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국제 곡물가격 상승 전망과 파급영향

1.3. 가격동향

◦ 2000년대 이후 세계적인 곡물 소비 증가와 생산 불안정으로 재고가 크게 줄어들면서 곡물의 국제가격은 2006년 후반부터 급등 추이를 보이고 있다.

바이오에탄올 원료용 수요가 급증하면서 옥수수 가격은 2005년 하반기부 터 지속해서 상승하여 2007년 9월에 톤당 141.2달러 수준에 이르렀다. 이 는 2년 전에 비해 71%나 급등한 수준이다.

◦ 옥수수 가격은 2005년 하반기부터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2007/08년도 생산량이 큰 폭으로 증가하였으나, 소비량도 증가하여 2007/08년도 옥수수 선물가격은 강보합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 대두 가격은 2006년 하반기부터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2007/08

년도 생산량과 공급량은 줄어들고 기말재고량도 전년에 비해 대폭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어 현재와 같은 높은 가격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2004 년 대두 가격 폭등의 원인은 미국의 대두 융자단가 인하로 생산량이 감소하 였고, EU의 광우병 발생 이후 식물성 사료 수요 증가, 그리고 중국의 대두 박 생산 증가 등에 따른 초과 수요에 의한 것으로 파악된다.

◦ 소맥 가격은 2005년 하반기부터 지속해서 상승 추이를 보이고 있다.

2007/08년도 미국, 러시아 등 주요 소맥 생산국의 생산이 증가하였으나, 세계 소맥 재고량은 1977/78년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되 어 국제 가격은 현재와 같이 높은 수준이 당분간 유지될 것으로 전망된다.

◦ 쌀 가격에 대해 장립종은 2001년 이후 꾸준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으며, 중 립종은 2004년 2월 톤당 570달러로 최고치를 기록한 이후 하락했다가 2005년 하반기부터 다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캘리포니아산 중립종 가 격은 584달러/톤(2007.10.기준)으로 1980년대 이후 가장 높은 수준으로 2007/08년 캘리포니아산 중․단립종 가격은 당분간 높은 수준 유지할 것으 로 전망된다. 태국산 장립종 가격은 332달러/톤(2007.10.기준)으로 전년 동월 대비 8.1%가 상승한 수준을 보였다.

◦ 세계 곡물가격 지수의 변화를 살펴보면4), 2002~2004년 초반까지 상승, 2004년 중반부터 안정세를 보였으나, 2006년 중반부터 다시 급등하는 추 이를 보이고 있다. 2006년 하반기 곡물가격은 2005년 5월(저점) 대비 214.8% 상승하였다.

4) 국제곡물시장에서 거래되는 곡물중 주요 품목인 소맥, 옥수수, 대두의 시카고 선물거래소 가격(CBOT)을 가중평균하여 지수화한 것으로 소맥 50.6%, 옥수수 37.5%, 대두 11.9%를 각각 적용하였다(한국은행, 해외경제포커스 2004-28호).

42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00-9 01-3 01-9 02-3 02-9 03-3 03-9 04-3 04-9 05-3 05-9 06-3 06-9 07-3 07-9

옥 수 수 대 두 밀

그림 2-2. 주요 곡물의 국제가격 동향, 2000. 9.∼2007. 9.

단위: 달러/톤

주: 밀은 Kansas Chicago Hard Red Winter(HRW) Wheat 2등급, 옥수수는 Chicago Yellow Corn 2등급, 대두는 Chicago 1등급 기준

자료: USDA ERS(Average monthly closing price for the nearby futures)

◦ 이와 같이 국제 곡물가격이 최근 급격히 상승한 데는 첫째, 바이오연료 생 산용 곡물 수요급증, 둘째, 중국, 인도, 러시아, 브라질 등 인구 거대국가들 의 급속한 경제 고성장하에서 인구증가와 소득증가에 따른 식용곡물 수요 의 지속적인 증가, 그리고 육류소비 증대에 따른 사료용 곡물 수요의 지속 적인 증가, 셋째, 기후온난화 등 기상이변에 따른 유럽, 호주 지역의 최근 곡물 작황 부진, 넷째, 2000년 이후 에너지 가격 상승으로 수송비 및 원자 재 가격이 상승, 곡물 생산비용이 증가, 그리고 국제 곡물가격 상승이 향후 지속될 것으로 기대됨에 따른 투기수요의 증가도 국제 곡물가격의 추가적 인 상승 및 변동성(volatility)을 증대시키는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