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만성폐쇄성폐질환

문서에서 2016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결과 (페이지 69-75)

1. 만성질환

1.4 만성폐쇄성폐질환

1. 평가 목적

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관리의 질 향상을 도모하여, 중증으로의 이환을 줄이고 요양급여의 적정성을 제고하고자 함

2. 평가 추진경과

 2012년 만성폐쇄성폐질환 평가방안 연구(예비평가)

 2013년 예비평가 결과보고 및 평가계획 심의(중앙평가위원회)

 2014년 평가세부추진계획 보건복지부 승인 및 공개

 2015년 12월 1차 적정성 평가결과 공개

 2017년 1월 2차 적정성 평가결과 공개

3. 평가대상

1) 대상환자

 평가대상 기간 중에 만성폐쇄성폐질환(J43~J44, 단 J43.0은 제외)을 주 또는 제1부상병으로 요양기관을 이용한 만 40세 이상1) 환자로서,

- 만성폐쇄성폐질환약을 사용한 외래진료가 2회 이상인 환자 또는,

- 전신스테로이드2)를 사용한 입원진료가 있고(and), 만성폐쇄성폐질환약을 사용한 외래진료가 있는 환자

1) 만성기침, 가래, 호흡곤란은 COPD의 진단에 있어서 주된 증상이다. 기침과 가래 증상이 있다고 해서 모든 사람이 꼭 COPD 환자가 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심각한 기류 제한으로 악화되기 전, 만성기침과 가래 증상은 수년에 걸쳐 선행되어 COPD는 천천히 진행되므로 40대 이상에서 가장 빈번하게 진단되어진다.

(WHO : Diagnosis of COPD, www.WHO.int)

2) 경구스테로이드(Oral Corticosteroid) 및 주사스테로이드(Intravenous Corticosteroid)

Part 2

-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of Diseases, KCD) Ver 7.0 기준

상병코드 상병명 상병코드 상병명

흡입 SAMA5) ipratropium

메틸잔틴유도체 theophylline 등

스테로이드 budesonide 등

PDE4억제제6) roflumilast

주 1. 전신기관지확장제 : 경구, 주사, 패치 베타2작용제 2. LABA : Long-Acting Beta2 Agonist, 지속성베타2작용제 3. SABA : Short-Acting Beta2 Agonist, 속효성베타2작용제 4. LAMA : Long-Acting Muscarinic antagonist, 지속성항콜린제

2016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결과 종합보고서

58

4. 평가 산출방법

 전체 평가대상기관을 1~5등급 및 등급제외로 공개

단계 산출방법

1단계

가. 평가지표별 결과산출(기관별, 종별 산출)

○ 평가지표의 중요도에 따른 가중치 부여

- 폐기능검사 시행률 0.4, 지속방문 환자비율 0.2, 흡입기관지확장제 처방 환자비율 0.4

2단계

나. 기관별 종합점수 산출

○ 산출식

- 종합점수=∑(지표별 결과값 X 평가지표별 가중치)

○ COPD환자수가 연간 10명 이상이고, 3개 평가지표의 평가결과가 모두 산출되는 기관

3단계

다. 기관별 평가등급 산출

○ 종합점수 구간에 따라 1~5등급 구분 및 기관별 평가등급 부여(절대평가)

○ 종합점수 미산출기관(COPD 환자수가 연간 10명 미만이거나, 3개 평가지표의 평가결과가 모두 산출되지 않는 기관)은 ‘등급제외’로 공개

5. 평가결과

1) 전체결과

 2차 평가결과는 1차 대비 전반적으로 향상됨

- 폐기능검사 시행률은 62.53%로 1차 평가대비 3.83%p 증가함 - 지속방문 환자비율은 92.12%이며, 종별간의 차이는 미미함

- 흡입기관지확장제 처방 환자비율은 71.19%로 1차 평가 대비 3.26%p 증가함 표 2.7 COPD 지표별 평가결과

평가영역 지표명 평가결과

’15년 ’16년 전년대비

검사 폐기능검사 시행률 58.70 62.53 3.83↑

치료지속성 지속방문 환자비율 85.46 92.12 6.66↑

처방 흡입기관지확장제 처방 환자비율 67.93 71.19 3.26↑

(단위 : %, %p)

Part 2

1. 만성질환

2) 종합결과

 종합점수는 평균 58.90점으로 1차 평가대비 5.01점 향상됨

- 상급종합병원 87.64점, 종합병원 73.59점, 병원 63.11점, 의원 52.52점으로 종별간 변이가 큼 표 2.8 COPD 평가 종합점수

구분 종합점수 대상 기관별 분포

기관수 건수 평균 표준편차 중앙값 최소값 최대값 Q1 Q3

전체 1,499 129,468 58.90 21.22 60.24 6.15 100.0 41.70 75.61 상급종합 43 37,720 87.64 5.41 89.16 69.39 94.73 85.35 91.46 종합병원 266 57,343 73.59 12.67 73.97 19.55 96.00 63.90 84.20 병원 243 10,336 63.11 14.31 63.64 23.91 94.67 53.46 72.97 의원 927 27,136 52.52 21.71 50.95 6.15 100.0 33.94 70.00

(단위 : 기관, 건, 점)

 종별 등급별 기관 분포

- 종합점수 산출기관 1,499기관 중 1등급 296기관(19.75%), 2등급 342기관(22.81%), 3등급 349기관(23.28%), 4등급 250기관(16.68%), 5등급 262기관(17.48%)임 - 1등급 중 상급종합병원 40기관, 종합병원 90기관, 병원 34기관, 의원 131기관임

표 2.9 COPD 등급별 기관 현황

구분 계 상급종합 종합병원 병원 의원

계 1,499 (100.0) 43 (100.0) 266 (100.0) 243 (100.0) 927 (100.0) 1등급 296 (19.75) 40 (93.02) 90 (33.83) 34 (13.99) 131 (14.13) 2등급 342 (22.81) 3 (6.98) 104 (39.10) 81 (33.33) 151 (16.29) 3등급 349 (23.28) - 68 (25.56) 84 (34.57) 193 (20.82) 4등급 250 (16.68) - 3 (1.13) 36 (14.82) 205 (22.11) 5등급 262 (17.48) - 1 (0.38) 8 (3.29) 247 (26.65)

등급제외 5,223 - 23 331 876

주 1. 비율은 종합점수 산출대상 기관수 대비 종합점수 등급별 기관수의 비율임 2. 평가대상 기관 6,722개소 중 종합점수 미산출 5,223기관 “등급제외”

3. 등급제외 : 평가대상자 10명미만 또는 평가지표 3개 모두 산출되지 않은 경우

(단위 : 기관, %)

2016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결과 종합보고서

60

 지역별 현황

그림 2.4 지역별 COPD 평가결과

6. 기타 주요 현황

 호흡기능검사 장비 보유 여부에 따른 지표결과

- 호흡기능검사 장비 보유현황은 전체평균 64.31%이며, 종별로 상급종합병원 100.0%, 종합병원 98.27 %, 병원 87.46%, 의원 62.26%임

- 장비를 보유한 기관들의 평가 결과가 보유하지 않은 기관보다 우수하게 나타남 표 2.10 호흡기능검사 장비 보유 여부에 따른 지표결과

구분

장비 보유한 경우 장비 보유하지 않은 경우

기관수 검사

시행률

지속 방문률

흡입제

처방률 기관수 검사

시행률

지속 방문률

흡입제 처방률 전체 4,323 (64.31) 67.41 92.63 74.90 2,399 (35.69) 26.81 84.98 24.46

상급종합 43 (100.0) 82.37 91.45 92.59 - - -

-종합병원 284 (98.27) 68.77 94.18 80.00 5 (1.73) 61.85 92.98 74.81 병원 502 (87.46) 53.02 93.54 61.42 72 (12.54) 45.91 92.41 45.18 의원 3,397 (62.26) 51.25 90.09 47.28 2,059 (37.74) 21.62 84.02 23.51 (단위 : 기관, %)

Part 2

OCS8) 36,602 25.63

IVCS9) 5 0.00

ICS10) 55,104 38.59

경구 PDE4억제제11) 3,176 2.22

주 1. 처방률 : 연간 해당 약제의 처방이 발생한 환자의 비율

2. 전체 평가대상자수의 경우, 각 구분별 평가대상자수 중복을 제거한 숫자임 3. 전신기관지확장제 : 경구, 주사, 패치 베타2작용제

4. LABA : Long-Acting Beta2 Agonist, 지속성베타2작용제 5. SABA : Short-Acting Beta2 Agonist, 속효성베타2작용제 6. LAMA : Long-Acting Muscarinic antagonist, 지속성항콜린제 7. SAMA : Short-Acting Muscarinic antagonist, 속효성항콜린제 8. OCS : Oral Corticosteroid, 경구스테로이드

9. IVCS : Intravenous Corticosteroid, 주사스테로이드 10. ICS : Inhaled Corticosteroid, 흡입스테로이드 11. PDE4 : Phosphodiesterase4

2016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결과 종합보고서

62

문서에서 2016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결과 (페이지 69-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