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 2006년 농업부가가치(2000년 가격기준, 서비스부문 제외)는 21조 8,200억 원으로서 전년 대비 0.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재배업부가가치는 전 년 대비 2.7% 증가한 19조 1,560억 원이었다. 축산업부가가치는 2005년에 서 3조 1,070억 원에서 2006년 2조 6,640억 원으로서 14.3% 하락하였다.

◦ 2007년 농업부가가치는 전년 대비 약 0.4% 감소한 21조 7,260억 원으로 추정된다. 2007년 농업부가가치 감소는 재배업 부문의 부가가치 감소에 기인한다. 재배업부문 부가가치는 전년 대비 1.2% 감소한 18조 9,290억 원 인 반면 축산업부문 부가가치는 전년 대비 4.9% 증가한 2조 7,970억 원으 로 추정된다.

◦ 2007년 재배업부문 부가가치 감소는 쌀, 콩, 배, 포도 등의 재배면적 감소 와 사과, 배 등 과일류 가격이 전반적으로 하락세를 나타냈기 때문이다. 축 산업 부문의 부가가치가 증가한 것은 미국산 쇠고기가 검역 문제로 제한된

물량만 수입된 가운데 축산물의 수요 증가와 생산량 증가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표 1-24. 농업부문 부가가치 변화 추이

단위: 10억 원, 2000년 가격 기준

1995 2000 2004 2005 2006 2007 연평균변화율(%) 00/95 05/00 07/06 농업 19,051 21,244 21,644 21,752 21,820 21,726 11.51 2.39 △0.43

(19,637) (21,244) (22,651) (21,097) (23,102) (21,745)

재배업 16,945 18,646 18,594 18,645 19,156 18,929 10.04 △0.01 △1.18 (16,702) (18,646) (19,009) (16,743) (19,596) (18,688)

축산업 2,106 2,598 3,050 3,107 2,664 2,797 23.36 19.59 4.98 (2,935) (2,598) (3,642) (4,354) (3,505) (3,057)

주: ( )안은 당해 연도 가격기준 부가가치를 의미함. 자료: 한국은행, KREI-ASMO 2007.

◦ 2007년 이후 농업부문 부가가치는 재배업 부가가치의 하락으로 감소할 것 으로 전망되었다. 2008년 농업 부가가치는 2007년보다 2.6% 감소한 21조 1,680억 원으로 전망된다.

표 1-25. 농업부문 부가가치 전망

단위: 10억 원, 2000년 가격 기준

2007 2008 2013 2018

농업 21,726 21,168 21,201 20,597

재배업 18,929 18,261 18,273 17,757

축산업 2,797 2,907 2,928 2,840

자료: KREI-ASMO 2007.

◦ 2018년 농업 부가가치는 20조 5,970억 원으로 2007년에 비해 1조 1,290억 원 적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와 같이 농업 부가가치가 감소세를 띨 것으로 전망된 데에는 재배업 부가가치가 계속해서 감소할 뿐만 아니라 축산업 부 가가치도 2013년 이후에는 한육우 등의 사육두수 감소로 감소세로 돌아설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30

◦ 2005~07년 평균 농업생산액은 34조 2,090억 원으로 추산된다. 같은 기간 쌀 생산액은 증가 추세에 있지만 보리, 두류 생산액은 감소세를 나타냈다.

채소류 중에는 양배추, 고추, 마늘, 양파, 참외, 토마토, 풋고추, 호박 등의 생산액이 전반적으로 증가한 반면 배추, 무, 당근, 수박 등의 생산액은 감 소 추세에 있다. 사과 이외 과일 생산은 감소 추세를 보인다. 축산물 중에 는 한육우 생산액이 증가한 반면 양돈, 양계, 낙농 생산액은 감소세를 나타 낸다.

표 1-26. 농업부문 생산액 전망

단위: 10억 원, 경상

2005~2007 평균 2008 2013 2018

농업 34,209 34,216 34,787 34,706

재배업 22,669 22,716 22,592 21,729

8,516 8,576 8,096 6,981

곡물류1) 705 533 691 735

채소류 6,556 6,679 7,119 7,562

과실류 2,983 2,767 2,684 2,611

기타 4,054 4,161 4,001 3,841

축산업 11,539 11,500 12,195 12,977

주: 1) 곡물류는 맥류, 잡곡, 두류로 구성 자료: 한국은행, KREI-ASMO 2007.

◦ 2008년 농업생산액은 2005~07년 평균 수준보다 약 70억 원 많은 34조 2,160억 원으로 전망된다. 쌀 생산액은 전년도의 가격 상승세가 지속되어 2008년도에도 다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채소류 생산액도 토마토, 딸 기 등의 시설채소 생산액 증가로 전반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과 실류도 2007년보다 가격이 상승하고 생산액도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축산물 생산액은 양돈 생산액의 감소에 의해 전년보다 다소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 중장기적으로는 농업 생산액이 34조 7,000원 대에서 정체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재배업 생산액은 점진적으로 축소되는 반면 축산업 생산액은 기 준 연도 대비 약 1조 3,800억 원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재배업 생산액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는 이유는 쌀, 주요 과실, 그리고 일부 채소 생산액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 2005~2007년 평균 농업부문 총소득은 재배업이 14조 4,320억 원, 축산업 이 2조 8,503억 원으로 추정된다. 고추, 무, 마늘, 양파, 참외, 배, 한육우 등의 소득은 증가세에 있는 반면, 맥류, 두류, 배추, 수박, 오이, 토마토, 사과, 포도, 복숭아, 감귤, 양돈, 양계 등의 소득은 감소 추세를 보인다.

표 1-27. 농업부문 총소득 전망

단위: 10억 원, 경상

2005~2007 평균 2008 2013 2018

농업 17,285 16,862 16,247 15,465

재배업 14,432 14,405 13,640 12,522

5,345 5,617 4,979 4,087

곡물류1) 479 338 445 472

채소류 4,496 4,596 4,758 4,883

과실류 2,067 1,807 1,686 1,589

기타 2,044 2,047 1,772 1,492

축산업 2,853 2,456 2,607 2,943

주: 1) 곡물류는 맥류, 잡곡, 두류로 구성 자료: 한국은행, KREI-ASMO 2007.

◦ 2008년 농업총소득은 2005~07년 평균보다 2.4% 감소한 16조 8,620억 원 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처럼 농업총소득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는 이 유는 쌀, 두류, 일부 채소와 과일 소득이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었기 때문이 다. 2008년 축산업소득은 2005~07년 평균보다 390억 원 정도 감소할 것 으로 전망된다.

32

◦ 2018년 농업총소득은 약 15조 4,650억 원으로 전망된다. 재배업 소득은 2008년 14조 4,050억 원에서 2018년 12조 5,220억 원으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축산업 소득은 축산물 가격의 전반적인 상승세로 인해 2008년 2조 4,560억 원에서 2018년 2조 9,430억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3.6. 농업 및 농가소득 전망

◦ 2006년 농가소득은 전년보다 180만원 증가한 3,230만원이다. 호당 농업 소득은 감소한 반면 직불금 등 이전소득이 큰 폭으로 늘어났다. 앞서 언급 한 바와 같이 이전소득 증가가 농가소득 증대를 견인하는 것이 최근의 경 향이다.

◦ 2007년 농가호수가 전년 대비 2.1% 감소하고 농업총소득이 다소 증가하여 농가호당 농업소득은 전년 대비 11.0% 증가한 1,343만 원에 이른 것으로 추정된다. 여기에 더하여 겸업소득, 사업외 소득 등이 증가하여 농가소득 은 전년 대비 6.9% 늘어난 3,454만 원으로 추정된다.

◦ 2008년도에도 농업총소득이 다소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농가호수 가 2.1% 정도가 감소하고 농업 이외 소득이 증가할 것으로 보여 농가소 득은 전년 대비 4.0% 정도 증가한 3,593만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표 1-28. 농가소득 전망

단위: 만원(명목) 2005 2006 2007(추정) 2008 2013 2018 농가호당농업소득 1,338 1,209 1,343 1,414 1,519 1,612

농외 소득

겸업소득 253 269 283 298 370 450

사업외소득 735 735 861 893 1,064 1,261

합계 988 1,004 1,144 1,191 1,434 1,711 이전수입

(직불금포함) 880 1,017 966 988 1,103 1,237

농가소득 3,050 3,230 3,454 3,593 4,056 4,560 자료: 통계청, KREI-ASMO 2007.

◦ 중장기적으로 농가호수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겸업소득과 사업외 소득 그 리고 소득직불금을 포함한 이전수입이 증가세를 나타내 2018년 농가소득 은 4,560만 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