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조사대상자의 주요 지표에 대한 기술통계를 통해 응답자들이 지각하는 수준을 개략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우선 본 연구의 종 속변수인 기부지속성은 5점 척도를 기준으로 3.03(SD=.73)으로 보통수준으로 나 타났고, 기부지속성 하위요인 중 기부지속의향(3.38점)과 기부추천의향(3.28점)은 기부횟수나 기부금액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독립변수 중 하나인 사회적 자본은 5점 척도를 기준으로 2.94(SD=.44)으로 보통보다 약간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고, 하위요인은 신뢰(3.23 점)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사회참여(2.46점)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또 다 른 독립변수인 문화성향은 5점 척도를 기준으로 3.50(SD=.34) 수준으로 나타났 다. 문화성향 하위요인 중 수직적 집단주의(3.61점)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수평 적 개인주의(3.36점)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는 한국인의 문화성향이 집단주의 에서 수평-개인주의 가치관으로 변화하고 있다는 선행연구(한규석․신수진, 1999; 류승아, 2010)와는 상반되는 결과로서, 문화성향이 기부지속성에 미치는 영 향요인 검증시 지역적 특성 등 그 이유를 파악해볼 필요가 있다.

네트워크 530 1.00 4.43 2.94 .55 문화성향 530 1.72 4.84 3.50 .34 수직적 개인주의 530 2.00 4.88 3.42 .39 수평적 개인주의 530 1.25 4.88 3.36 .44 수직적 집단주의 530 1.88 4.88 3.61 .39 수평적 집단주의 530 1.75 5.00 3.60 .45 기부지속성 529 1.00 4.81 3.03 .73 기부횟수 530 1.00 5.00 2.91 .86 기부금액 530 1.00 4.50 2.54 .66 기부지속의향 529 1.00 5.00 3.38 .92 기부추천의향 530 1.00 5.00 3.28 .90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적 특성 및 기부특성에 따라 기부지속성에 대한 인식이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우선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적 특성에 따른 기부지 속성에 대한 인식이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는 <표 4-3>과 같다. 기부횟 수, 기부금액, 기부지속의향, 기부추천의향이 상위변수인 기부지속성은 전체(①+

②+③+④)로 표시되어 있으며, 표에서 알 수 있듯이, 성별, 거주지, 직업에 따른 기부지속성에 대한 인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고 있지 않으나 연 령(F=15.184, p=.000), 학력(F=7.294, p=.001), 종교(F=7.630, p=.000), 월평균 총 가 구소득(F=3.894, p=.002)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기부지속성의 하위요소를 살펴보면, 기부금액에 대해서는 연령, 학력, 직업, 종 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반면, 기부횟수, 기부지속의향과 기부

<표 4-3> 응답자의 인구사회적 특성에 따른 기부지속성 차이

검증 a,b<c,d a,b<c<d a,b<c<d a,b<c,d a,b<c,d

사후

검증 a,b<c a,b<c a,b<c a,b<c a,b<c

검증 c,a,d<b a,c,d<b

검증 d,a<c,b d,a<c<b d,a,c<b d,a<c<b d,a<c,b

검증 a,b,c<d,f<e a,b<d,c,f<e a,b<c,d,f<e a,b,c,f,d<e

*p<.05, **p<.01, ***p<.001

다음으로 조사대상자의 기부 특성에 따라 기부지속성에 대한 인식이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는 <표 4-4>와 같다. 기부지속성은 표에서 알 수 있듯이,

정기적 기부여부(t=13.345, p=.000), 월평균 기부액(F=18.006, p=.000)에 따른 기부

검증 a<b,c<d<e a<b,c<d<e a<b,c,d<e a<b,c<d<e a<b,c,d<e

*p<.05, **p<.01, ***p<.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