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동남아 통화위기의 과정

제3장 아시아 통화위기의 과정

생필품에 대한 물가폭등을 발생시켰다. 또한 경제파탄은 민간인 폭동을 야기시키고 민간인 폭동은 주체와 목적이 불완전하지만 사 회개혁운동으로 연결되면서 결국은 수하르토의 퇴진을 가져오게 되 었다.

제4단계는 러시아가 모라토리엄을 선언하면서 이제까지 전개된 아시아 외환위기의 영향이 전세계적으로 파급되는 단계이다. 아시 아 통화위기가 전세계로 파급되는 통로는 아시아 지역의 경기침체 로 인하여 1차산품과 후발개도국들의 공산품에 대한 교역이 감축 된 것을 통해서이다.

석유를 비롯한 1차산품과 공산품에 대한 수요 감축은 1차산품의 가격하락과 함께 이들 제품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은 러 시아와 남미지역 국가들의 국제수지를 악화시켰다. 이들 신흥시장 지역의 국제수지의 악화는 국제투자가들의 신흥시장지역으로부터 의 자금회수를 촉발시켰으며 러시아에 있어서의 모라토리엄 선언 을 가져오게 하였다.

러시아의 모라토리엄 선언은 외환위기의 영향을 동유럽 및 남미 로 확산시키게 되었으며 전세계적인 교역의 감축과 신용경색을 가 져옴으로써 전세계적인 경기침체를 가져오고 있다.

외환위기를 겪은 태국, 인도네시아, 필리핀, 한국의 환율과 주가 추이를 보게 되면 <그림 3-1>에서 <그림 3-5>와 같다.

<그림 3-1> 태국의 환율과 주가 추이

10

20

30

40

50

60

07/01/96 08/01/96 09/01/96 10/01/96 11/01/96 12/01/96 01/01/97 02/01/97 03/01/97 04/01/97 05/01/97 06/01/97 07/01/97 08/01/97 09/01/97 10/01/97 11/01/97 12/01/97 01/01/98 02/01/98 03/01/98 04/01/98 05/01/98 06/01/98 07/01/98 08/01/98 Baht/ US$

0 280 560 840 1,120 1,400 주가지수

태국 환율 주가지수

07/02/ 97, 관리변동환율제로 전환

01/08/ 98,

인도네시아, 모라토리엄 위기설

자료 : Reuter

<그림 3-2> 인도네시아의 환율과 주가 추이

2,000

4,000

6,000

8,000

10,000

12,000

14,000

16,000

07/01/96 08/01/96 09/01/96 10/01/96 11/01/96 12/01/96 01/01/97 02/01/97 03/01/97 04/01/97 05/01/97 06/01/97 07/01/97 08/01/97 09/01/97 10/01/97 11/01/97 12/01/97 01/01/98 02/01/98 03/01/98 04/01/98 05/01/98 06/01/98 07/01/98 08/01/98 Ringgit/ US$

310 380 450 520 590 660 730 주가지수 800

인도네시아 환율 주가지수

08/14/ 97, 변동환율제로 전환

10/23/ 97,

IMF 구제금융(330억 달러) 01/08/ 98, 모라토리엄 위기설

01/23/ 98, 14,550루피아

02/11/ 98, 통화위원회제도 시행

05/22/ 98, 수하르토 하야

자료 : Reuter

<그림 3-3> 말레이시아의 환율과 주가 추이

2.0

2.5

3.0

3.5

4.0

4.5

5.0

07/01/96 08/01/96 09/01/96 10/01/96 11/01/96 12/01/96 01/01/97 02/01/97 03/01/97 04/01/97 05/01/97 06/01/97 07/01/97 08/01/97 09/01/97 10/01/97 11/01/97 12/01/97 01/01/98 02/01/98 03/01/98 04/01/98 05/01/98 06/01/98 07/01/98 08/01/98 Ringgit/ US$

200 400 600 800 1,000 1,200 1,400 주가지수

말레이시아 환율 주가지수

07/14/ 97,

말레이시아, 링기트화 방어포기

01/08/ 98,

인도네시아, 모라토리엄 위기설 04/17/ 98,

말레이시아, S&P가 국가신용등급 하향조정(A→A1)

자료 : Reuter

<그림 3-4> 필리핀의 환율과 주가 추이

25

30

35

40

45

50

07/01/96 08/01/96 09/01/96 10/01/96 11/01/96 12/01/96 01/01/97 02/01/97 03/01/97 04/01/97 05/01/97 06/01/97 07/01/97 08/01/97 09/01/97 10/01/97 11/01/97 12/01/97 01/01/98 02/01/98 03/01/98 04/01/98 05/01/98 06/01/98 07/01/98 08/01/98 Pesos /US$

1,000 1,600 2,200 2,800 3,400 4,000 주가지수

필리핀 환율 주가지수

07/11/ 97,

페소화 환율변동폭 확대

01/06/ 98,

인도네시아, 새해 예산안 발표

자료 : Reuter

<그림 3-5> 한국의 환율과 주가 추이

750

1,000

1,250

1,500

1,750

2,000

07/01/96 08/01/96 09/01/96 10/01/96 11/01/96 12/01/96 01/01/97 02/01/97 03/01/97 04/01/97 05/01/97 06/01/97 07/01/97 08/01/97 09/01/97 10/01/97 11/01/97 12/01/97 01/01/98 02/01/98 03/01/98 04/01/98 05/01/98 06/01/98 07/01/98 08/01/98 Won/ US$

200 360 520 680 840 1,000

한국 환율 주가지수

주가지수

12/23/ 97, 1,940원

10/24/ 97,

S&P, 국가신용등급 하향 조정(AA- →A+)

12/03/ 97, IMF 구제금융 신청 (550억 달러)

자료 : Reuter

(1) 태국의 외환위기 과정

태국의 외환위기 발생과정을 살펴보기에 앞서 태국의 최근 정치 상황을 보기로 한다. 태국은 동남아 국가들 중 유일하게 식민지 경험을 겪지 않은 국가로서 1960년대와 1970년대 초의 경제성장률 은 8% 정도에 달하였는데 이는 베트남전쟁 중 미국이 지출한 전 비戰費와 미국의 원조에 힘입은 바가 크다. 인도차이나가 공산화되 고 국내에 태국공산당이 활동하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공산화되 지 않은 국가이다.

1988년 민주화 바람으로 인하여 프렘Prem 총리가 사임하고 차티

차이Chatichai 총리가 민선 총리로 취임하였으나 1991년 2월 23일

부정부패 척결을 명분으로 내세우는 군부의 쿠데타로 총리직에서 물러나게 되었다.

그러나 총리의 부정부패 척결을 명분으로 일으킨 군부 쿠데타는 그 동안 경제성장의 결과 형성되어 온 중산층을 중심으로 한 민주 화 세력이 군부의 장기집권을 반대하는 저항운동을 일으킴에 따라 1992년 5월 17일 방콕시내 유혈 충돌사태에까지 이르게 되었고, 여야간 헌법을 개정하기로 합의함으로써 일단락되었다. 이에 따라 헌법개정 후 1992년 말 선거를 통하여 4개 야당이 연립내각을 구 성함으로써 정치적인 안정을 다시 찾게 되었다.15)

그 후 새로운 연립정권이 구성되어 국방장관 차왈릿 용차이윳

Chavalit Yongchaiyudh이 총리에 취임하였다. 경제회생을 목표로 출범

한 차왈릿 정권은 1997년 초반부터 경제적 위기에 직면하여 1997 년 10월까지 경제 부총리를 1회, 재무부 장관을 2회 교체하는 등 경제회생에 많은 노력을 기울였으나 바트화에 대한 계속된 투기적 공격에 따라 외환위기를 겪게 되었다. 태국의 외환위기에 따른 책 임론 대두 및 지지도 하락에 따라 차왈릿 총리는 사임하게 되고, 1997년 11월 6일 1992년 총리를 지낸 바 있는 민주당의 추안 릭파 이가 태국의 총리에 임명되게 되었다.

태국의 외환위기 발생과정을 보게 되면 태국은 1980년대의 정치 적 불안으로부터 1992년에 정치적인 안정을 찾게 되자 지속적인 경제발전을 추진하기 위한 자본조달을 위하여 자본자유화를 우선 적으로 실시하였으며, 보다 원활한 외자유입을 위하여 고정환율제 도를 실시하였다.16) 자본자유화의 실시와 함께 보다 효율적인 외 국자본유입을 위하여 1993년에 역외금융센터인 BIBF를 개설하였 다.17)

이처럼 고정환율제도 실시와 역외금융시장 설립을 통하여 자본

15) 대외경제정책연구원,『태국편람』참조.

16) 태국의 자본자유화 과정에 대해서는 추후 논의할 것이다.

유입의 통로를 열어 놓자 1993년도의 세계적인 금리하향 추세와 맞물리면서 외국자본이 다량 유입되기 시작하였다.

유입된 외국자본은 주식시장과 부동산 등 주로 자산시장Property

Market으로 유입되어 자산가격의 버블을 형성시켰다. Finance

Com-pany들을 비롯한 태국의 금융기관들은 BIBF 등에서 외자를 저리 로 차입하여 이를 국내의 주식시장에 투자하는 한편 많은 부분 건 축 및 부동산 관련사업에 대하여 높은 금리로 여신을 제공하여 높 은 수익을 올렸다.

규모가 한정된 주식시장에 자금이 유입됨에 따라 주식시장에 버 블이 형성되었고 부동산 및 건축관련 여신이 늘어나면서 부동산 가격의 상승과 부동산에 대한 과잉투자가 일어나게 되었다. 즉 유 입외자의 많은 부분이 새로운 자산스톡을 증가시키기보다는 기존 자산의 가격만을 상승시키는 역할을 수행하였고, 비교역재인 부동 산 건축부문으로 유입되어 비생산적으로 사용된 것이다.

이처럼 자본유입으로 인한 자산가격의 버블이 형성되고 부동산 에 과잉투자가 계속되자 태국 정부는 부동산에 대한 과다한 투자 와 경기과열을 저지하기 위하여 1994년에 부동산에 대한 융자규제 를 실시하고 1995년 중반 이후 긴축적인 금융정책을 실시하였다.

태국 정부의 부동산에 대한 융자규제와 긴축적인 금융정책에 따라 금리상승과 부동산가격 하락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18)

그러자 1996년부터 경기변동과 부동산가격 하락의 부작용이 본 격적으로 나타나기 시작하여 부동산개발 관련회사들이 파산을 하 기 시작하였다. 부동산관련 회사들이 파산을 하기 시작하자 부동 산관련 회사들에게 여신을 해준 금융기관들이 부실화되기 시작하 였다.

18) Vajragupta and Vichyanond(1998), p.20 참조.

금융기관들이 부실화되기 시작하자 그때까지 태국의 경상수지 적 자를 메워주던 외국자본의 유입이 줄어들기 시작하여 1996년 12월 에는 23년만에 처음으로 국제수지에 있어서의 적자를 시현하기도 하였다. 부동산 버블의 붕괴로 인하여 가장 많은 타격을 받은 금 융기관은 부동산에 대출이 많은 Finance Company 등이었다.19)

부실화된 대표적인 금융기관으로서 태국 최대의 Finance Company 였던 Finance One을 들 수 있다. 정부가 1997년 3월 1일 Finance One을 타이다뉴은행Thai Danu Bank에 합병시키기로 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1997년 3월 3일에는 태국 증권거래소가 개설된 이후 처 음으로 은행, 금융회사, 증권회사의 주식이 거래정지되는 사태가 발생하였다. 그 후 주가가 폭락세를 지속하였고, 1997년 3월 5일에 는 하루 동안 총예금의 9%에 해당하는 100억 바트가 인출되었다.

이에 대해 태국 정부는 9개 부실금융회사에 대해 증자를 명하 고, 은행 및 금융회사에 대해서는 대손충당금(부실채권 총액의 15% 내지 20%)을 설정하도록 조치하였으나 이러한 조치 이후에 도 금융시장의 불안정이 계속되었다.

한편 태국의 고정환율제 아래에서의 물가상승과 경상수지 확대 는 외부세계에 바트화가 고평가되어 있다는 인식을 확산시켰다.

바트화가 고평가되어 있다는 국제금융시장의 인식에 따라 바트화 에 대해서 1996년 12월에 투기적 공격이 개시되어 바트화에 대한 투매가 있었다. 1997년에 들어와서는 2월에 국제투기자본에 의한 재차 공격이 있었다.

1997년 3월 이후 태국의 금융시장이 불안을 보이고 바트화가 고 평가되어 있다는 인식이 국제금융시장에서 자리를 잡음에 따라 투 기적 공격은 점차 정도를 강화하여 1997년 5월 14일과 15일에 걸

19) Finance Company에 대해서는 제5장 5절 태국의 파이낸스 컴퍼니에서 상세히 논

쳐 심각한 투기적 공격이 일어나게 되었다. 이 당시의 투기적 공 격에 대해 태국은 주변국인 싱가포르, 홍콩, 말레이시아 등 인근 국가들과의 협조개입에 의하여 바트화를 방어하였다.

이에 대해 태국 정부는 1997년 5월 15일 역내금융시장과 역외금 융시장을 분리시키기 위하여 자본이동과 이자율에 대한 통제를 실 시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계속되는 투기적 공격을 막아 내는 데는 역부족이었으며, 1997년 5월과 6월 중 계속해서 바트화 에 대한 절하압력을 받게 되었다.

1997년 5월과 6월에는 이미 주변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등의 국 가들은 태국 통화불안의 영향에 따라 전염되기 시작하였다. 그 이 후에도 계속되는 투기적 공격에 대하여 중앙은행 개입에 의한 환 율방어를 지속함에 따라 태국 통화당국은 외환보유고를 소진하게 되었다. 1996년 12월에 372억 달러이던 외환보유고가 1997년 5월 에는 318억 달러로 약 6개월간에 54억 달러가 소진되었다.

1997년 7월 2일 태국 당국은 바트화에 대한 지지를 중단하기로 결정하고 사실상의 평가절하를 단행하였다. 이때부터 태국은 고정 환율제로부터 변동환율제로 이행하게 되었으며, 1997년 7월 2일 당일 20% 하락하게 되어 당시까지 가장 최저치인 28.8바트/$를 기록하게 되었다.

<표 3-1> 태국의 외환보유고 추이

(단위 : 백만 달러) 월 별 1996.12 1997.3 1997.4 1997.5 1997.6 1997.7 1997.8 1997.9 1997.10 1997.11 보유액 37,191.8 36,572.9 35,835.3 31,808.7 30,855.2 28,938.7 24,447.9 28,120.8 29,788.1 24,774.2 자료 : Bank of Thailand, Quarterly Bulletin, Dec. 1997.

바트화를 변동환율제로 이행하고 난 다음에도 태국에서는 바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