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기후변화가 한국 농업에 미치는 영향

01 기후변화와 한국 농업

1.2. 기후변화가 한국 농업에 미치는 영향

∙ 2015년 OECD 기후스마트농업 워크숍에서 농식품부에서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기후변화는 다음과 같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그림 8-2. 한국의 기후변화 영향

자료: 김정욱. 2015. OECD Coherent Policies for Climate Smart Agriculture Workshop Presentation.

∙ 김창길 외(2012)2)는 IPCC에서 발표한 2050년까지 기온이 3℃ 상승하는 시나리오(A2)와 온실 가스 저감 활동 없이 기존과 같이 온실가스가 배출되는 경우의 대표 시나리오(RPC8.5)를 이용 하여서 주요 작물의 단수 변화를 예측하였다. 작물 모형(CERES)에서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 2050년 기준으로, A2 시나리오에서 쌀의 단수는 평년 대비 8% 감소, RPC8.5 시나리오에 서는 13.1% 감소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 2050년 기준으로, A2 시나리오에서 보리의 단수는 평년 대비 15.3% 감소하는 것으로 예 측되었다.

- 2050년 기준으로, A2 시나리오에서 콩의 단수는 평년 대비 8% 감소하는 것으로 예측되 었다.

- 쌀과 보리의 재배 면적은 추정 모형과 시나리오에 관계 없이 감소하지만, 콩의 재배 면적 은 분석 모형에 따라서 감소하거나 증가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2) 김창길 외. 2012. 기후변화가 식량공급에 미치는 영향분석과 대응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기후스마트농업의 동향과 전망

185

표 8-1. 주요 곡물의 단수 추정결과(CERES)

단위: kg/10a, %

구분 평년

단수

2015 2020  2030 2050

단수 평년비 단수 평년비 단수 평년비 단수 평년비

쌀1) 498.3 501.5 0.7 495.2 -0.6 482.6 -3.1 458.6 - 8.0 쌀2) 498.3 501.5 0.7 492.3 -1.2 472.6 -5.2 433.1 - 13.1 보리1) 287.1 289.5 0.8 275.6 -4.0 258.4 -10.0 243.0 -15.3

콩1) 163.7 164.7 0.6 162.6 -0.7 158.5 -3.2 150.6 - 8.0

W 1) A2 시나리오, 2) RPC8.5 시나리오 자료: 김창길 외. 2012. P. 63

∙ 쌀 자급률을 살펴보면, 동 보고서에서 2050년 RCP8.5(CERES)시나리오 예측치가 베이스라 인에 비해 18.3%p 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 시나리오에서는 쌀 자급률이 50%

대로 떨어져 식량안보 문제가 심각해질 것으로 전망되었다.

- 보리 자급률의 경우, 2050년에 A2(CERES)시나리오에서 베이스라인 자급률에 비해 6.6%p 감소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 때 보리 자급률은 8%대로 떨어질 것으로 전망되었다.

- 콩 자급률의 경우, 2050년에 A2(CERES)시나리오에서 베이스라인 자급률에 비해 1.3%p 감소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 때 콩 자급률은 6%대로 떨어질 것으로 전망되었다.

그림 8-3. 식량 자급률 변화 예측 (1) 기후변화에 따른 쌀 자급률 변화

그림 8-3. 식량 자급률 변화 예측 (계속) (2) 기후변화에 따른 보리 자급률 변화

(3) 기후변화에 따른 콩 자급률 변화

자료: 김창길 외. 2012. PP. 67-69

기후스마트농업의 동향과 전망

187

∙ 이러한 예측 결과를 본다면, 기후변화는 한국의 식량자급률에 큰 영향을 주며 미래 식량 안보를 위협하는 요소가 될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정부에서는 2010년 4월 「2010년 도 농림수산식품분야 녹색성장 중요 추진계획」을 마련하여서 7대 핵심과제와 2대 관리 과제를 선정한 바 있으며, 덧붙여 2010년 11월에는 「농림수산식품 기후변화 대응 세부 추진계획(‘11~’20)」을 선제적으로 수립하여서 발표한 바 있다. 그러나 이제까지의 기후 변화 대응 정책은 생산성 향상보다 기후변화 완화와 적응에 무게를 더 두어왔으므로, 앞 으로의 기후변화 대응 정책에서는 식량안보를 고려한 농업의 생산성 향상도 함께 고려 해야 할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향후 한국 농업으 기후변화 대응 정책의 방향으로 ‘기후 스마트농업’을 소개하기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