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5절 사회여건

3. 물질결핍

1988; Townsend, 1993; Salmond와 Crampton, 2002 재인용). 지역사회 의 물질결핍 상태를 반영하는 지수중 대표적인 것으로는 영국에서 개발된 UPA score(underprivileged score)(Jarman 1983, 1984)와, Townsend index(Townsend, et al., 1988), Carstairs index(Carstairs와 Morris, 1991), Index of Multiple Deprivation(Office of the Deputy Prime Minister, 2004)과 뉴질랜드에서 개발된 NZDep Index of Deprivation 등이다.

UPA score는 최초에 지역사회의 일차의료 수요를 측정하기 위해서 Jarman(1983)에 의해 개발되었다. 8가지 종류 지표로 구성되는 UPA는 특 정 인구의 전체 지역사회 인구에 대한 비율을 구한 뒤, 이들 각각에 대해

105

제 1 세 부 제 4 장 기 후 변 화 취 약 성 평 가 모 형

각각의 평균을 빼고 표준편차로 나누는 z-score 방법을 통해서 표준화한 뒤 가중치를 곱해서 합한다. UPA score는 지수의 지표에 대한 가중치는 이 지표를 만들 당시 영국의 일반의들을 대상으로 각각의 지표가 자신의 업무량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를 설문조사하여 결정되었다.(Morris, et al, 1991; 이상규, 2002 재인용).

Townsend index는 지역의 물질결핍 정도를 반영하는 1) 실업 (Unemployed), 2) 과잉밀집가구(Households overcrowded), 3) 자동차 비 소유 가구(Households without a car), 4) 가옥 비소유 가구(Households not owner occupied)의 4개의 지표로 구성된다(Townsend 1988). 지수를 구성하는 지표에서 알 수 있듯이 지수가 높을수록 물질결핍의 정도가 높다 는 것을 의미한다.

Carstairs는 영국의 스코틀랜드 지방을 중심으로 지역의 물질결핍 상태를 반영할 수 있는 Carstairs index를 개발하였다(Carstairs, et al., 1991).

Carstairs index는 1) 남성 실업(Unemployment among men), 2) 자동차 비소유 주민(Not having a car), 3) 낮은 사회계급의 가장(Low social class), 4) 과잉밀집가구 주민(Overcrowding)의 4가지 지표로 구성된다.

NZDep2001 Index of Deprivation(이하 NZDep2001)은 뉴질랜드 Health Research Council의 지원 하에 Health Services Research Centre 에서 개발되었는데, NZDep91, NZDep96의 업데이트 버전으로 개발되었 다. NZDep2001는 결핍과 관련하여 8개 차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결핍 지수의 점수화를 위해 사용된 변수는 9개 변수로 2001 뉴질랜드 센서스 자료에서 추출되어 사용하였다.

영국의 Deputy Prime Minister에서는 Index of Multiple Deprivation (이하 IMD)2004를 개발하였다. IMD2000에 대한 업데이트 버전인 IMD2004는 Super Output Area(이하 SOA)9)으로 구분되는 소지역 단위

9) Super Output Area는 소지역 단위 연구를 위해 지역을 구분하는 단위이다. SOA는 기존 에 사용하던 선거구가 매년 일정하지 않는데서 오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으며, 각 지역 별로 인구의 크기가 비슷하여 통계적 비교에 장점이 있다고 보고되었다.

106

영역 UPA* Carstairs* Townsend* NZDep2001† Canada‡ IMD§ 비고

실업 6

<표 1-4-19> Indices of Deprivation10)

자료: * Eames, et al., 1993, †Salmond와 Crampton, 2002, ‡Deprivation and Health in Québec, http://pages.usherbrooke.ca/primus/docs/Pampalon_GeoSante2005_en.ppt, 2007/9/9

§ Office of the Deputy Prime Minister, 2004.

107

제 1 세 부 제 4 장 기 후 변 화 취 약 성 평 가 모 형

영국에서는 최근 지역의 물질 결핍 수준을 생산하는 방법으로 기존의 Townsend 지수나 Carstairss 지수보다 점차 Index of Multiple Deprivation 사용빈도가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보여지는데, 특히 소지역 (small area) 단위로 지역의 물질 결핍지수를 생산하는 많은 연구에서 Index of Multiple Deprivation을 사용하고 있다.

국내에서 지역을 분석단위로 한 결핍지수는 주로 외국의 결핍지수(타운 젠드나 카스티어지수)를 이용한 것이 대부분이다. 신호성 등(2009)는 사회 적 배제에 기반을 둔 지역결핍지수인 통합결핍지수를 개발하였다. 손미아 (2002)는 1993년~1997년 통계청 사망자료와 1995년 인구센서스자료를 이 용하여 직업과, 교육수준, 그리고 물질적 결핍수준이 사망률에 미치는 영향 에 대해 연구하면서 카스티어지수를 변형한 지표를 개발하였다. 이 지표는 5개의 변수로 이루어졌는데 “과잉밀집도”, “남자실업률”, “낮은 사회계급의 가장”은 Carstairs 지수(1991)에서 사용한 것과 같은 개념을 이용하였고, Carstairs 지수에서 사용했던 “자동차 소유”는 우리나라 센서스에서 없었기 때문에 대신 Townsend 등(1986)이 제안한 무가옥 소유와 거주시설의 부 재를 추가하여 사용하였다.

정백근 등(2006)은 1995년, 2000년 인구센서스자료를 이용하여 Townsend 지수를 계산하였다. 이때 1995년도 센서스 자료의 경우 자동차 소유여부에 대한 설문문항이 없었기 때문에, “자동차가 없는 가구의 분율”

을 “낮은 사회계급의 가장의 분율”로 대치하여 사용하였으며, 최종적으로 Townsend 점수에 따라 지역을 4분위로 구분하였다.

신호성 등(2009)은 실업, 빈곤(공적부조), 주거, 노동, 사회적 관계의 5가 지 사회적 배제영역을 이용하여 지역사회 결핖지수를 개발하였다. 이때 사 용한 각 영역의 지표는 실업률, 기초생활 수급자, 최저거주기준미달, 낮은 사회계급, 편부모 가구이다(<표 1-4-20> 참조>). 신호성 등의 통합결핍지 수는 기존의 물질결핍지수와 달리, 주거 결핍과 편부모 가구 등 사회적 지 지에서의 배제 등을 포함하며 빈곤영역 측정을 위하여 절대적 빈곤기준인 기초생활 수급자 수를 읍면동 별로 산출하여 지표에 포함시켰다.

108

사 회 보 건 분 야 기 후 변 화 취 약 성 평 가 및 적 응 역 량 강 화

배제영역 지표

(Domain) 지표의 조작적 정의(Definition)

실업 실업률 15~64세 인구 중 구직상태에 있으면서 신체적으로 일을 할 수 있는 사람 비율

빈곤 기초생활

수급자 기초생활 수급 대상자 비율

주거 최저기준미달 최저거주기준 미달가구 비율(면적, 방수, 시설-입식부엌, 수세식화장실, 목욕시설 )

노동 낮은

사회계급 가구의 가구주가 단순노무직에 종사하는 가구의 가구원 수 비율 사회적

관계 편부모 가구

60세 미만 부모 중 세대구성이 부+자녀 이거나 모+자녀인 가구의 사람 비율

<표 1-4-20> 통합결핍지수 구성 지표

자료: 신호성 등, 2009

통합결핍지수는 5개 영역을 모두 동일한 분포를 가지도록 변환한 후 한 영역의 결핍순위가 미치는 과도한 영향을 배제할 수 있는 기전을 만들었다.

예를 들면 한 영역의 변환값이 0이고 다른 영역의 변환값이 100일 때 동 일가중치 정규분포를 가정할 경우 합산된 값은 50분위에 해당하게 되지만 변환식을 적용하면 90분위에 해당하는 값을 가지게 된다. 통합결핍지수는 0~500 사이의 점수분포를 가지며 점수가 높을수록 지역적 결핍이 높은 것 을 나타낸다(신호성 등, 2009).

[그림 1-4-27] 서울지역 읍면동 통합결핍지수

109

제 1 세 부 제 4 장 기 후 변 화 취 약 성 평 가 모 형

[그림 1-4-28] 읍면동 통합결핍지수 분포

<그림 1-4-27>과 <그림 1-4-28>은 통합결핍지수의 읍면동 분포를 서울 지역과 전국적인 수준에서 분포를 보여준다. 서울지역은 전통적인 지역적 편차를 보여주는데 강남지역과 강북지역이 대조를 이룬다. 전국적인 분포에 서는 대도시지역과 경기지역이 (결핍정도가 낮은) 두뜨러진 옅은색을 보이 며 지리산을 중심으로 한 인근지역과 경북 일부지역이 짙은색으로 채색되 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