위의 중요도를 고려한 평가를 위해 각 평가항목의 가중치를 평균값(총점/표본수)을 이용하여 산정하였다.

<표 3-3> 평가기준 우선순위 결과

평가

기준 1순위 2순위 3순위 4순위 5순위 1순위 (5점)

2순위 (4점)

3순위 (3점)

4순위 (2점)

5순위

(1점) 총점 순위 가중치

신뢰성 30 6 9 1 0 150 24 27 2 0 203 1 4.413

구득성 3 5 10 13 15 15 20 30 26 15 106 4 2.304

상세성 1 6 8 16 15 5 24 24 32 15 100 5 2.174

활용성 12 19 7 8 0 60 76 21 16 0 173 2 3.761

이해성 0 10 12 8 16 0 40 36 16 16 108 3 2.348

합계 46 46 46 46 46

주) 분석의 일관성을 위해 기타항목은 제외하였다.

(2) 통계정보 만족도 조사7)

가. 분석개요

제시한 통계정보는 총 18개로 도로관련 정책담당자들이 업무에 가장 많이 활 용하는 『도로업무편람(2005)』 중 도로관련 통계․자료로 분류 제시된 14개의 자료(4-1.~4-14.)와 도로관련 투자현황 및 실적(2개), 도로안전 관련자료(2개)를 추가하여 제시하였다.

평가기준은 총 5개로 신뢰성, 구득성, 상세성, 활용성, 이해성으로 구성하여 제 시하였고, 이렇게 제시된 5개의 평가기준에 따라 18개의 통계정보를 평가기준별

7) 본 연구에서 도출된 만족도 평가 결과는 설문대상자인 건교부 공무원들이 해당 통계정보에 대한 주관 적․자의적 판단에 의한 평가인 점을 감안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평가 결과값 자체가 각 평가항목별 절대적 가치기준을 제시해 준다고는 볼 수 없으므로 평가결과의 해석에도 유의할 필요가 있다.

로 만족도(7점 척도)를 조사하여 평균 점수를 산출하였다.

<표 3-4> 만족도(7점 척도) 설문지 예

평가기준 매우 낮음 보통 매우 높음

신뢰성 1 2 3 4 5 6 7

나. 도로교통 통계정보의 효과적인 만족도 산정방안

본 장에서는 위에서 제시한 각 도로교통 통계정보에 대하여 전문가 집단을 대 상으로 조사한 만족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도로교통 통계정보의 효과적인 만족도 산정방안을 제시하였으며, 개략적인 만족도 산정방안은 <그림 3-2>와 같다.

<그림 3-2> 도로교통 통계정보의 만족도 산정방안

먼저, 평가항목의 절대적 만족도 지표는 각 도로교통 통계지표의 평가항목에 대하여 조사된 응답자의 만족도에 대한 평균치를 나타내며 일반적으로 많이 사 용되고 있는 만족도의 산정방식이다. 그러나 향후 통계정보 정비방안의 우선순 위를 산정함에 있어 만족도의 평균치만을 고려하여 산정하는 것은 문제점이 발 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로교통 혼잡비용 통계정보의 활용성과 구득성에 대 한 평균치가 각각 3.0점과 3.7점이고, 도로교통사고 현황 통계정보의 활용성과 구 득성에 대한 만족도의 평균치가 각각 4.7점과 2.5점인 경우를 들 수 있다. 즉, 도

로교통 혼잡비용의 최종 평균 만족도는 3.35점이며, 도로교통사고 현황에 대한 평균 만족도는 3.60점으로서 도로교통사고 현황에 대한 만족도가 더 낮기 때문에 우선적으로 개선되어야 할 통계정보로 분석될 수 있다. 그러나, 실제 도로교통사 고 현황의 경우 활용성에 대한 만족도는 크나 구득성에 대한 만족도가 상대적으 로 아주 낮기 때문에 통계정비의 우선순위를 산정함에 있어 도로교통 사고현황 의 구득성을 개선하는 것이 더 시급한 문제일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 을 개선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평가항목의 상대적 만족도 지표의 개념을 도 입하였다.

상대적 만족도의 개념은 만족도 평가지표간의 만족도 수준의 일관성을 고려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로교통사고 현황 통계정보에 대한 만족도가 높 다고 할지라도 구득성이 상대적으로 많이 떨어지는 경우 통계정보가 효과적으로 사용되지 못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상대적 만족도를 계산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 서는 최적화척도법을 이용하며 구체적인 방법론은 상대적 만족도 분석에서 제시 하였다.

다시 말해, 본 연구에서는 평가항목에 대한 절대적 만족도 지표와 상대적 만족 도 지표를 각각 산출하며 최종적으로는 양 지표를 동시에 고려한 만족도를 산정 하였다. 또한, 평가항목에 대한 우선순위의 중요도를 반영하기 위해 <표 3-3>에 서 제시된 바와 같이 각 평가항목의 가중치를 고려한 가중 산술평균값으로 절대 적 만족도와 상대적 만족도를 각각 산출하였다.

가중치를 고려한 절대적 또는 상대적  만족도  

  

  

×

여기서 는 만족도 평가항목 s (s=1,...,5)에 대한 가중치를 나타내며, 는 만족도(절대적 또는 상대적 만족도)를 나타낸다.

계산된 절대적 만족도 지표와 상대적 만족도 지표를 이용하여 각각의 경우에 대한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최종적으로는 절대적 만족도와 상대적 만족도를 동시

에 고려한 우선순위를 설정하였다.

다. 평균값을 이용한 절대적 만족도 분석

주요 산출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각 기준별, 각 통계자료별 전체 평균은 7점 만점에 4.85로 조사되었다(보 통이 4이다.). 가중치를 고려한 절대적 만족도의 평균은 4.93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제시된 5가지 기준 중에는 신뢰성(5.01), 이해성(4.92), 활용성(4.88), 구득 성(4.76), 상세성(4.68)의 순으로 신뢰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통계자료 중 만족도의 평균이 우수한 자료(1~3순위)는 자동차보유현황, 최근 5년간 도로부문 투자현황, 시도별 4차로 이상 비율 순이었다. 이는 1960년 대부터 매년 집계해 온 자동차 현황 및 도로현황 등이 비교적 객관적이고 자체적 으로 집계하는 자료이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넷째, 통계자료 중 만족도의 평균이 가장 낮은 자료는 도로수송실적 및 수요전 망 자료로 거의 모든 평가기준에서 가장 낮은 순위를 보였다. 이는 수송실적 산 출에 대한 근거가 미비한 점, 전망치라는 자료의 특성상 수반하게 되는 불안정성 등 전반적으로 신뢰수준을 낮게 평가하는 것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다섯째, 그 밖에 주요국가 도로보급율, 도로안전시설 확충현황 및 계획, OECD 국가별 도로현황, 국가물류비 등의 자료가 낮게 평가되었다. 이는 국가별 비교에 있어서 시점의 불일치, 자료 작성의 각 국가별 기준의 상이함, 자료에 대한 부가 설명 부족 등의 이유로 판단된다.

<표 3-5> 평균값을 이용한 절대적 만족도 산출

구분 신뢰성 구득성 상세성 활용성 이해성 가중치를 고려한

절대적 만족도 우선 순위 1. 시도별 도로보급율 5.49 5.31 4.60 4.78 5.31 5.127 5 2. 시도별 4차로이상 비율 5.56 5.09 5.11 4.91 5.18 5.200 3 3. OECD 국가별 도로현황 4.62 4.29 4.47 4.76 4.98 4.639 15 4. 주요국가 도로보급율 4.62 4.42 4.29 4.58 4.82 4.563 17 5. 도로수송실적 및 수요전망 4.31 4.33 4.36 4.69 4.31 4.416 18 6. 자동차 보유현황 5.58 5.33 4.82 5.13 5.18 5.256 1 7. 도로별 일평균 교통량 및 구성비 4.83 4.91 4.72 4.87 5.00 4.863 11 8. 도로별 교통이용현황 4.93 4.78 4.65 4.72 4.78 4.790 12 9. 고속도로 이용차량 5.54 5.17 4.93 4.85 5.09 5.151 4 10. 고속도로 통행료 수입 5.43 4.80 4.78 4.83 4.89 5.004 6 11. 도로별 적정교통량 4.87 4.91 4.76 5.07 4.89 4.913 8 12. 도로건설 평균단가 4.67 4.87 4.67 5.13 5.04 4.874 9 13. 도로교통혼잡비용 4.52 4.52 4.50 5.09 4.57 4.668 13 14. 국가물류비 4.57 4.54 4.63 4.83 4.67 4.655 14 15. 최근 5년간 도로부문 투자현황 5.37 4.89 5.11 5.24 5.26 5.209 2 16. 전국 도로투자실적 5.20 4.74 4.93 4.91 4.96 4.980 7 17. 도로교통사고 현황 5.04 4.41 4.59 5.02 5.00 4.867 10 18. 도로안전 시설확충 현황 및 계획 5.00 4.37 4.39 4.50 4.65 4.635 16

평 균 5.008 4.760 4.684 4.884 4.921

순 위 1 4 5 3 2

우선순위 중요도 가중치 () 4.413 2.304 2.174 3.761 2.348 주) 기타는 점수를 부여하지 않았다.

주) 는 만족도 평가항목 s (s=1,...,5)에 대한 가중치를 나타낸다.

<표 3-6> 만족도 순위 산출

구분 신뢰성 구득성 상세성 활용성 이해성 평균

1. 시도별 도로보급율 4 2 12 13 1 5

2. 시도별 4차로이상 비율 2 4 1 8 3 3

3. OECD 국가별 도로현황 14 18 15 14 9 15 4. 주요국가 도로보급율 14 14 18 17 13 17 5. 도로수송실적 및 수요전망 18 17 17 16 18 18

6. 자동차 보유현황 1 1 5 2 3 1

7. 도로별 일평균 교통량 및 구성비 12 5 8 9 7 10 8. 도로별 교통이용현황 10 10 10 15 14 12

9. 고속도로 이용차량 3 3 3 10 5 4

10. 고속도로 통행료 수입 5 9 6 11 11 6

11. 도로별 적정교통량 11 5 7 5 11 8

12. 도로건설 평균단가 13 8 9 3 6 9

13. 도로교통혼잡비용 17 13 14 4 17 14

14. 국가물류비 16 12 11 11 15 13

15. 최근 5년간 도로부문 투자현황 6 7 2 1 2 2

16. 전국 도로투자실적 7 11 3 7 10 7

17. 도로교통사고 현황 8 15 13 6 7 11

18. 도로안전 시설확충 현황 및 계획 9 16 16 18 16 16

평 균 1 4 5 3 2

<그림 3-3> 각 통계정보별, 평가기준별 점수

4.00 5.00 6.00

신뢰성

구득성

상세성 활용성

이해성

4-1. 시도별 도로보급율 4-2. 시도별 4차로이상 비율 4-3. OECD 국가별 도로현황 4-4. 주요국가 도로보급율 4-5. 도로수송실적 및 수요전망 4-6. 자동차 보유현황 4-7. 도로별 일평균 교통량 및 구성비 4-8. 도로별 교통이용현황 4-9. 고속도로 이용차량 4-10. 고속도로 통행료 수입 4-11. 도로별 적정교통량 4-12. 도로건설 평균단가 4-13. 도로교통혼잡비용 4-14. 국가물류비 4-15. 최근 5년간 도로부문 투자현황 4-16. 전국 도로투자실적 4-17. 도로교통사고 현황 4-18. 도로안전 시설확충 현황 및 계획

라. 최적화척도법을 이용한 상대적 만족도 분석

앞 절에서는 현재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는 각각의 도로교통 통계정보에 대하 여 전문가들의 만족도(정보의 신뢰성, 구득성, 상세성, 활용성, 이해성)에 관하여 절대적 만족도 지표를 이용하여 도로교통 통계정보에 대해 평가하였다.

그러나 평균치를 이용하는 비교적 단순한 분석방법에 의해서는 평균값만을 중 심으로 만족도를 평가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현재 전문가 집단이 지각하고 있 는 도로교통 통계정보의 문제의식이나, 질문항목(도로교통 통계정보)간의 상호 관련성 등에 대한 분석에는 미흡한 점이 있다. 또한, 비교적 만족도가 높다고 할 지라도 평균치만으로는 정책의 우선도, 문제점들을 파악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예를 들면, 전문가 집단이 도로교통 혼잡비용 정보의 활용도에 대한 만족도가 높 게 평가하고 있다고 할지라도 구득성에 대한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경우 효 과적으로 도로교통 통계정보가 활용되고 있다고 할 수 없을 것이며 이와 같은 경우 구득성을 높이기 위한 정책도입이 필요할 것이다. 따라서 만족도 지표간의 상호관계를 보다 계량적으로 파악할 필요성이 높다고 판단된다.

본 장에서는 이와 같이 도로교통 전문가 집단으로부터 조사된 만족도 데이터 를 이용하여 상대적 만족도 지표를 이용하여 보다 상세하게 분석함으로서 효과 적인 정책도입을 위한 방안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최 적화척도법(optimal scaling)을 이용하였다.

최적화척도법은 주로 마케팅 분야에서 사용되어 온 방법으로 제품에 대해 소 비자들이 가지고 있는 이미지나 만족도 등에 관한 분석을 위해 주로 사용되어 왔다. 특히, 많은 측정요인들에 의하여 조사된 데이터를 가능한 한 적은 수의 차 원으로 표현함으로서 측정요인들간에 내재되어 있는 내적관계(응답된 측정요인 들 간 또는 만족도간의 상관관계)를 보다 효과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 다. 도로교통 통계정보의 제공 또한 소비자 (전문가 또는 사용자)의 만족도와 활 용도를 높이기 위해 사용자가 도로교통 통계정보에 대해서 가지고 있는 만족도 를 파악하고 효과적인 정보제공을 위한 정보 제공자 (공공기관 등)의 노력이 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