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문화는 여러 가지로 정의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 국가사회의 문 화를 가장 기본적으로 규정하는 특징을 지배적인 가치중점들(prevailing value emphases)로 보고자 한다.(Schwartz, 2014, 548) 이는 인간의 사회행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 가치나 규범이라는 것과 미래위기는 인간의 사회행위에 의해 야기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의미 있는 문화의 규 정이라 할 수 있다. 즉 문화환경에서의 가치중점의 변화로 인하여 미래위 기가 발생하는 경우 미래위기의 발생위치를 문화환경으로 볼 수 있다.

3. 발생위치의 혼합에 의한 복합적 위기

상기한 미래위기의 발생위치들은 각각이 하나로 묶을 수 있는 공통의 특징이 있었다. 그러나 어떤 위기는 이러한 여러 위치들이 동시에 작용하 여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복합적 위기라 부르고자 한다. 현대에서는 상기 한 사회조직, 인구현상, 기술, 가치 등에 있어 복잡성이 증가하고 있어 이 들이 결합되어 발생하는 복합적 위기의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정지원 편, 2009, 8)

예를 들어 광우병이나 조류독감, 사스 등의 신종전염병의 발생은 자연 환경에 그 위기의 위치를 찾을 수 있다. 그러나 직접적인 건강상의 피해 나 경제적 피해도 크지만 신종전염병으로 인한 심리적 파급효과의 영향 이 클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정부에 대한 불신이 커져 정치적 위기로 발전 할 수도 있다.(정지원 편, 2009, 5) 이렇듯이 신종전염병은 자연환경에서 발생하였지만 여러 가지 경로를 통해 사회조직의 기능인 경제와 정치는 물론 문화환경에 속하는 사회의 심리적 차원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복합

적인 위기를 시현한다.

4. 본 연구 분류의 응용 1: 미래위기의 종류

위에서 미래위기의 종합적 분류를 위해 제시한 사회조직과 그 환경을 중심으로 한 기준은 그 포괄성과 체계성에 있어 실용적인 우수성이 있다 고 보여 진다. 이는 다음의 두 가지 응용의 예를 들어 설명될 수 있겠다.

하나는 다른 종합적 연구에서 제시되는 미래위기의 원인들을 포괄하면 서도 그 체계성에서 우수하면 된다. 그를 위해 예를 들면 정지범(펀저, 2009, 3-8)은 전 세계적으로 위기관리의 중요성이 부각되는 원인으로 자 연환경의 변화(지구온난화로 인한 기상이변, 신종전염병의 확산 등), 경 제·사회적 환경의 변화(초고령사회, 인구의 집중현상, 양극화 현상), 기술 적 환경의 변화(기술적 결함, 기술의 복잡성과 정보화기술로 인한 사회의 네트워크화, 생명공학기술과 나노기술), 정치적 환경의 변화(공공서비스 전달과정에서의 민간부문과 비영리부문의 참여 확대), 국제적 환경의 변 화(세계화, 초국가적 테러), 재난의 복잡화(인위재난과 자연재난의 복합, 소규모 자연재해의 부적절한 대응으로 인한 확대재생산 및 대규모화와 그로 인한 사회 전반적 위기상황 초래와 종합위기화, 두 가지 유형 이상 의 자연재해 복합)를 들고 있다.

이들을 본 연구의 분류에 대응하면 자연환경의 변화와 기술적 환경의 변화는 본 연구의 자연환경과 기술에 해당하고, 경제·사회적 환경의 변화 와 정치적 환경의 변화는 사회조직의 기능에 해당하며, 국제적 환경의 변 화는 사회조직의 수준으로 설명되고, 마지막으로 재난의 복잡화는 본 연 구의 복합적 위기에 해당한다. 즉 본 연구는 다른 종합적 연구의 미래위 기 분류를 포괄할 수 있다. 더 나아가 그 제시방법이 상기한 연구의 나열

식과 달리 체계적이고, 그림으로 미래위기 분류 요인들 간의 관계가 선명 하게 제시되고 있다는 점에서 실용적 우수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5. 본 연구 분류의 응용 2: 연구의 범위

다른 하나는 연구의 범위를 제시하는 측면에서도 포괄성과 체계성이 있다는 것을 보일 수 있다. 대표적 연구인 정지범(편저, 2009, 10-12)에 서는 연구의 범위를 국가가 관리하는 위기의 대상으로 보았다. 이는 국가 의 공적인 미래위기 대응이라는 본 연구의 관점과 같다.

이에 따르면 국가를 단위로 보는 관점에서 제일 먼저 자연적으로 발생 한 위기개념은 대외적인 군사적 위협이었고 이는 국가안보라는 차원에서 다루어졌다. 미래위기를 다루는 문헌에서 군사적인 측면을 포함하는 국 가안보가 많이 다루어지는 것은 이러한 이유에서임을 알 수 있다.

이후 냉전구도가 해체되고, 국가의 중심적 역할도 경제성장을 중시하 는 발전국가시대를 거쳐 국민의 생명과 재산 그리고 안전을 지키는 것을 중시하는 복지국가로 변화되었다. 이에 따라 국가가 관리하는 위기의 영 역도 대외적이고 군사적인 측면을 넘어서 사회조직의 모든 수준과 전 기 능을 포괄하고 자연환경과 문화환경까지 포함하는 포괄적 위기개념으로 확장되고 있다. 이러한 역사적 발전과정을 배경으로 정지범(편저, 2009, 11)은 다음과 같은 영역별 위기의 유형분류를 제시하고 있다. 사회조직의 수준에서 국외의 대외적 관계를 세분한 것은 분단된 우리나라 입장에서 대북 관계와 대주변국 관계가 중요한 것을 반영하여 적절하다고 판단된 다. 군사적 영역과 비군사적 영역을 나눈 것은 국가위기에 대한 기본적인 초기 관점을 반영한 것으로 사회조직의 기능에 해당하는 분류로 볼 수 있 다. 이중 군사적 영역과 대북관계의 비군사적 영역 모두 전통적인 안보관

점과 관련이 되고, 논의가 자유롭지 못한 고도의 정치적인 분야임으로 상

하였고, 인위적 재난을 고의적 재난과 비고의적 재난7)으로 분류하였다.8) 이는 대처에 있어 의미 있는 차이를 가져올 수 있음으로 유용한 구분이라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추가되는 구분은 비군사적 영역에서 사회적 기능 중 보건 복지적 기능을 가능하면 별도로 다루는 것이다. 보건복지적 기능에 대해 서는 다음절에서 살펴본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미래위기 예측기관과 실행기관을 구분하여 살펴보 고자 한다. 이는 기존 국가사례분석에서(예를 들면 정지범 편저, 2009, 14-15) 구조(위기발생요인), 관리(법제도, 방재계획제도, 방재시책분야, 방재조직 분야), 실행(재해복구분야)로 위기관리체제를 나누어 체계적 접 근을 한 내용과 비교해 볼 수 있다. 미래예측기관과 실행기관의 조직에 관한 것은 주로 관리에 관한 내용이고, 미래예측기관의 예측내용에 관한 것은 구조의 위기발생요인에 관한 내용에 해당하며, 실행기관의 작동에 관한 내용은 재해복구분야의 실행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이러 한 본 연구의 의도된 연구범위와 내용은 기존의 체계적 분석의 틀과 상응 한다고 할 수 있겠다.

7) 본 연구의 사회적 차원의 설명에 따르면 고의와 비고의도 개인의 심리적 차원이 아닌 사 회적 의미 자체의 형태로 보아야 한다. 비고의성은 의도성이 없고 오류나 고장 등에 의한 경우이다.

8) 이외에 재난을 초래하는 매체(물, 불, 에너지 등)와 피해영역(건물붕괴, 화학공장화재, 산 사태 등)을 중심으로 분류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는 재난의 발생구조나 관리의 초점에 차 이를 가져오는 특성이 약하다. (정지법 편저, 16의 주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