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IV. 연구결과 및 논의

3. 대기업 대졸 신입사원의 직업적응 원거리 결과변인과 선행변인의

가. 조직몰입과 선행변인의 관계에서 직업적응 근거리 결과의

매개효과

직업적응 원거리 결과에 해당하는 조직몰입과 직업적응 선행변인 간의 관계에서 직업적응 근거리 결과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 다. 매개효과 검증의 첫 번째 단계에서는 독립변인이 종속변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는데, 앞서 실시한 중다회귀분석에서 직업적응 선행변인 중 선도적 행위와 직장 내 사회적 지원이 조직몰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다. 따라서 두 변인이 직업적응 근거리 결과를 매개하여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지 검증하였다.

1) 조직몰입과 선도적 행위의 관계에서 직업적응 근거리 결과의 매개효과 조직몰입과 선도적 행위의 관계에서 직업적응 근거리 결과가 매개하는지 검증한 결과는 <표 Ⅳ-9>와 같다.

변인

직업적응 근거리 결과 조직몰입

1단계 2단계 3단계

모형 1 모형 2 모형 3 모형 4 모형 5 모형 6

통제 변인

성별(기준: 남자) -.001 .071 -.105 -.059 -.104 -.078

연령 .033 .033 .041 .041 .028 .032

근속 기간 .010 -.002 -.059 -.067 -.063 -.067 독립

변인 선도적 행위 .558*** .353*** .204**

매개

변인 직업적응

근거리 결과 .380*** .268*

.002 .307 .017 .139 .161 .189

 .305*** .123*** .028**

 .110 24.144*** 1.231 8.825*** 10.448*** 10.129***

*** .001, ** .01, * .05

<표 Ⅳ-7> 조직몰입과 선도적 행위의 관계에서 직업적응 근거리 결과의 매개효과 분석

1단계 분석에서 선도적 행위가 직업적응 근거리 결과에 미치는 영향이 통계적으 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558,  .001). 2단계 분석에서 선도적 행위가 조직몰 입에 미치는 영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353,  .001). 3단계 분 석에서 선도적 행위(=.204,  .01)와 직업적응 근거리 결과(=.268,  .05)가 조 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각 단계의 회귀계수가 모두 유의하였고, 선도적 행위의 표준화 회귀계수가 .353에서 .204로 감소하였다. 이 러한 결과는 조직몰입과 선도적 행위의 관계에서 직업적응 근거리 결과가 부분매개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조직몰입과 선도적 행위의 관계에서 직업적응 근거리 결과의 매개효과를 보다 구 체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직업적응 근거리결과 하위변인인 역할 명확성, 과업 숙 달, 사회적 통합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매개효과가 있다고 판단하기 위해서는 종속변인에 대한 독립변인의 회귀계수, 매개변인에 대한 독립변인의 회귀계수, 종속 변인에 대한 매개변인의 회귀계수, 이 세 회귀계수가 유의미하여야 한다. 앞서 실시 한 중다회귀분석에서 직업적응 근거리 결과 변인 중에서 사회적 통합만 조직몰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이 변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고, 그 결과 는 <표 Ⅳ-10>과 같다.

변인 사회적 통합 조직몰입

1단계 2단계 3단계

모형 1 모형 2 모형 3 모형 4 모형 5 모형 6

통제 변인

성별(기준: 남자) -.050 .008 -.105 -.059 -.078 -.063 연령 -.094 -.094 .041 .041 .091 .085 근속 기간 -.005 -.015 -.059 -.067 -.057 -.060 독립

변인 선도적 행위 .450*** .353***   .142*

매개

변인 사회적 통합 .533*** .470***

.008 .207 .017 .139 .299 .314

 .199*** .122*** .015*

 .559 14.217*** 1.231 8.825*** 23.203*** 19.904***

*** .001, ** .01, * .05

<표 Ⅳ-8> 조직몰입과 선도적 행위의 관계에서 사회적 통합의 매개효과 분석

1단계 분석에서 선도적 행위가 사회적 통합에 미치는 영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450,  .001). 2단계 분석에서 선도적 행위가 조직몰입에 미치 는 영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353,  .001). 3단계 분석에서 선 도적 행위(=.142,  .05)와 사회적 통합(=.470,  .001)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 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각 단계의 회귀계수가 모두 유의하였고, 선도적 행위의 표준화 회귀계수가 .353에서 .142로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조직 몰입과 선도적 행위의 관계에서 사회적 통합이 부분매개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2) 조직몰입과 직장 내 사회적 지원의 관계에서 직업적응 근거리 결과의 매개효과

조직몰입과 직장 내 사회적 지원의 관계에서 직업적응 근거리 결과가 매개하는지 검증한 결과는 <표 Ⅳ-11>과 같다.

변인

직업적응 근거리 결과 조직몰입

1단계 2단계 3단계

모형 1 모형 2 모형 3 모형 4 모형 5 모형 6

통제 변인

성별

(기준: 남자) -.001 .051 -.105 -.045 -.104 -.052

연령 .033 .090 .041 .106 .028 .095

근속 기간 .010 -.015 -.059 -.089 -.063 -.087 독립

변인

직장 내

사회적 지원 .505*** .578*** .516***

매개

변인 직업적응

근거리 결과 .380*** .122

.002 .254 .017 .347 .161 .358

 .252*** .330*** .197***

 .110 18.527*** 1.231 28.919*** 10.448*** 24.178***

*** .001, ** .01, * .05

<표 Ⅳ-9> 조직몰입과 직장 내 사회적 지원의 관계에서 직업적응 근거리 결과의 매개효과 분석

1단계 분석에서 직장 내 사회적 지원이 직업적응 근거리 결과에 미치는 영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505,  .001). 2단계 분석에서 직장 내 사회 적 지원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578,

 .001). 3단계 분석에서 직장 내 사회적 지원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이 통계적 으로 유의하였으나(=.516,  .001), 직업적응 근거리 결과는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 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122, =.054). 따라서 조직몰입과 직장 내 사회 적 지원의 관계에서 직업적응 근거리 결과의 매개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몰입과 직장 내 사회적 지원의 관계에서 직업적응 근거리 결과의 매개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직업적응 근거리결과 하위변인인 역할 명확성, 과 업 숙달, 사회적 통합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매개효과가 있다고 판단하기 위해 서는 종속변인에 대한 독립변인의 회귀계수, 매개변인에 대한 독립변인의 회귀계수, 종속변인에 대한 매개변인의 회귀계수, 이 세 회귀계수가 유의미하여야 한다. 앞서 실시한 중다회귀분석에서 직업적응 근거리 결과 변인 중에서 사회적 통합만 조직몰 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이 변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고, 그 결과는 <표 Ⅳ-12>와 같다.

변인

사회적 통합 조직몰입

1단계 2단계 3단계

모형 1 모형 2 모형 3 모형 4 모형 5 모형 6 통제

변인

성별(기준: 남자) -.050 .015 -.105 -.045 -.078 -.049 연령 -.094 -.023 .041 .106 .091 .112 근속 기간 -.005 -.037 -.059 -.089 -.057 -.078 독립

변인

직장 내

사회적 지원 .630*** .578***   .400***

매개

변인 사회적 통합 .533*** .282***

.008 .400 .017 .347 .299 .394

 .392*** .330*** .096***

 .559 36.284*** 1.231 28.919*** 23.203*** 28.266***

*** .001, ** .01, * .05

<표 Ⅳ-10> 조직몰입과 직장 내 사회적 지원의 관계에서 사회적 통합의 매개효과 분석

1단계 분석에서 직장 내 사회적 지원이 사회적 통합에 미치는 영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630,  .001). 2단계 분석에서 직장 내 사회적 지원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578,  .001). 3 단계 분석에서 직장 내 사회적 지원(=.400,  .001)과 사회적 통합(=.282,

 .001)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각 단계 의 회귀계수가 모두 유의하였고, 직장 내 사회적지원의 조직몰입에 대한 표준화 회

귀계수가 .578에서 .400으로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조직몰입과 직장 내 사회적 지원의 관계에서 사회적 통합이 부분 매개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나. 직무만족과 선행변인의 관계에서 직업적응 근거리 결과의 매개효과

직업적응 원거리 결과에 해당하는 직무만족과 직업적응 선행변인 간의 관계에서 직업적응 근거리 결과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 다. 매개효과 검증의 첫 번째 단계에서는 독립변인이 종속변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는데, 앞서 실시한 중다회귀분석에서 직업적응 선행 변인 중 선도적 행위와 직장 내 사회적 지원이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다. 따라서 두 변인이 직업적응 근거리 결과를 매개하여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지 검증하였다.

1) 직무만족과 선도적 행위의 관계에서 직업적응 근거리 결과의 매개효과 직무만족과 선도적 행위의 관계에서 직업적응 근거리 결과가 매개하는지 검증한 결과는 <표 Ⅳ-12>와 같다.

변인 직업적응 근거리 결과 직무만족

1단계 2단계 3단계

모형 1 모형 2 모형 3 모형 4 모형 5 모형 6

통제 변인

성별(기준: 남자) -.001 .071 -.113 -.069 -.113 -.084 연령 .033 .033 .163* .163* .152* .156* 근속 기간 .010 -.002 -.138 -.146* -.142* -.145* 독립

변인 선도적 행위 .558*** .346*** .223**

매개 변인

직업적응

근거리 결과 .343*** .221**

.002 .307 .052 .169 .161 .189

 .305*** .117*** .028**

 .110 24.144*** 3.995** 11.107*** 10.448*** 10.129***

*** .001, ** .01, * .05

<표 Ⅳ-11> 직무만족과 선도적 행위의 관계에서 직업적응 근거리 결과의 매개효과 분석

1단계 분석에서 선도적 행위가 직업적응 근거리 결과에 미치는 영향이 통계적으 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558,  .001). 2단계 분석에서 선도적 행위가 직무만 족에 미치는 영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346,  .001). 3단계 분 석에서 선도적 행위(=.223,  .01)와 직업적응 근거리 결과(=.221,  .01)가 직 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각 단계의 회귀계수가 모두 유의하였고, 선도적 행위의 표준화 회귀계수가 .346에서 .223으로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직무만족과 선도적 행위의 관계에서 직업적응 근거리 결과가 부분매 개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직무만족과 선도적 행위의 관계에서 직업적응 근거리 결과의 매개효과를 보다 구 체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직업적응 근거리결과 하위변인인 역할 명확성, 과업 숙 달, 사회적 통합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매개효과가 있다고 판단하기 위해서는 종속변인에 대한 독립변인의 회귀계수, 매개변인에 대한 독립변인의 회귀계수, 종속 변인에 대한 매개변인의 회귀계수, 이 세 회귀계수가 유의미하여야 한다. 앞서 실시 한 중다회귀분석에서 직업적응 근거리 결과 변인 중에서 역할 명확성과 사회적 통 합이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이 두 변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우선 직무만족과 선도적 행위의 관계에서 역할 명확성의 매개효과를 검 증한 결과는 <표 Ⅳ-14>와 같다.

변인 역할 명확성 직무만족

1단계 2단계 3단계

모형 1 모형 2 모형 3 모형 4 모형 5 모형 6 통제

변인

성별(기준: 남자) .001 .067 -.113 -.069 -.113 -.080 연령 .008 .008 .163* .163* .161* .162* 근속 기간 -.007 -.018 -.138 -.146* -.136 -.143* 독립

변인 선도적 행위 .510*** .346***   .258***

매개

변인 역할 명확성 .302*** .172*

.000 .255 .052 .162 .143 .192

 .255*** .117*** .049***

 .004 18.701*** 3.995*** 11.107*** 9.079*** 10.274***

*** .001, ** .01, * .05

<표 Ⅳ-12> 직무만족과 선도적 행위의 관계에서 역할 명확성의 매개효과 분석

1단계 분석에서 선도적 행위가 역할 명확성에 미치는 영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1단계 분석에서 선도적 행위가 역할 명확성에 미치는 영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