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동남아 통화위기의 동북아로의 전염과정

태국, 필리핀,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 등 ASEAN 국가들을 차 례로 외환위기에 휘말리게 하였던 동남아 외환위기는 대만으로 북 상하게 되었다. 대만 NT$는 1992년에 최고로 절상된 후 지속적으 로 장기간에 걸쳐 완만하게 절하되어 왔으며 1997년 들어서는 절 하 기조가 더욱 강하게 나타났다. 1997년 7월 초부터 ASEAN 국가 들에서 외환위기가 발생하자 대만 NT$가 절하될 것이라는 관측이 외환시장을 지배하게 되었다. 이에 대만 중앙은행은 NT$의 절하를 용인하여 7월 28일 이후 4일간에 걸쳐 NT$는 달러당 약 1元 정도 절하되었으며, 그 후 1997년 8월과 9월에 대만 외환시장은 상대적 으로 안정되었다.

그러나 ASEAN 국가들의 외환위기가 심화되고 절하폭이 커지자 대만 NT$가 고평가되어 있다는 인식이 확산되었고 투기적 공격이 계속되었다. 이에 대해 대만 중앙은행은 시장개입을 지속하여 NT$

환율을 지지하였으나 NT$ 환율이 지난 10년 이래 최고수준인 30NT$에 이르는 등 불안이 연속되자 1997년 10월 17일 그 동안 의 시장개입을 중단하고 시장자율기능에 맡긴다고 선언하게 되었

다. 그러자 NT$는 즉각 6% 정도 절하되었다.

<그림 3-6> 대만의 환율 추이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01/02/97 01/24/97 02/14/97 03/10/97 03/31/97 04/21/97 05/12/97 06/03/97 06/24/97 07/16/97 08/06/97 08/27/97 09/18/97 10/09/97 10/31/97 11/24/97 12/16/97 01/08/98 01/30/98 02/23/98 03/16/98 04/06/98 04/27/98 05/18/98 06/09/98 06/30/98 07/21/98 08/11/98 09/01/98 NT$/ US$

6/ 12/ 98, 34.95 1/ 8/ 98, 34.8

11/19/ 97, 33.25

10/22/ 97, 30.8

8/ 1/ 97, 28.9

자료 : 미연방은행

한편 홍콩은 1997년 7월 1일 중국으로 반환되었으며, 7월 이후 ASEAN 국가들이 투기적 공격을 받게 됨과 동시에 1997년 7월과 8월에 이미 대규모 투기적 공격을 받게 되었다.29)

그런데 1997년 10월 17일 대만 중앙은행이 NT$에 대한 방어를 포기하자 국제투기자본은 10월 20일부터 재차 홍콩달러를 공격하 기 시작하여 홍콩달러 선물과 항셍주가지수 선물을 동시에 대규모 로 매도하면서 투기적 공격을 감행하였다.30)

29) 그 이후 홍콩에 대해서는 1998년 들어서도 지속적으로 1998년 1월, 6월, 8월에 대 규모 투기적 공격이 있었다.

30) Bergsten(1997)은 아시아 통화위기는 제1단계에서 끝날 수도 있었으나 막대한 무역 수지 흑자와 외환보유고를 가지고 있는 대만이 환율방어를 위해 별다른 노력을 기 울임 없이 NT$를 절하시켜 버렸기 때문에 이것이 홍콩달러에 대한 절하압력으로

이에 대해 홍콩 통화당국은 홍콩달러 차입에 필요한 은행간 오버 나이트 금리를 5%에서 10%로 대폭 인상하고 외환시장에 개입하는 정책으로 맞서 홍콩달러의 페그를 지지하였다. 홍콩의 은행간 금리 가 상승하게 되자 그 영향은 그 후 연속 3일간 홍콩 주가의 하락으 로 나타나게 되어 홍콩의 항셍주가지수는 1997년 10월 17일 13,601 이었던 것이 10월 20일에는 12,970으로, 10월 21일에는 12,403으로, 그리고 10월 23일에는 10,426으로 3일간 연속 폭락하게 되었다.

<그림 3-7> 홍콩의 Overnight 금리와 주가 추이

2 4 6 8 10 12 14 16

07/01/96 08/01/96 09/01/96 10/01/96 11/01/96 12/01/96 01/01/97 02/01/97 03/01/97 04/01/97 05/01/97 06/01/97 07/01/97 08/01/97 09/01/97 10/01/97 11/01/97 12/01/97 01/01/98 02/01/98 03/01/98 04/01/98 05/01/98 06/01/98 07/01/98 08/01/98

%

6,500 8,200 9,900 11,600 13,300 15,000 16,700 18,400 주가지수

Overnight 금리 주가지수

08/27/ 98, 15%

06/15/ 98, 13%

01/12/ 98, 11%

10/24/ 97, 10%

자료 : Reuter

(1997)에 의하면 대만이 그렇게 별다른 노력 없이 NT$ 환율방어를 방치한 것은 홍콩으로 하여금 달러화에 대한 페그를 포기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라고 주장한다.

즉 홍콩이 달러화에 대한 페그제를 성공적으로 방어해 낸다면 하나의 나라에 두 가지 경제체제, 하나의 나라에 두 가지 환율제도가 가능하다는 것을 대외적으로 확인하는 결과가 된다. 이에 따라 대만의 입장에서는 중국이 대만문제에 대해서 도 홍콩과 같은 해법을 강요할 것을 우려하였기 때문에 통화위기의 전염을 차단 하기보다는 오히려 조장해야 할 입장에 있었다. 대만의 NT$ 환율방어 포기가 장 쩌민 중국 주석의 미국방문 전날에 단행되었다는 것을 보더라도 이러한 추론을 뒷받침하여 준다는 것이다.

이처럼 1997년 10월 23일 홍콩 증시가 폭락한 후 10월 24일 약 간 회복하였으나, 10월 27일 10,478로, 10월 28일 9,059로 다시 폭락 하였다. 따라서 그 여파는 전세계로 미치게 되어 1997년 10월 27일 에는 미국의 다우존스공업 평균주가지수가 7,715로부터 7,161로 554 포인트 하락하여 미국 역사상 가장 큰 폭의 주가하락을 보였다.

이와 같이 동아시아 지역을 대표하는 홍콩의 주식 및 외환시장 이 불안정해지자 동아시아 지역으로부터 국제투자자본의 철수가 가속화되었다. 국제자본이 홍콩을 비롯한 동아시아 지역으로부터 철수하게 되자 홍콩 자금시장으로부터의 외화조달 의존도가 높고, 단기외채 비중이 높은 한국의 금융기관과 기업들의 외채연장률이 급격히 하락하면서 한국이 새로이 외환위기에 말려들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