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농업정책금융의 개선방향과 과제

문서에서 선진 농업금융 사례 분석 (페이지 175-185)

3.1. 기본 방향

□ 농업의 활로를 타개하는 전략적 수단으로 활용

◦ 개방의 충격이 가중되는 상황에서 앞으로 상당기간은 농업정책금융이 전 농업부문의 활로를 타개하는 전략적 수단의 역할을 해야 할 것이다.

□ 농업정책금융 지원체계의 투명화·전문화

◦ 정책금융의 지원기관별로 기능과 역할 분담이 명확하게 설정함으로써 사회 적 신뢰를 얻을 수 있어야 한다.

- 기관의 이해와 기득권이 우선하여 문제해결을 더디게 해서는 안 된다.

□ 정책효과의 극대화를 위한 합리적 운용

◦ 정책수요 그룹의 성격과 지원방향의 차이를 반영하여 합리적 지원이 이루 어져야 할 것이다.

3.2. 농업정책금융의 목적과 영역 설정

◦ 정책금융이 가장 필요한 부분이 어느 부분이며 어떠한 성격의 자금 지원이 이뤄져야 할 것인지에 대한 인식이 필요하다.

◦ 정책금융은 일반금융의 시장실패(자금공급 회피, 과도한 심사 등) 조정·보완 기능은 물론, 농업부문의 경쟁력 제고, 경제적 취약농가의 회생 및 구조조정 지원 등 정책 목적의 달성에 있다. 즉, 농업정책금융은 농가의 여건에 따른 차별적 지원을 통해 경쟁력 제고와 후생 향상의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

◦ 정책금융은 신규 진입자에게는 ‘첫 지원자(the first supporter)’이자 신용력 부족으로 자금을 구할 수 없는 취약그룹에게 ‘최후의 의지처(the last resort)’

가 되어야 한다.

- 영농후계자 등에 대해서는 미래 성공가능성의 불확실성이 높기 때문에 유리한 조건의 정책금융을 지원해야 한다(일본은 무이자인 농업개량자 금으로 지원).

- 경영실패, 신용불량자 등에 대해서도 회생을 지원할 수 있는 자금 지원 이 필요하다(경영회생자금, 취업지원 등).

◦ 새로운 기술, 또는 도전을 위해 투자하는 농업경영체에 대한 과감한 지원방 법이 모색되어야 하며, 리스크 크기에 따라 지원조건의 차별화가 이루어져 야 한다.

- <그림 7-1>에서 a까지의 그룹은 신규 진입자로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한 자, d의 오른쪽은 경영실패 등의 이유로 탈락의 위기에 처한 그룹임을 의 미하며 c~d의 사이는 약간의 지원으로 경영회생을 시키는 것이 사회적 으로 이익이 되는 경우를 의미한다.

- 정상적 경영이라 하더라도 우리 농업처럼 전 부문이 활로를 모색해야 하 는 상황에서는 일정 수준의 정책금융이 필요하다.

- 정책금융의 효과적 지원은 개별농가는 물론, 농업 전체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C1 → C2).

※ 한국 농업은 세계무대에서 대등한 조건으로 경쟁할 수 있는 산업이 아니 라 정책전환에 따른 ‘취약점의 노출로 일정기간의 구조조정과 그 지원이 필요한 산업’으로 보아야 한다.

그림 7-1. 농업정책금융의 영역 개념도

3.3. FTA 시대로의 급전환에 따른 구조정책 대응

◦ 한․미 FTA의 발효를 앞두고 있고, 가까운 시일 내에 한․중 FTA 협상을 개시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어서 본격적인 FTA 시대로 급전환되고 있다.

◦ 호주, 뉴질랜드 등 수출 중심국의 사례에서도 농업 전반적으로는 시장개방 의 효과를 누리고 있지만, 내부적으로는 경쟁력을 갖춘 농가와 경쟁에서 탈 락한 농가로 양분되어 양극화와 그로 인한 빈곤농가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 한국 농업도 전업화·규모화되는 농가와 고령농·영세농으로 양극화가 진행 되고 있는 상황에서 본격적인 FTA 시대의 도래는 이러한 경향을 더욱 심화 시킬 가능성이 높다.

◦ 이러한 농업 및 농정여건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적절한 농업정 책금융 프로그램의 모색이 필요하다.

3.4. 농협 신경분리에 대응한 농업정책금융 지원체계의 조정

◦ 농협중앙회의 사업구조 개편으로 농협경제지주와 농협금융지주 체제로 전 환되었다. 새롭게 출범하는 농협금융지주는 기존의 농업금융기관의 역할을 담당하면서도 일반 상업금융기관과 경쟁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하게 된다.

◦ 농업정책자금의 지원 취지는 기본적으로 상업금융기관이 기피하는 농업부 문에 대한 자금공급의 원활화, 신규취농 및 취약계층의 자금공급 확대, 국 가적 차원의 경쟁력 강화 부문에 대한 투자 등 공익적 목적을 달성하는 데 있다.

◦ 농업정책자금 공급 기능을 현재와 같이 농협중앙회 중심으로 유지할 경우, 새 롭게 개편되는 농협금융지주의 상업금융 기관적 성격과 농업정책자금의 공 익적 성격 간의 일부 상충 가능성을 배재할 수 없다.

◦ 농협중앙회의 사업구조개편에 따른 농협금융지주가 단기적으로는 농업금 융기관으로써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겠지만 상업금융기관과 경쟁하게 되면 서 중장기적으로는 일반금융기관의 성격이 강화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에 따른 농업정책자금 지원체계 조정을 위한 검토가 필요하다.

3.5. 농업정책금융의 전문성 제고를 위한 지원체계 개편

◦ 대규모 자금 수요 확대 대응: 전반적으로 농업정책자금 총 규모는 정체 혹 은 감소가 예상되나, 최근에 늘어나고 있는 전업농 및 농업법인 중심으로 개별농가 단위에서는 신규분야 진출, 영농시설 확충을 위한 대규모 자금 수 요가 늘어날 것이다. 현행 농업종합자금이나 농신보의 심사평가 및 운영방 식 하에서는 대규모 자금 수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으 므로 위험 중립적 입장에서 사업성 평가를 확대하여 대규모 자금을 지원할 수 있는 전문성을 갖춘 농업정책자금 지원체계 중심으로 개편할 필요가 있 다.

◦ 농가 차별적 자금 지원: 농가는 성장단계에 따라 신규진입농가, 성장단계 농가, 경영부실 농가(회생가능농가, 퇴출 농가), 은퇴농가 등으로 구분되며, 자금 수요도 농가의 위치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농가의 차별적 자금지원 수 요에 효과적·전문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특화된 농업정책금융 지원체계 구 축이 필요하다.

◦ 저금리시대 대비: 저금리시대의 도래로 자금공급 확대나 이차보전보다는 장기자금 수요가 늘어날 것이며, 농업정책금융기관의 전문 심사평가 능력, 경영컨설팅, 보증기능 강화가 전제되어야 하므로 종합적 서비스가 가능한 농업정책금융 지원체계 정비가 필요하다.

3.6. 현행 농업정책금융의 구조조정 및 평가

◦ 개별 자금의 농업종합자금화를 통한 효율화: 농업종합자금 도입으로 공공 적 사업자금과 특정목적자금을 제외한 모든 자금을 통합하여 정책금융의 효율성과 성과 제고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현재도 개별사업 중심으

로 운영되는 자금들이 상당수 존재하고, 이러한 자금들을 농업종합자금으 로 흡수․통합하여 농업정책금융 운영의 효율화를 도모할 필요가 있다.

◦ 농업정책자금의 목적 및 대상 명확화: 지원효과가 의문시 되는 농축산경영 자금의 지원목적을 복지금융 성격으로 명확히 하고, 지원대상도 현행 전체 농가 대상에서 영세고령농(1ha 미만, 65세 이상)으로 한정해서 지원해야 하 며, 전업농은 농업종합자금의 운전자금 지원 등으로 전환하여 정책자금의 역 할 및 대상의 명확화가 필요하다.

◦ 귀농·귀촌자 정책자금의 졸업제 도입: 농업정책자금 지원에 따른 정부 의 존도를 낮추고, 농가의 자생력 향상을 위하여 시범적으로 귀농·귀촌자 대상 으로 영농정착자금의 졸업제를 도입하는 방안이다.

◦ 현행 농업정책자금 지원방식 평가: 대표적 농업정책금융 지원제도인 농업종 합자금과 농신보를 통한 자금 공급의 성과가 당초 목표에 도달하지 못하고 있 다는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즉, 농업종합자금은 사업성 평가보다는 상환능력 위주이며, 자금 지원기간도 짧아 시설자금보다는 운영자금 위주로 지원되고 있 다는 비판이다. 또한, 농신보는 기금 규모에 비해 자금 지원 실적이 낮고, 소액 금융 신용보증 위주의 위탁보증에만 집중되며, 대규모 자금에 대한 심사평가 등 전문성이 낮다는 비판이다. 이러한 문제제기에 대한 정확한 진단과 개선과 제 도출을 위한 농업정책금융 지원체계의 평가가 필요하다.

참 고 문 헌

Alejandro Capurro, Comparing Agricultural Financing in Uruguay and New Zealand, Lincoln University, 2009

Annual Report 2010. Rentenbank.

AU-DAFFA, Australian Government programs: Agriculture Advancing Australia (AAA), National Workshop for Rural Financial Counsellors, 2006

Bert Ely, The Farm Credit System: Lending Anywhere But on the Farm, Ely & Company Inc, 2006

Bert Ely, The Farm Credit System: Reinvented and Mission-Challenged, Ely & Company Inc, 2002

Brad Gilmour, Rajendra Gurung, Australia Agriculture Policy Review, Agriculture and Agri-Food Canada, 2007.10

Brad Gilmour, Rajendra Gurung, New Zealand Agriculture Policy Review, Agriculture and Agri-Food Canada, 2007. 10

Bundesministerium für Ernährung, Landwirtschaft und Verbraucherschuz (BMELV). 2011.

Die wirtschaftliche Lage der landwirtschaftlichen Betriebe (Wirtschaftsjahr 2009/10). Bonn.

Bundesministerium für Ernährung, Landwirtschaft und Verbraucherschuz (BMELV). 2011.

Neuregelung der Grundsteuer. Bonn.

Daniel–M. Gouin, Agricultural Sector Adjustment Following Removal of Government Subsidies in New Zealand, Research Report No. 28, Agribusiness & Economics Research Unit, Lincoln University, 2006

Eric Robbins, Lending Competition of Community Banks and the Farm Credit System, Federal Reserve Bank of Kansas City, 2009.9

Jim Monke, Agricultural Credit: Institutions and Issues, CRS Report for Congress(Order Code RS21977), 2011. 1

Jim Monke, Leaving the Farm Credit System: The Future of Farm Credit Services of America, CRS Report for Congress(Order Code RS21919), 2004.9

John Nwoha, Bruce L. Ahrendsen, Bruce L. Dixon, Eddie C. Chavez, Sandra J. Hamm, Daniel M. Settlage, Diana Danforth, Farm Service Agency Direct Farm Loan Program Effectiveness Study, Arkansas Agricultural Experiment Station, 2005.12 John Wilkinson, Rural Assistance Schemes and Programs, NSW Parliamentary Library

Research Service, 2005

Second quarter and first half-year 2010 results. Credit Agricole S.A.

Stephanie Mercier, Review of U.S. Farm Programs, AGree(www.foodandagpolicy.org), 2011.11

USDA Rural Development, Guide to Programs, 2011. 10

USDA-FSA, Fact Sheet: USDA-Farm Service Agency(Farm Loans), 2011.2 www.fsa.usda.gov

www.maf.govt.nz/agriculture/funding-programmes www.daff.gov.au/abares

長谷川晃生, “最近の農業政策金融資金の變化とJAの課題”, 「調査と情報」, 農林中金總合硏 究所, 2011.3

農林水産省經濟局金融課 編, 「農林水産制度金融の手引」, 1997, ぎょうせい

農林水産省, “農業信用保證保險制度のご案內”, 2010.6. http://www.maff.go.jp/j/keiei/ki-nyu/index.html

農林水産省, “農業經營改善關係資金のご案內”, http://www.maff.go.jp/j/keiei/kinyu/index.html 農林水産省, “農業改良資金のご案內”, http://www.maff.go.jp/j/keiei/kinyu/index.html 農林水産省, “農業負債整理關係資金のご案內”, http://www.maff.go.jp/j/keiei/kinyu/index.html 農林水産省, “農業法人投資育成制度のご案內”, http://www.maff.go.jp/j/keiei/kinyu/index.html 農林水産省, “農林漁業セーフティネット資金のご案內”,

農林水産省, “農業經營改善關係資金のご案內”, http://www.maff.go.jp/j/keiei/kinyu/index.html 農林水産省, “農業改良資金のご案內”, http://www.maff.go.jp/j/keiei/kinyu/index.html 農林水産省, “農業負債整理關係資金のご案內”, http://www.maff.go.jp/j/keiei/kinyu/index.html 農林水産省, “農業法人投資育成制度のご案內”, http://www.maff.go.jp/j/keiei/kinyu/index.html 農林水産省, “農林漁業セーフティネット資金のご案內”,

문서에서 선진 농업금융 사례 분석 (페이지 175-1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