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 농업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다양한 OECD 보고서가 존재함. 그 중 몇 가지 대표적인 것을 소개하자면 아래와 같음.

- OECD(2010)은 필지에 따른 대표 농업인의 의사결정 행위를 분석하는 농업환경정책영향모델(Stylized Agri-environmental Policy Impact Model:

SAPIM)을 구축하고, 농업환경 정책이 이질적 농가의 투입재 사용 강도 와 농법(내연적 마진), 농업 활동 간 토지 이용 분배(외연적 마진), 농지 진입 및 농업 이탈(진입-이탈 마진)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

였음. 그리고 모형을 이용하여서 핀란드의 환경 규제, 경종 농가에 대한 (Evaluation of Agri-Environmental Policies)" 워크숍에서 발표한 내용을 정리한 보고서로, 농업환경 정책 설계, 수행, 평가에 이르는 가이드라인

- OECD(2014)는 OECD 녹색성장 전략 측정 체계(OECD Green Growth Strategy Measurement Framework)를 개발하는 첫 단계 보고서로, 농업 부문 녹색성장 지표 개발을 위한 기초 통계량(탄소 생산성, 에너지 생산 성, 용수사용 강도, 양분 흐름 및 수지, 바이오매스, 생물다양성 등)을 제 공하는 것을 목표로 함.

- OECD(2015)에서는 농업 부문 녹색성장을 이루기 위해서는 R&D, 혁신,

교육, 확장(extension) 프로그램이 중요함을 강조함. 이러한 자문 (advisory) 서비스, 훈련(training), 확장 프로그램은 정책 조합 사이에서 뚜렷한 목표를 가져야 하며, 농업인을 설득하고 농업인이 채택하게 되는 농법은 신뢰성 있고 가장 최신 경영 감각을 반영해야 한다고 권유함. 그 리고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의 재원의 역할을 분명히 하고 정책 및 자원, 이슈의 특성을 반영해야 하며, 이러한 서비스 및 확장 프로그램을 수행 하는 기관이 다양한 농업인과 다양한 서비스 범위를 담당할 수 있어야 한다고 분석한 바 있음.

○ 김필주 외(2008)는 OECD의 양분수지분석법을 활용하여서 한국 질소와 인 산수지가 꾸준히 증가해왔으며, 2006년에는 OECD 회원국 중 가장 높다는 것을 보여주었음.

○ Lee et al. (2014)는 12개 OECD 국가의 패널 데이터를 이용하여서 바이오매 스 공급에 영향을 주는 국가 특성에 대해서 분석함. 산림 면적, GDP, R&D 가 바이오매스 생산에 영향을 주는 주요 특성으로 분석되었으며, 이 중에서 도 산림 면적에 비례하여서 바이오매스 생산 및 소비가 이루어짐을 지적하 였음.

○ 김민경 외(2016)는 OECD 농업환경지표 중 수질지표를 이용하여서 OECD 와 한국의 농업용수 수질지표를 제시하고, 그 추세에 대해서 논의하였음. 농 업용수 수질지표에 대한 유관 기관 및 전문가 간 협력을 바탕으로 농업용수 수질기준이 제정되어야 함을 지적하였음.

○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서는 2010년부터 매년 OECD 농업․환경 분야의 논 의 검토 및 대응 방안을 제시하여 왔음. 이와 관련한 연구로는 김창길 외 (2015), 송주호 외(2014), 송주호 외(2013) 등이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