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변수 신뢰성 및 타당성 검증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83-87)

I. 서 론

Ⅴ. 실증분석

5.1 변수 신뢰성 및 타당성 검증

그러나 이러한 변수들 사이간의 경계가 항상 정확한 것은 아니다 라고 할 수 있다. 확증적인 요인분석을 실행하기 위해 기존의 통상적인 연구 대상에 많은 사전적인 지식을 갖고 있어야 한다(정충영, 2007).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탐색적인 요인분석과 함께 확증적 요인분석을 병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적절하게 요인으로 묶이지 않게 되거나, 전체 항목 들 간의 상관관계를 검토한 결과에 따라 수정된 총 점수의 상관관계가 낮게 나타나고 Alpha값을 개선시키는 항목 등은 최종분석에서 제외되었다.

5.1.1 변수의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성분석

본 연구의 타당성에 관해서는 측정도구들이 측정하고자 하는 개념이나 그 변수들의 속성을 얼마나 정확히 측정하는가를 의미하게 된다고 할 수 있다.

타당성 평가는 평가 방법에 따라서 개념적 타당성, 기준관련 타당성, 내용적 타당성의 개념으로 나눌 수 있다. 일반적으로 내용적 타당성은 측정도구들에 대한 대표성에 대한 개념이라 할 수 있고, 기준 관련타당성 경우에 특정변수 들간 통계적인 관계를 규명하게 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개념 타당성은 변수들 간의 특성에 관한 것으로 측정자체에 대한 정확성 개 념으로 볼 수 있다. 개념타당성에 대한 통계적인 방법으로 보통 요인에 관한 분석(Factor Analysis)을 통한 방법들이 사용되고 있는데, 본 연구에는 변수들 간의 판별 타당성 및 개념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요인 추출에 있어서는 얻어진 자료의 손실을 최소화하고 요인들의 수에 관해 적절히 줄이기 위해 주성분요인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의 방식 을 사용하였으며 요인들의 회전에 있어서 직각회전방식(Varimax)의 방법을 선택하였다.

외생변수들에 대한 요인 분석과 그에 따른 결과는 <표 5-1>에서 나타난 바와 같다. 디지털 교육훈련, 영업성과, 디지털 소통역량, 직무성과, 혁신적 채 용, 디지털 조직문화로 나타났으며 이는 32문항 중에서 9개 문항을 제외하고

나머지 23개의 문항 등이 6개 요인으로 구분되어 제시하였다.

각각의 요인별로 적재치(Factor Loading)에 관해서 0.6이상의 변수들만 추출하였으며 그에 따른 결과 디지털 교육훈련을 설명해주는 설명분산은 13.86%, 영업성과를 설명해주는 설명분산은 12.81%, 디지털 소통역량은 11.04%로 나타났으며 직무성과를 설명해주는 설명분산은 10.99%, 혁신적 채용을 설명해 주는 설명분산은 9.81%이였으며, 디지털 조직문화의 설명분 산은 9.69%로 도출되었다.

전체적인 누적 분산 설명비율은 68.24%로 제시하였다. 또한 도출 되어진 차원들간의 내적 신뢰성에 대한 검증을 위해서 Cronbach's Alpha을 통한 분석결과 따르면 모든 차원들이 기준값 0.6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각 문항들에 대한 신뢰성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반복된 유사한 질문들은 각각의 항목간의 상관관계를 구하여 상관관계의 값이 낮은 값을 제거하는 방법을 통해 변인들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Cronbach's Alpha 분석결과 디지털 교육훈련은 α=0.906, 영업성과는 α=0.902, 디지털 소통역량은 α=0.875, 직무성과는 α=0.842, 혁신적 채용은 α=0.814 이었으며 디지털 조직문화는 α=0.792로 나타났다.

변수 디지털

교육훈련 영업성과 디지털

소통역량 직무성과 혁신적

채용

디지털 조직문화

디지털교육훈련5 .853 .225 .010 .206 .152 .102

디지털교육훈련3 .847 .087 .308 .035 .200 .076

디지털교육훈련2 .807 .362 .135 .118 .285 .097

디지털교육훈련1 .773 .303 .191 .091 .184 .159

영업성과4 .145 .849 .165 .192 .275 .021

영업성과2 .277 .806 .125 .188 .287 .057

영업성과1 .183 .799 .288 .078 .142 .174

영업성과3 .376 .773 .131 .221 .039 .091

디지털소통역량4 .162 .098 .854 .213 -.086 .088

디지털소통역량5 .032 .202 .842 .308 .214 .113

디지털소통역량3 .207 .162 .786 .000 .251 .091

디지털소통역량1 .167 .211 .777 .234 -.161 .140

직무성과1 -.002 .138 .066 .912 -.044 .106

직무성과4 .209 .306 .188 .802 .044 .133

직무성과3 .159 .055 .297 .754 .421 .163

직무성과5 .125 .091 .242 .667 -.109 .126

혁신적모집채용3 .382 .202 .066 .033 .783 -.022

혁신적모집채용2 .245 .469 .092 .038 .723 .130

혁신적모집채용4 .483 .289 .000 .041 .686 .129

디지털조직문화3 .091 .135 .135 .125 -.095 .725

디지털조직문화4 -.039 .143 .277 .096 .091 .719

디지털조직문화1 .138 .014 -.017 .204 .082 .687

디지털조직문화2 .295 .050 .061 .081 .221 .664

고유치 3.213 3.183 2.965 2.886 2.744 2.501 설명분산(%) 13.861 12.819 11.048 10.998 9.817 9.698 누적분산(%) 13.861 26.819 37.728 48.726 58.543 68.241

Cronbach's

Alpha .906 .902 .875 .842 .814 .792

<표 5-1> 변수들의 탐색적요인 및 신뢰성 분석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83-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