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맺는 말

문서에서 세계농업 (페이지 115-125)

3월

5. 맺는 말

106 ∙

세계농업 2019. 4월호

목질 바이오매스 이용의 선진 사례를 조사하고, 그 결과를 2017년 보고서 「지역 내 에코시스 템의 구축~마을에서 새로운 목질 바이오매스 이용의 추진~」으로 정리하였다. 이 시스템은 마을을 대상으로 하며, 행정 중심의 지역관계자가 참여하는 협의회가 주도하여 고효율의 열 이용과 열전병합을 실행하는 것이다. 2017년 예비타당성 조사를 위해 유바리시(홋카이 도), 세키시(기후현), 지즈시(돗토리현)에서 시범사업을 실시하는데, 사업의 성과와 과제를 검증하여 이후의 조치에 반영할 계획이다.

일본의 산림·임업과 정책동향

국가별 농업자료

∙ 107

비용절감을 위해 임도망 확충, 벌채 후 재조림의 일관작업 시스템, 저밀도 조림, 콘테이너 묘 공급, 제안형 시업집약화, ICT를 활용한 비용절감, 활엽수림화 등 다양한 활동을 시도한 다. 우리나라도 일본의 사례를 참고하여 임업의 비용절감에 노력해야 한다. 무엇보다 산림경 영의 기초 인프라라고 할 수 있는 임도망의 확충이 필요하다. 임도가 확보되어야 사람이 접근할 수 있고 산림경영 활동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임도망은 일본에 비해 매우 빈약한 실정이다.

넷째, 산림경영방식의 개선이 필요하다. 목재가격이 하락하고 인건비가 상승하는 여건에 서 인공조림 후 벌기령에 개벌 수확하는 기존의 산림경영방식은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 다. 일본에서는 공익기능의 지속적 발휘를 위해 활엽수림화하거나 저밀도 조림 등을 추진한 다. 또한 임목수확을 사업체에 맡기지 않고 산주가 직접 수확하는 자벌임업도 확산된다. 우리나라에서도 산림경영방식을 개선하여 산림의 공익기능을 유지하면서 경제 기능을 발휘 하는 산림경영방식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108 ∙

세계농업 2019. 4월호

참고문헌

민경택 · 김명은 · 권수현 . 2015. 『산림계획제도 개선 방안 연구』 . C2015-26.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민경택 · 석현덕 · 최준영 . 2017. 『산림경영의 수익성 개선을 위한 정책과제』 . R817.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柿澤宏昭 . 2018. 『日本の森林管理政策の展開―その内実と限界―』 . J-FIC.

農林水産省 . 2018. 2015 年農林業センサス総合分析報告書』農林統計協会 . 農林水産省 . 2015. 『平成 25 年度林業経営体の林業経営収支』 .

林野庁 . 2018. 『平成 30 年版森林 · 林業白書』 . 林業経済研究所 . 2018. 『森林のルネサンス』 . J-FIC.

森林総合研究所 . 2013. 『低コスト再造林の実用化に向けた研究成果集』

森林経営管理法研究会 2018. 『早わかり森林経営管理法』 . 大成出版社 .

참고사이트

일본 임야청 (http://www.rinya.maff.go.jp)

朝日新聞 (2018326 일 사설 ) (https://www.asahi.com/articles/DA3S13420454.html)

쉎 국가별 농업자료

연도별 월별 제 목

2015년

1월

이스라엘‧ 파라과이이스라엘 농업 개황 및 농업정책 파라과이 농업 현황과 시사점

2월

나이지리아나이지리아 농업 현황 및 시사점

3월

볼리비아・대만‧ 카자흐스탄 볼리비아 농업 현황과 시사점 대만 농업 현황

카자흐스탄 농업 현황과 시사점

4월

노르웨이‧ 뉴질랜드노르웨이 농업 현황과 시사점 뉴질랜드 농업 현황과 시사점

5월

루마니아‧ 콜롬비아루마니아 농업 현황과 시사점 콜롬비아 농업 현황과 시사점

6월

우즈베키스탄‧ 키르기스스탄 우즈베키스탄 농업 현황과 시사점 키르기스스탄 농업 현황과 시사점

7월

핀란드‧ 쿠바‧ 르완다 핀란드 농업과 농정의 특성 쿠바의 지속가능한 농업과 정책 르완다의 농업발전정책

8월

스웨덴‧ 덴마크스웨덴의 농업혁명과 지속가능한 농업 덴마크 농업 현황과 시사점

9월

투르크메니스탄‧ 타지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의 농업 현황과 시사점 타지키스탄의 농업 현황과 시사점

10월

방글라데시‧ 캐나다방글라데시의 농업현황과 농업정책 캐나다의 농업 및 농식품산업 현황

11월

우간다‧ 르완다우간다 농업협동조합

르완다 농업 현황과 시사점

12월

엘살바도르‧ 아르헨티나 엘살바도르의 농업 현황과 시사점 아르헨티나의 농업 현황과 시사점

국가별 농업자료 HISTORY

국가별 농업자료

∙ 109

   

쉎 국가별 농업자료

연도별 월별 제 목

2016년

1월

과테말라‧ 에콰도르과테말라의 농업 현황과 시사점 에콰도르의 농업 현황과 시사점

2월

니카라과니카라과 농업현황과 시사점

3월

브라질브라질의 농업현황과 시사점

4월

미얀마미얀마의 농업현황과 정책

5월

스리랑카스리랑카의 농업현황과 정책

6월

파키스탄파키스탄의 농업현황과 정책

7월

쿠바쿠바농업의 이해와 협력가능성

8월

네팔네팔의 농업 현황과 정책

9월

불가리아불가리아의 농업현황 및 정책

10월

남아프리카공화국남아프리카공화국의 농업현황과 정책

11월

아제르바이잔아제르바이잔의 농업현황

12월

이집트이집트의 농업 현황과 정책

2017년

1월

가나가나의 농업 현황

2월

필리핀필리핀의 농업현황과 정책

3월

우즈베키스탄우즈베키스탄의 농축산업 현황과 정책

110 ∙

세계농업 2019. 4월호

(계속)

쉎 국가별 농업자료

연도별 월별 제 목

2017년

4월

일본일본의 농업현황

5월

인도네시아인도네시아의 농업 현황과 정책

6월

세네갈세네갈의 농업 현황

7월

러시아러시아의 농업 정책과 전망

8월

온두라스온두라스의 농업현황

9월

오스트리아오스트리아의 농업 및 농업정책

10월

폴란드폴란드의 농업현황

11월

미국미국의 농업 현황과 농업 정책

12월

모로코모로코의 농업현황

2018년

1월

영국영국 농업과 브렉시트 영향

3월

벨기에벨기에 농업현황과 시사점

4월

EUEU의 농업 생산 동향

5월

EUEU 농업·농촌 및 공동농업정책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6월

싱가포르싱가포르 농업과 식량안보 전략

7월

스페인스페인의 농업 현황

국가별 농업자료 HISTORY

국가별 농업자료

∙ 111

(계속)

쉎 국가별 농업자료

연도별 월별 제 목

2018년

8월

EUU의 농가 및 농가경제 동향

9월

나미비아나미비아의 농축산업

10월

미얀마미얀마의 물이용 현황과 농업용수 관리정책

11월

대만대만의 농업 현황과 정책 동향

12월

스위스스위스 농업과 직접지불제도

2019년

1월

룩셈부르크룩셈부르크의 농업현황과 정책

2월

인도인도의 농업·농정 현황 및 과제

3월

라트비아라트비아의 농업 현황과 정책

세계농업 「국가별 농업자료」 원문자료 (https://www.krei.re.kr/wldagr/index.do)

112 ∙

세계농업 2019. 4월호

(계속)

Part 4

국제기구・연구 동향

농업용수 고갈에 관한 국제 포럼

|

임송수

농업용수 고갈에 관한 국제 포럼

국제기구·연구 동향

∙ 115

농업용수 고갈에 관한 국제 포럼

임 송 수 * 8)

1. 서론

물은 생명이다(water is life)” 물은 삶의 필요한 자원이나 그 공급이 제한되어 있다. 1980 년부터 세계의 물 사용량은 연간 1% 증가해왔다. 인구증가와 사회경제적인 개발 및 소비패 턴의 변화가 그 주된 원인이다. 이와 같은 세계의 물 수요 추이는 지금과 비슷한 양상으로 2050년까지 이어질 것으로 내다보인다. , 산업부문과 가정에서 물 수요는 현재 수준보다 20~30%가 증가할 것이다. 20억 명의 사람들이 물 스트레스(water stress)가 높은 국가에 살고 있으며, 40억 명의 인구가 연중 최소한 한 달 이상 심각한 물 고갈을 경험하고 있다.1) 앞으로 물 수요가 증가하고 기후변화의 영향이 집약되면서 물 스트레스 수준을 꾸준 히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처럼 물 부족과 고갈(scarcity)은 농업부문에 커다란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특히 농촌 빈곤이란 열악한 환경 속에서 소규모 가족농은 국가 식량 공급의 대부분을 담당하고 있으나 취약한 물 관련 하부구조에 직면해 있어 이로 인해 수백만 명의 삶에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 불충분한 예산이나 관리 능력의 부재로 말미암아 기존의 하부구조에 필요한 유지도 어려운 경우가 많다.

소규모 가족농에 물 관리는 하늘바라기(rain fed) 농업과 관개(irrigation) 농업 모두에 해당한다. 세계 작물 재배면적의 80%가량이 하늘바라기 농업이고 세계 식량의 60% 정도가 천수답에서 생산된다. 천수답에서 보완적인 관개를 시행하는 것은 작물의 생존율을 높일 뿐만 아니라 곡물의 단수를 2~3배 높일 수 있는 유용한 방식이다.

* 고려대학교 식품자원경제학과 교수 (songsoo@korea.ac.kr).

1) 물 스트레스는 전체 재생 가능한 담수(freshwater) 자원에서 연간 담수 추출량이 차지하는 비율을 나타냄. 이 값이 20%

이상이면 물 스트레스가 존재하는 것으로 간주함.

116 ∙

세계농업 2019. 4월호

이 글은 특히 기후변화의 틀 속에서 물 고갈에 직면하고 있는 농업부문의 현황과 대응과제 에 관해 다루고자 한다. 먼저 UNESCO가 발간하는 “2019년 세계 물 개발 보고서(

World

Water Development Report

2019)”에서 세계 수자원의 상태와 추이를 살펴본 후 서아프리카 카보베르데(Cabo Verde)에서 319~22일에 개최된 제1WASAG ‘농업용수 고갈에 관한 국제 포럼(International Forum on Water Scarcity in Agriculture)’의 내용과 결과를 정리해 제시하고, 관련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문서에서 세계농업 (페이지 115-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