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지역 유형에 따라서 몇 가지 지역적 특성이 나타나고 있다. 울산북구와 같은 전형적인 대도시 지역은 가임여성비율 이 높고 주 출산 연령집단의 취업자 비율도 높다. 그리고 자영업자비율 이 높은 지역이다. 태백시와 같은 지역은 전형적인 중소도시로써 대도 시와 농촌지역의 중간 형태를 보인다. 즉 가임여성비율은 중간 수준이 며 자영자 비율은 낮은 특성을 보인다. 의령군과 같은 전형적인 농어촌 지역은 가임여성규모가 작고 자영자비율은 중간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63

3

다른 한편 회귀분석 결과에 따르면 지역 단위의 출생성비와 조혼인율 이 지역의 출산율에 양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리고 가임여성인구비율과 자영업자비율은 지역 수준의 출산율에 음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가임여성인구비율은 출산의 양적 규모를 증가시킬 수 있 는 잠재적 요인이다. 그러나 오히려 이 잠재적 가능성이 출산으로 이행 하지 않는다면 합계출산율 계산식에 의하여 출산율을 떨어뜨리는 방향 으로 작용한다. 왜냐하면 합계출산율 계산식에서 가임여성규모는 분모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자영업자비율은 가임여성의 경우 경제활동으로 인한 가구소득 확보라 는 측면에서 출산의 경제적 동기를 제공해준다. 그러나 반대로 경제활 동은 출산율을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영향을 미칠 수도 있으며, 자영업 은 임금근로와 달리 근로시간의 불규칙함이나 장시간 근로 관행에 따라 출산 및 육아 환경에 적합하지 않은 부분도 있다.

그런데 회귀분석 결과 가임여성인구비율이 출산율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가임여성의 잠재적 출산 가능성이 어떤 요인에 의하여 제한되고 있는 것이다. 자영업자비율 역시 출산율에 부정적 영향을 미 치는 것은 자영업자의 출산 및 육아 환경에 어떤 어려움이 존재한다는 의미일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의 일환으로 실시한 가임여성 조사결과도 의미 있는 시사점을 나타내고 있다. 결혼 전이나 결혼 후 1년 동안 직장을 그만둔 적이 있는지를 질문 한 결과, 전체 1,182명 중 그 기간 동안 비 취업이었던 사람은 151명으로 12.8%였는데 그 사람들을 제외하고 결 과를 보면, 결혼 전후 1년간 직장을 그만둔 경험이 있는 경우는 56.0%

로 과반수가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구분에 따른 특성을 살펴보면, 결혼 전후 1년간 직장을 그만둔

64

군 지역 40.7%로 나타났다. 도시지역에 해당하는 구지역과 시지역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을 나타내고 있어, 특히 구지역의 경우 향후 정책 방향에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표 3-9〉출산 전후 1년간 직장 그만둔 경험

(단위: %, 명)

구 분 있음 없음 (명)

전체 49.3 50.7 100.0 907

연령 20대 59.2 40.8 100.0 49

30대 51.5 48.5 100.0 396

40대 46.3 53.7 100.0 462

시군구 48.0 52.0 100.0 433

40.7 59.3 100.0 59

51.8 48.2 100.0 415

동읍면 49.3 50.7 100.0 799

45.5 54.5 100.0 66

54.8 45.2 100.0 42

취업여부 비취업 50.2 49.8 100.0 558

취업 47.9 52.1 100.0 349

종사상지위 자영업자등 45.5 54.5 100.0 77

상용근로자 44.6 55.4 100.0 195

임시,일용근로자 60.0 40.0 100.0 65

주 : 무응답은 분석에서 제외하였음.

자료: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11), 『지자체 저출산 대책 관련 주민 욕구조사』.

그리고 우선 낮 동안에 초등학교 이하 자녀를 누가 돌보고 있는지를 물어본 결과, 본인이나 남편이 보는 경우가 51.6%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은 보육시설이나 유치원 20.0%, 학원 19.5%, 베이비시터나 친인척 3.6% 순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다른 지역에 비해 시 지역인 경우 보육시설이나 유치원 을, 구 지역인 경우 본인이나 남편, 군 지역인 경우 베이비시터나 친인 척이 돌본다는 응답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여기서 알 수 있는 것은 구 지역의 본인 및 남편 돌봄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는 구 지역에서 일가족양립의 어려움으로 인한 노동시장 이탈 후에 자녀를 직

66

67

3

태백시와 같은 중소도시의 경우 가임여성인구 비율이 세 가지 지역 유형 중 중간수준에 해당하며 자영업자비율은 가장 낮은 특성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자영업자비율이 낮기 때문에 취업자 지원보다는 가임여성 의 출산 중단의 원인에 대한 정책적 개입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 조사 결과에서도 알 수 있었듯이 중소도시 지역의 보육시설 이용율이 상대적 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보육프로그램에 대한 점검이 필 요하며 보육인프라의 확대 및 자녀 양육비용에 대한 일부 지원을 검토 해야 한다.

다음으로 의령군과 같은 농촌의 경우 다른 지역 유형에 비해 가임여 성인구비율이 낮고 자영업자비율은 중간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이 경 우는 보육인프라의 양적 확대보다는 가구단위 지원프로그램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 기혼여성 조사결과에 따르면 현재 가정보육 이용율이 상 대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나는 지역이 군지역이었다. 따라서 향후 군지 역에서는 가정보육 활성화 방안과 지역자원 활용방안 및 직접적인 자녀 양육비용의 지원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K I H A S

04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