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 국내 농기계 시장의 정체에 따른 대안으로 농기계 수출확대가 제기되어 왔 으며, 이에 따라 1995년 3,872만 달러의 적자를 기록하던 농기계 무역수지 는 2000년 300만 달러의 흑자로 전환된 이래 2006년까지 무역수지 흑자를 나 타냈음.

- 그러나 2007~2008년에는 일본 농기계 수입 증가 영향 등으로 무역수지는 다시 적자로 돌아섰으나, 2009년에는 환율 급등으로 수입 물량이 급감함에

따라 1,325만 달러의 무역수지 흑자를 기록하였음.

표 2-9. 농기계 수출입 실적 및 무역수지

단위: 천 달러

1995 2000 2005 2006 2007 2008 2009

수출(A) 42,522 134,804 341,022 350,869 399,650 402,246 375,457 수입(B) 81,238 131,806 282,314 332,211 422,245 470,149 362,205 무역수지

(A-B) △38,716 2,988 58,708 18,658 △22,595 △67,903 13,252 자료: 한국농기계공업협동조합·한국농업기계학회, 「농업기계연감」, 각 연도.

○ 농기계 수출은 2000년 1억 3,480만 달러에서 2005년 3억 4,100만 달러, 2009년에는 3억 7,550만 달러로 2000년에 비해 2.8배 증가하는 등 매년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음.

○ 주요 수출 기종은 트랙터로 전체 수출액의 과반 정도를 차지하고 있으며, 최근 2억 달러 내외가 수출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트랙터 다음으로 수출액이 많은 농기계는 부품으로 12~14%의 점유율을 나타내고 있으며, 50마력 이상의 트랙터 수출이 지속적으로 증가한 반면, 50마력 이하는 감소하고 있음.7

- 중소기업의 대표 품목이라 할 수 있는 부속 작업기의 경우 2000년대 중반 까지만 해도 수출 실적이 많지 않았으나, 최근 크게 늘어 2009년 현재 10.1%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 도정기계는 2005년 전체 수출액의 8.3%에 불과하였으나, 꾸준히 성장 하여 2009년 12.2%인 4,570만 달러가 수출되었음.

7 농업기계연감(2010).

22

표 2-10. 주요 농기계 연도별 수출 현황

단위: 천 달러( %)

2000 2005 2006 2007 2008 2009

트랙터 47,368

표 2-11. 농기계 국별 수출 실적

단위: 천 달러( %)

2001 2005 2006 2007 2008 2009

미국 66,299

24

- 특히, 중국은 콤바인과 이앙기에 대한 기술이 부족하여 상당부분을 일본과 한국 등으로부터 수입하는 실정이나, 현지화 부족으로 인해 수출실적이 크게 증가하지 않고 있어8 중국시장 공략을 위한 적극적인 전략이 필요함.

○ 농기계 수입은 2000년 1억 3,180만 달러에서 2008년 4억 7,150만 달러까지 크게 증가하다 2009년에는 3억 3,220만 달러로 다소 감소하였음.

- 주요 수입 농기계 기종은 트랙터로 전체의 25~26%를 차지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이앙기가 13~14%의 비중을 나타내고 있음.

- 콤바인의 수입 비중은 2000년 7.8%에서 2008년 13.1%로 상승하였으나, 2009년은 8.4%로 낮아졌음.

- 부품 수입은 2000년 2,700만 달러에서 2009년 4,150만 달러로 1.5배 증 가하여 11.5%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 2000년대 초반 수입 비중이 다소 높았던 예취기는 매년 2,000만 달러 이 상이 수입되고는 있으나, 그 비중은 감소 경향을 보여 2009년 6.8%를 나 타내고 있음.

- 축산 관련 농기계 품목 중에서는 가금양봉기계의 수입 실적이 가장 많아 전체 수입액의 6.4%를 차지하고 있음.

○ 우리나라 농기계의 주요 수입국은 일본으로 수입 비중이 2000년 22.8% 정도 였으나, 2005년은 40.9%, 2009년에는 43.4%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

- 일본 다음의 주요 수입국은 독일로 매년 4,000만~5,000만 달러 내외의 농 기계를 수입하고 있음.

- 미국은 2000년대 중반까지 수입이 많았으나, 이후 계속 감소하여 2009년 에는 8.7%까지 수입 비중이 줄어 든 것으로 나타남.

8 농업기계연감(2010).

표 2-12. 주요 농기계 연도별 수입 현황

단위: 천 달러( %)

2000 2005 2006 2007 2008 2009

트랙터 42,872

26

2001 2005 2006 2007 2008 2009

일본 30,014

- 농기계를 생산하고 있는 국내 농기계 업체들이 중국 현지 법인을 세우고 공장시설을 확충하고 있는데, 이것은 중국 정부가 내수기업 우대 정책을 추진하고 있고 생산에 따른 공급량 중 정부보조사업으로 일정부분 책임을 져주고 있기 때문임.

- 이 때문에 중국으로 진출하는 국내 농기계 업체들에게는 현지화가 필수 적인 요소로 작용하고 있어 이에 대한 전략이 필요하며, 향후 중국으로 부터 수입 증가에 대비할 수 있는 방안을 시급히 마련해야 할 것임.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