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가 . 연구모형의 적합도

측정모형 분석에서 관찰변인들이 잠재변인을 신뢰롭고 타당하게 측정하고 있음을 확인하여 이론적 연구모형에 따라 구조모형을 설정하여 잠재변인 간의 인과관계를 분 석하였다. χ2검정을 제외하고, SRMR 0.046, TLI 0.936, CFI 0.954, RMSEA 0.073 으로 적합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설정한 구조모형은 잠재변인 간의 관계를 분석하기에 적절하게 설정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그림 Ⅳ-2] 참조).

[그림 Ⅳ-2] 구조모형 검증 결과 주1) *p<.05, **p<.01, ***p<.001

주2) 계수는 비표준화계수(표준화계수)로 표기함

주3) χ2=169.816(df=56, p<.001), SRMR=0.046, TLI=0.936, CFI=0.954, RMSEA=0.073

구조모형의 적합도가 적절한 것으로 확인되어 구조모형의 경로계수를 살펴본 결과,

‘진로과업 실행의지 → 진로선택몰입’ 경로계수를 제외하고 모든 경로계수가 유의한 것 으로 나타났다(<표 IV-14> 참조).

구분 비표준화 계수(B)

표준화 계수 (β)

표준오차 (S.E.)

t값 (C.R.) 진로적응자원 → 진로과업 실행의지 0.122 0.210 0.035 3.529***

진로적응자원 → 진로탐색행동 0.232 0.639 0.025 9.383***

진로과업 실행의지 → 진로탐색행동 0.081 0.129 0.035 2.302*

진로적응자원 → 진로경험성찰 0.09 0.176 0.042 2.154*

진로과업 실행의지 → 진로경험성찰 0.335 0.377 0.053 6.291***

진로탐색행동 → 진로경험성찰 0.247 0.175 0.125 1.984*

진로적응자원 → 진로선택몰입 0.139 0.194 0.051 2.74**

진로과업 실행의지 → 진로선택몰입 0.002 0.001 0.07 0.022

진로탐색행동 → 진로선택몰입 0.662 0.335 0.161 4.125***

진로경험성찰 → 진로선택몰입 0.526 0.376 0.093 5.669***

주) *p<.05, **p<.01, ***p<.001

<표 Ⅳ-14> 구조모형의 경로계수

잠재변인의 R2값을 통해 내생잠재변인이 외생잠재변인에 의해 얼마나 설명되고 있 는지를 확인하였다(<표 IV-15> 참조). 진로과업 실행의지는 진로적응자원에 의해 약 4% 설명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진로탐색행동은 진로적응자원과 진로과업 실행의지에 의해 약 46%, 그리고 진로경험성찰은 진로적응자원과 진로과업 실행의지, 그리고 진로 탐색행동에 의해 약 31% 설명되었으며, 진로선택몰입은 진로적응자원, 진로탐색행동, 진로경험성찰에 의해 약 53% 설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분 R2

진로과업 실행의지 0.044

진로탐색행동 0.460

진로경험성찰 0.308

진로선택몰입 0.530

주) *p<.05, **p<.01, ***p<.001

<표 Ⅳ-15> 잠재변인에 대한 설명력 분석 결과

나 . 모형 수정 및 최종 구조모형 선정

구조모형의 적합도를 훼손시키지 않고 모형의 간명도를 개선하기 위한 모형 수정을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불필요한 모수를 제거하기 위하여 비유의적인 t값(C.R.)을 검토 하였다. 앞서 구조모형에서 비유의적인 t-값(C.R.)을 갖고 있는 모수는 ‘진로과업 실행 의지 → 진로선택몰입’ 경로였다. 이 경로가 유의하지 않게 나타난 것은 직접적인 영향 관계보다는 간접적인 영향 관계가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진로과업 실행의지 → 진 로선택몰입’ 경로 1개를 제거한 모형을 수정모형으로 설정하여 모형 적합도를 비교하 였다(<표 IV-16> 참조). 초기모형과 비교해 볼 때 TLI와 RMSEA가 수정모형에서 소폭 개선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χ2값의 증가량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 초기모 형을 최종 구조모형으로 채택하였다.

구분 초기모형 수정모형

절대 적합도 지수

χ2 169.816

(df=56, p<.001)

169.816 (df=57, p<.001)

SRMR 0.046 0.046

증분 적합도 지수

TLI 0.936 0.938

CFI 0.954 0.954

간명성 조정

지수 RMSEA 0.073 0.072

<표 Ⅳ-16> 초기모형과 수정모형의 적합도 비교

가설 1. 대학생의 진로적응자원과 진로과업 실행의지, 진로탐색행동, 진로경험성찰 및 진로선택몰입 간 구조모형의 적합도는 변인 간 인과적 관계를 예측하기에 적합할 것이다.

이 연구에서 설정한 최종 구조모형의 적합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 χ2검정을 제외하 고, SRMR 0.046, TLI 0.936, CFI 0.954, RMSEA 0.073으로 모든 적합도 지수가 기 준을 충족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이 연구의 구조모형은 연구 자료를 잘 설명할 수 있도록 적합하게 설계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조모형의 적합도는 변인 간 구조적 관계를 예측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것이라는 귀무가설은 기각되었고, 구조모형 의 적합도는 변인 간 구조관계를 예측하기에 적합할 것이라는 가설 1이 채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