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국외의 달비계 작업 사례

국내의 달비계 작업과 비교하기 위하여 국외에서 고층의 유리창 청소 또는 도장 작업 등 고소작업 시 사용하는 달비계의 모델, 작업방법, 보호장비 등을 조사하였다.

국외에서 사용하는 달비계 모델은 국내에서 사용하는 달비계 모델과 유사하지만 로프의 종류, 등반기·하강기 등과 같은 부속장비 부분에서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다음 [그림 2-22]는 국외의 달비계 작업 사례를 나타내고 있다.

[그림 2-19] 국외의 달비계 관련 작업 사례11)

국내 고소작업 현장과는 달리 국외에서는 Rope Access12)라는 용어를 사용 하고 있다.

11) https://sp.depositphotos.com/

12) https://en.wikipedia.org/wiki/Rope_access

Rope Access란 처음에는 등반 및 동굴 탐험에 사용되는 기술로 개발되었는데, 작업자가 작업발판 또는 플랫폼을 사용하지 않고 도달하기 어려운 위치에 접근할 수 있도록 개발한 로프 접근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Rope Access 기술자는 하니스(안전대, 안전벨트)에 매달려 작업하고자 하는 장소로의 접근 및 작업을 위해 로프를 상승, 하강하며 다각도로 이동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필요 시에는 작업용 시트(seat)를 사용할 수도 있다.

Rope Access와 관련하여 1980년도에 최초 영국에서 선박, 플랜트 설치 작업 시 빈번하게 일어나는 고소작업 추락 사고율로 인한 인명손실을 예방하고자 고소 작업 전문가들에 의해 IRATA(Industrial Rope Access Trade Association)라는 협회가 설립되었다. IRATA는 로프 관련 유일한 세계 협회로 현재 전 세계 50개국 13만 명의 고소작업 전문가를 회원으로 보유하고 있으며, 영국, 미국, 러시아, 유럽, 아시아 등 각 나라에서 고소작업 전문가들이 협회를 만들어 규정을 만들어 공유하고, 필기 및 실기 교육으로 자격증을 발부하여 자격증 보유자만 고소작업을 할 수 있도록 권장하고 있다.

또한, IRATA에서는 산업현장에서의 안전한 로프 사용과 작업 안전을 위해 업무의 품질에 관련된 인증서와 훈련 및 기타 관련 작업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만들어 Rope Access에 관한 많은 정보를 정부 부처 및 산업현장, 작업자에게 제공하고 있다.

고소작업을 위한 국제공인자격증인 IRATA 자격증은 3단계의 엄격한 교육 훈련을 이수해야하며, 까다로운 평가기준을 통과해야만 자격증을 발급받을 수 있다. 엄격한 교육과 더불어 IRATA의 Rope Access는 다음과 같은 특성이 있어 재해예방에 효과가 있음을 파악할 수 있다.

1. Rope Access 기술자는 항상 각각 독립적인 앵커지점을 갖는 2개소의 부착점을 확보해야 한다.

2. 로프에 매달리는 경우 기술자는 자동 잠김 하강장치를 사용해야 한다.

3. 모든 작업 보조 도구 및 장비는 낙하방지줄을 이용하여 하네스(안전대, 안전벨트)에 부착해야 한다.

4. 모든 작업을 할 때 최소 2명의 기술자가 있어야 한다.

5. Rope Access 교육은 인명 구조 절차가 포함되어 있다.

6. Rope Access 장비는 정기적으로 검사 및 유지관리를 해야 한다.

하지만, Rope Access의 국내 도입 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문제점이 있다.

Rope Access에 맞는 장비를 갖추기 위한 구입비용이 현재 주로 사용하는 달비계 장비의 3배 이상이며, 교육훈련 이수 및 자격증 취득 과정의 비용 또한 고가이기 때문에 영세업체 소속의 작업자가 대부분인 국내에서 보편화되기에는 다소 무리가 따를 것으로 판단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장기적인 측면으로 고려해볼 때 작업자 개인의 안전성 확보할 수 있고 국내 달비계 설비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장점이 충분하기에 투자할 가치가 있으며, 정부의 클린사업 등의 지원을 받을 수 있다면 충분히 도입가능성이 있다고 생각된다.

현재, 국내에서도 Rope Access 기술이 전파되어 많은 비율은 아니지만 이미 Rope Access 기술을 활용하여 작업하는 작업자들과 IRATA 자격증 보유자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하지만 국내 산업현장에서는 이미 익숙하게 사용하고 있는 PP(폴리프로필렌)로프와 기존의 작업방법에 대해 변화를 주려는 의지가 크지 않기 때문에 많은 작업자가 Rope Access 기술 도입에 대한 인식의 변화가 필요할 것이며 기술이 보편화되기까지는 다소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에서도 IRATA 국제공인자격증과 같이 고소작업을 위한 공인자격증을 도입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으며, 향후 자격증 보유자만이 고소작업을 할 수 있도록 권장하는 문화가 조성된다면 달비계로 인한 재해발생률이 감소하는데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다음의 <표 2-9>는 국내 달비계 설비와 Rope Access 설비에 대해 비교한 표이다.

<표 2-6> 국내 달비계 설비와 Rope Access 장비 등의 비교 국내 달비계 Rope Access

작업 모습

구성 요소

작업대, PP로프(작업용, 수직구명줄용), 샤클, 안전대(안전벨트), 추락방지대,

안전모, 로프 보호덮개 등

작업대(필요시), 등산용 로프(작업용, 수직구명줄용), 카라비너, 안전대(안전벨트), 안전모, 등강기(Ascension), 하강기, 도르래, 추락제동장비,

로프 보호대 등 장비

구입비용

600,000원 내외

(장비 종류에 따라 가격변동)

2,000,000원 내외 (장비 종류에 따라 가격변동) 교육 및

자격증 취득비용

- 3,000,000원

(출처 : Rope Access Korea)

장점  저가의 장비(상대적)

 교육비용이 따로 없음

 안전성 확보

 장비 가벼움

 상승, 하강, 다각도 이동 가능

 작업의 효율성 높음

단점

 안전성 미확보

 로프 등 장비 무거움

 하강만 가능

 초기 투자비용 상당함

 고가의 장비(국외제품)

 장비종류 다양

 고가의 교육비용

 자격증 취득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