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물 고갈의 개념과 요인 1. 물 고갈의 개념

문서에서 세계농업 (페이지 133-137)

3월

3. 농업용수 고갈에 관한 국제 포럼

3.2. 물 고갈의 개념과 요인 1. 물 고갈의 개념

물 고갈은 물 수요가 가용할 수 있는 물 공급을 초월한 것, 즉 그 격차를 말한다. 여기서 고갈은 ① 충족되지 않은 수요, ② 사용자 간 갈등, ③ 물에 대한 경쟁, ④ 지하수의 과잉 추출, ⑤ 자연환경으로 충분하지 않은 유량 흐름 등을 통해 드러난다. 또한 물 고갈은 능동적 인 개념으로, 자연적인 수문학적 변동의 결과로 시간에 따라 변하기도 하고 경제정책과 계획 및 관리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

물 고갈은 상대적인 개념이기도 하다. 그래서 모든 수급 수준에서 발생할 수 있다. 만약 물에 대한 접근을 개선하기 위한 법적․제도적 조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거나 제대로 작동하는 하부구조가 미흡하다면, 풍부한 물이 있어도 고갈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물 고갈과 비슷한 개념으로 물 부족(water shortage)’이란 표현이 있다. 이는 ① 수용할 만한 품질의 물 공급이 부족한 상태, ② 충분치 않은 수자원의 결과로 주어진 장소와 주어진 시간의 상태에서 낮은 수준의 물 공급, ③ 기후의 연간 또는 계절 간 차이로 인한 수자원의 낮은 수준 등을 포함한다. 상대적인 개념인 물 고갈과 달리 물 부족은 절대적인 개념이다. 물 고갈은 다각적인 측면에서 해석할 수 있다. 먼저, 물리적인 물 고갈은 환경측면의 유수를 포함한 모든 수요를 맞추기에 물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이다. 이로 인해 심각한 환경

5) (https://bit.ly/2VxlTs9)

농업용수 고갈에 관한 국제 포럼

국제기구·연구 동향

∙ 125

붕괴, 지하수 감소, 특정 그룹에 유리한 방식의 물 배분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이와 대조적으 로 경제적 물 고갈은 물에 대한 투자가 부족하거나 물 수요를 맞추기에 인간의 능력이 부족한 경우를 말한다. 경제적인 물 고갈의 증상은 미흡한 하부구조 개발로 말미암아 충분한 만큼의 농업용수와 식용수에 접근하기 어려운 것을 포함한다. 또한 하부구조가 갖춰져 있어 도 물의 배분이 공평하지 않은 일도 있다.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의 사례 대부분은 경제적 물 고갈의 특성을 나타낸다. 이에 따라 물 개발은 빈곤 감축에 크게 이바지할 수 있다.

3.2.2. 물 고갈 지표

국가의 물 고갈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가장 널리 알려진 것은 1인당 재생 가능한 물이다. 보통 5001,000 1,700m3//년을 기준으로 물 스트레스 정도를 나타낸다<1>. 이를 기준으로 각각 절대적(absolute)’, ‘만성적(chronic)’, ‘정상적(regular)’ 물 고갈로 구분한다. 이 대강의 지표는 주로 특정 단위의 수자원으로 적정하게 살아갈 수 있는 사람 수를 추정하 여 반영한다. 이 지표가 널리 사용되는 이유는 FAO의 수자원 자료와 UN의 인구 자료를 기반으로 하여 매년 세계 모든 나라에 대해 쉽게 산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2100년까지 추정된 세계 인구 전망치에 따라 앞으로 물 고갈에 관해 전망할 수도 있다.

<표 1> 물 스트레스 수준의 구분

연간 재생 가능한 담수

(m3/

/

)

물 스트레스 수준

< 500 절대적 물 고갈

500~1,000 만성적 물 부족

1,000~1,700 정상적 물 스트레스

> 1,700 간헐적 또는 지역적 물 스트레스

자료: FAO(2008)

반대로, 이와 같은 물 스트레스 지표는 물에 대한 접근성, 지역별 다른 해결책 등 특정 국가의 물 상황을 크게 단순화하고 있다. 예를 들면, 지배적인 기후조건, 연간 및 연내 수자원 변동성, 관리방식, 물 접근성, 물에 관한 권한, 사회적 배제, 부문 간 경쟁, 재활용 가능성, 비재래식 수자원 개발, 환경적인 물 요건 등을 반영하지 않는다. 국가 수준에서 평균값을 제시하는 것도 영토가 넓은 국가의 경우 지역 내 존재하는 큰 폭의 물 고갈 편차를 제대로 나타내지 못한다.

126 ∙

세계농업 2019. 4월호

3.2.3. 물 고갈의 요인

물 고갈의 요인은 크게 물 공급과 수요에 미치는 요소로 구분할 수 있다. <그림 5>은 연간 물 공급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나타낸다. 이들은 자연적 혹은 인위적 요소일 수 있다. 연간 수량과 그 시간과 공간 및 연중 변동성 분포는 기후와 지형학적 조건에 따라 좌우된다. 실제 물 공급량은 시스템 안에서 총 유량보다 크게 작게 나타난다.

인위적인 요소로서 물 정책 조치들은 물 공급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저수지 건설, 계절별 유량 변동의 감축, 물 저장방식의 개발 등 물 통제 조치를 통해 수량을 늘릴 수 있다. 과거에 는 주로 댐을 통해 지표수를 저장하는 방식을 사용하였으나 오늘날에는 지하수를 저장하는 방식이 늘고 있다.

<그림 5> 물 공급량에 미치는 요인들

자료: FAO(2008)

기후변화는 수문학적 체제와 담수 공급량을 변화시켜 하늘바라기와 관개농업 모두에 영 향을 미칠 전망이다. 기후변화는 반건조 지역에서 강수량의 감소, 온대지역에서 강수량 증대, 강수 분포의 변동성 확대, 기상이변 빈도의 증대, 온도 상승 등을 동반할 전망이다. 이는 특히 열대 및 아열대 농업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내다보인다. 강 유량과 체수층(aquifer)

농업용수 고갈에 관한 국제 포럼

국제기구·연구 동향

∙ 127

함량의 급격한 감소는 전체 지중해 유역, 남아프리카의 건조지대, 호주, 아메리카에서 나타 나 모든 형태의 물 공급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내다보인다.

물 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모두 인위적인 요소들이다. 인구, 인구의 증가율과 소비 패턴의 변화는 상품과 서비스 수요에 직접 영향을 미치고, 물은 이들의 생산, 가공, 배달과 연계된다. 물 사용 부문은 농업용, 산업용(냉각수 포함), 도시용(가정용 포함)으로 분류한다. 오락용 사용, 발전용, 환경 유량 등은 보통 소비 측면의 사용 주체로는 간주하지 않는다. 또한 인구는 토지사용과 물 사용 패턴의 변화를 통해 간접적으로 수자원에 영향을 미친다. 소득의 상승은 1인당 식량 수요를 증대시키고 육류나 유제품 소비를 촉진함으로써 곡물에 기초한 식사 패턴과 견주어 더 많은 물을 요구한다. 거의 모든 지역에서 1인당 평균 식량 소비량이 증가하고 있어 2050년에는 평균 3,000kcal//일에 이를 전망이다. 이는 연간 10억 톤 이상의 곡물과 2억 톤 이상의 육류가 추가로 생산되어야 함을 뜻한다.

또한 도시화도 식량 소비에 영향을 미친다. 도시와 대형시장, 식당, 간편식이 더욱 중요해 지면서 식품 체인이 늘어(더 많은 단계가 필요) 음식 쓰레기가 증가하고 있다. 이는 이러한 수요에 맞춰 식량 생산이 지금보다 더욱 증대되어야 함을 뜻한다. 이에 따라 관개 농지와 생산의 비중이 늘면서 농업용수에 관한 수요가 크게 늘 것으로 보인다.

이 밖에도 바이오 연료의 생산 증가가 농업용수 수요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바이오 연료 생산이 수자원에 미치는 잠재 영향은 지역의 농업과 기후조건 및 정책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관개 지역의 경우 바이오 연료가 미치는 영향은 상대적으로 크고 직접적일 것이다. 물 공급이 제한된 지역에서는 바이오 연료 생산의 증가가 다른 작물이나 사용처로 물 배분을 축소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기후변화는 농업용수 수요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세계 농업분포까지 변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더욱 빈번하고 심각한 가뭄과 홍수는 지역 생산, 특히 천수답 농업에 의존하는 저위도 및 식량 불안정 지역의 식량 생산에 음(-)의 영향을 미칠 것으로 내다보인다. 이는 세계 시장의 수요를 증대시키고, 관개 생산에 더욱 압력을 더할 것이다. 온도의 상승은 주요 강의 수문학적 체제의 이동과 더불어 농업용수 수요에도 커다란 영향을 미칠 것이다.

128 ∙

세계농업 2019. 4월호

문서에서 세계농업 (페이지 133-1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