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가. 정보시스템 관점에서 도시통합정보센터 구축

□ 표준기반의 통합 플랫폼 구현

◦도시정보를 효율적으로 취합하고 정보서비스를 제공하는 표 준기반의 통합 플랫폼 구현

‒ 정보수집, 인증 및 보안관리, 정보통합관리, 정보서비스 등의 기능

□ 도시정보 관리를 위한 시스템 연계통합

◦공공 부문에서 다양한 정보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으나, 개별 적으로 정보 서비스되어 효과적인 활용이 제대로 되지 못함

◦도시통합정보센터의 유기적인 정보통합을 위해 행정정보 및

Ⅴ. u-행정도시 구현방안

각 기관의 운영정보와 이들 운영정보로부터 파생되는 각종 컨텐츠들이 통합 관리되어야 함

◦도시통합정보센터가 제공하는 정보서비스의 원천(information source)인 개별 정보시스템(u-정보시스템)들을 도시공간정보 기반(USDI)으로 연계통합하고 관리

‒ 각 개별정보시스템의 특성, 운영상태 등을 고려하여 물리적, 논리적 연계통합을 병행

‒ 기 구축된 정보시스템은 도시통합정보센터의 정보원(information source)으로서 back-office 기능 수행

◦행정정보시스템 통합업무을 위한 DB 공유 및 연계

‒ 행정도시와 타 자치단체(시군구 및 광역시도) 및 중앙정부의 데이터 연계활용을 위해 국가 표준 정보시스템의 DB 스키마 를 유지하면서 공유 및 연계

◦정보시스템 연계통합을 위해서 기술적, 운영관리, 제도적 등 의 측면을 고려하여 데이터 표준 및 변환 전략, 시스템 아키 텍쳐, 정보자원 보호 방안, 보급 및 운영 기관 간 협조체계 등 적절한 연계통합방안 수립이 요구 됨

‒ 이를 위해 기 구축된 정보시스템의 구성방식을 확인하고, 어 떻게 연계통합할 것인지에 대한 사전 정보 획득을 위해 각 표 준시스템 유지관리 담당 조직과 유기적인 협조체제 구축

나. 물리적 공간 관점에서 도시통합정보센터 건축

□ 도시통합정보센터의 위치

◦도시통합정보센터는 행정도시의 공간구조를 고려하여 입지 하는 것이 바람직함

‒ 행정도시는 환상형 링 구조를 가질 것으로 예상되며, 링을 따 라 도시기능들이 배치될것으로 예상되며, 중앙 녹지는 자연상 태로 보존될 것으로 예상

◦도시통합정보센터의 위치는 도시통합정보센터의 역할 및 기 능, 관련 기관이나 조직의 접근성 및 연계효과 등을 고려하 여 선정

미래형 삶의 질 향유를 위한 첨단정보도시 구현방안

106

‒ 도시통합정보센터의 역할이 자치단체와 관련이 많기 때문에 시청 주변지역을 우선적으로 고려할 수 있음

‒ 행정도시 시청과 함께 입지함으로써 여러 관련 공공 기관, 조 직간의 접근성 및 연계 효과를 가질 수 있으며, 또한 시민의 센터 접근 용이성을 예상할 수 있음

‒ 그러나 첨단지식단지와 연계하여 유비쿼터스 거리, 공원 등을 건설하여 행정도시를 u-IT 허브로 조성하는 경우에는 u-City 관련 시설을 집중하는 것이 시너지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임

‒ 이 경우 도시통합정보센터의 공간적 위치는 첨단지식단지 조 성계획과 연계하여 건설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예상됨

◦도시통합정보센터는 행정중심복합도시가 유비쿼터스 환경의 세계 최초의 도시라는 상징성, 정체성 등을 나타낼 수 있도 록 설계하여 건축(랜드 마크)

□ 물리적 공간으로써 도시통합정보센터의 기능

◦도시통합정보센터의 물리적 공간은 기능 측면에서 기본 기능 을 위한 공간과 부가 기능을 위한 공간이 건물에 필요할 것 으로 예상

‒ 기본 기능을 위한 공간으로는, (1) 통합관제상황실, (2) 정보 통신인프라 기지국, (3) 전산실(전산장비실, 전산운영실, 기계 실 등), (4) 사무공간(회의실, 사무실 등), (5) 기타 공간(휴 게실, 화장실, 복도, 계단 등)으로 구성

‒ 부가기능 공간으로는 (1) 유비쿼터스 체험관, (2) 강당(또는 교육장), (3)기타 공간 등으로 구성

□ 도시통합정보센터의 공간규모

◦도시통합정보센터는 대상 구현도시의 면적과 인구 정보를 참 조하여 센터의 부지면적을 산출

‒ 수도권 지역에서 파주․운정지구(280만평 부지, 예상인구 약 12 만명)의 경우 약 530여평의 면적이 산출되었으며, 성남판교지 구(280만평부지, 약 8만명의 인구)의 경우 약 220평의 면적(실 평수 기준)이 산정되었음

‒ 행정도시는 약 2200여만평의 부지가 예정되어 있으며, 예상 인구는 약 50여만명을 추산함(2030년 기준)

Ⅴ. u-행정도시 구현방안

◦도시통합정보센터의 부지면적은 도시 면적보다는 인구 규모 에 따라 달라질 것임

‒ 도시의 전체 면적은 도시통합정보센터의 면적과 반드시 비례 하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

‒ 인구 규모에 따라 도시 기능의 수와 종류가 달라지므로, 이와 관련된 시스템, 장비, 인력의 차이를 고려하여 센터의 면적이 달라질 것으로 판단됨

‒ 도시통합정보센터 부지면적은 다른 지구의 유비쿼터스 전략계 획(USP) 산정 결과와 다른 여러 요인들을 고려하여 적절한 규모를 판단하도록 함

다. 운영관리 관점에서 도시통합정보센터의 역할과 조직

□ 도시통합정보센터의 운영조직

◦운영관리 조직으로써 센터의 역할은 기획총괄, 정보서비스, 시스템운영, u-도시 인프라 관리, 보안관리 등의 역할을 수행

‒ 도시건설과정에서 u-행정도시 구현을 담당하는 조직(추진조 직)과 도시통합정보센터를 운영하는 조직은 별개의 독립된 조 직이라기 보다는 도시건설 단계에 따라 역할이 전환되는 조직 으로 보아야 할 것임

‒ 따라서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과정에는 u-행정도시 구현이 핵심 역할이며, 건설이 완료되어 운영단계에서는 u-정보서비 스가 주요 역할

‒ 행정도시 건설초기 단계에는 u-도시 인프라 구축과 관련기관 사이에 공동활용 및 유지관리 체계 구축에 중점을 두어야 함

‒ 행정도시의 건설초기에는 소수의 전담팀이 필요할 것이며, 건 설이 완료된 후에는 이보다는 더 많은 수십명 규모의 인력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됨

□ 도시통합정보센터의 운영주체

◦행정도시 건설과정에서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의 전담팀을

미래형 삶의 질 향유를 위한 첨단정보도시 구현방안

108

지자체로 업무를 이관한 후 직접운영, 민간위탁 등 다양한 운 영방식을 검토한 후 결정하도록 함

□ 센터의 운영방식

◦센터의 운영방식과 관련하여 지자체의 조직 또는 민간에 위 탁/위임해서 센터를 운영 가능

‒ 도시통합정보센터의 운영방식으로 지자체의 부서, 산하기관 또는 단체, 별도 법인, 민간 기업이 센터를 운영하는 것을 예 상할 수 있음

◦센터의 재원조달 측면에서 살펴볼 때, 재원조달은 공공(지자 체 또는 건설청) 부문에서 조달하거나 민간 부문에서 전적으 로 조달할 수 있으며, 또는 공공과 민간 부문이 함께 부담하 는 방식도 고려될 수 있음

◦구체적인 재원조달 항목에 있어서도 시스템 구축 및 운영, 센터 운영, 정보 수집, 처리, 저장의 부문을 구분하여 각 부 문별 재원조달 방안을 고려할 수 있음

운영방식 안 설명

지자체의 부서 담당 행정도시의 관련 부서에서 센터 운영 담당 지자체 산하 기관 또는

단체 담당 행정도시의 산하 기관 또는 단체가 운영 담당 별도 공공법인 설립 및

담당 별도의 법인을 설립 후 이 법인이 운영 담당 민간기업 위탁 민간기업을 선정하여 위탁 운영

<표 5-19> 도시통합정보센터의 운영방식 (안)

◦도시통합정보센터의 소요 비용은 구축비용과 운영비용으로 나누어 생각해볼 수 있음

‒ 구축비용은 (1) 정보센터 건물의 구축비용, (2) 정보 수집, 가공, 저장, 서비스 등에 소요되는 각종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비용, (3) 통신 네트워크 구축비용, (4) 기타 비용으로 구성

‒ 운영비용은 (1) 인건비, (2) 통신네트워크 비용(유지관리비 용, 임대료 등), (3)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유지관리비용, (4) 기타 관리 비용으로 구성

Ⅴ. u-행정도시 구현방안

구 분 2차원 공간정보 3차원 공간정보

자료 ∘x, y 좌표값에 의한 공간 자료∘x.y,z 좌표값과 객체의 텍스쳐 정보를 자료구조에 포함하여

<표 5-20> 2․3차원 공간정보 비교

2) 도시공간정보기반 구축

(1) 필요성

◦행정중심복합도시는 도시개발 단계부터 행정, 문화, 환경, 교 통, 교육, 복지, 방재/안전, 주거 등의 분야를 유비쿼터스 환 경으로 구축

‒ 언제 어디서나 장비에 구애받지 않고 원하는 정보를 획득․활 용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 환경은 자연물 및 각종 시설, 센서 가 위치한 물리공간을 모델링한 전자공간을 필요로 함

‒ 기존 2차원 평면의 벡터 및 래스터 데이터로는 물리공간을 모델링하는데 한계가 있음

공간객체 점으로 표현 공간객체 면으로 표현

공간객체 선으로 표현 공간객체 입체로 표현

<그림 5-9> 공간객체 모델의 시각적 표현 비교

미래형 삶의 질 향유를 위한 첨단정보도시 구현방안

Ⅴ. u-행정도시 구현방안

‒ 현재 구축하고 있는 2,3차원 공간정보가 질적 양적으로 업그 레이드된 개념의 도시공간정보기반을 구축해야 함

(2) 현황분석

가. 도시공간정보기반 구축현황

◦제1차 국가GIS구축사업(‘95~’00)은 국가GIS기반을 형성하 는데 목표를 두고 국가기본도 및 지적도 등 공간정보인프라 구축에 주력

‒ 지형도 1/1000, 1/5000

‒ 지적도

◦제2차 국가GIS구축사업(‘01~’05)은 공간정보 기반을 확충 하여 디지털 국토 실현을 목표로 부문별 GIS 응용시스템(토 지 ․ 지하 ․ 수자원 ․ 해양 ․ 환경․농림 등)을 구축

‒ 일부 주제도 등

◦ 3차 국가GIS 기본계획

‒ ‘유비쿼터스 국토 실현을 위한 기반조성’을 비전으로 제시한 3차 국가GIS 기본계획(2006년~2010년) 수립

‒ 3대 목표 : GIS기반의 전자정부 구현, GIS를 통한 삶의 질 향상, GIS를 이용한 뉴비지니스 창출

나. 3차원 공간정보 구축 현황 및 기술동향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