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다. 고용형태 1) 상용직 근로자

가) 이용 경험 및 이용 기간

맞벌이 모 기준 상용직 근로자 집단의 육아휴가/휴직 및 유연근무제 이용 경험 현황과 이용 기간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출산전후휴가 이용 경험이 ‘있다’고 응 답한 비중은 68.8%이며, 이용 기간은 ‘90일 이상’이 83.3%로 가장 높게 나타났 다. 배우자 출산휴가 이용 경험이 있는 응답자의 비중은 33.7%이었다.

육아휴직 이용 경험이 있는 어머니 비중은 60.6%,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의 이용 경험이 있는 어머니 비율은 17.9%인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돌봄휴가의 이용 경험이 있는 어머니 비중은 21.1%였다. 가족돌봄휴직 이 용 경험이 있는 어머니는 4.6%였으며, 이용 기간은 ‘1개월’이 69.3%로 가장 높 았다.

상용직 집단에서는 재택/재량근무제, 시간선택제, 시차출퇴근제 이용 경험이 각기 32.5%, 29.2%, 20.7%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시 차출퇴근제 이용 경험이 일용직이나 기타 고용형태인 어머니들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며, 아버지의 재량근무제 이용 경험의 경우 비중이 3.8%로 가장 낮았다.

상용직 집단의 휴가/휴직 제도 이용 경험 비율은 다른 고용형태(임시직, 기타) 와 비교해볼 때 이용 비율이 확연히 높게 나타났다. 재택근무를 제외한 유연근무 제 이용 비율에서도 상용직 집단의 이용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음을 확인할 수 있 었다.

유연근무제 불만족 보통 만족 평균(표준편차) 계(수)

시간선택제 8.9 16.9 74.2 4.0(1.0) 100.0(12)

시차출퇴근제 8.7 35.9 55.4 3.7(1.2) 100.0(11)

탄력근무제 22.2 21.5 56.3 3.3(1.5) 100.0( 9)

재량근무제 32.1 32.1 35.8 2.7(1.5) 100.0( 3)

재택/원격근무제 5.0 41.7 53.3 3.6(1.0) 100.0(19)

<표 Ⅲ-2-25> 고용형태 상용직 근로자 휴가/휴직 제도 이용 경험 및 기간

시간선택제 29.2 70.8 100.0(787) 4.972(2)

8.1 91.9 100.0(787) 0.193(2)

시차출퇴근제 20.7 79.3 100.0(787) 12.535(2)**

휴가/휴직 제도

(787) 110.385(2)*** 16.7 83.3 82.6 (22.9)

100.0 (542) 5.3**(a) 배우자

출산휴가 33.7 66.3 100.0

(787) 14.664(2)*** 43.7 28.2 28.1 5.1 (2.7)

100.0 (265) 0.8

육아휴직

모 60.6 39.4 100.0

(787) 77.691(2)*** 37.8 44.6 17.6 10.0 (6.8)

100.0 (477) 3.6*

부 12.0 88.0 100.0

(787) 4.064(2) 25.7 30.7 36.2 7.4 4.5 (5.8

(787) 18.718(2)*** 31.0 29.6 20.5 18.9 5.8 (5.5)

100.0 (141) 0.8 부 4.4 95.6 100.0

(787) 1.552(2) 48.5 51.5 3.2 (4.5)

(787) 30.973(2)*** 18.7 21.9 13.1 22.8 23.5 4.6 (3.4)

100.0 (166) 0.4 부 11.8 88.2 100.0

(787) 5.177(2) 28.0 25.8 11.7 21.4 13.0 3.7 (3.0)

(787) 6.626(2)* 69.3 30.7 1.4 (0.6)

100.0 (36) 3.3*

부 2.5 97.5 100.0

(787) 0.924(2) 80.6 19.4 1.3 (0.5)

100.0 (20) 0.5

나) 만족도

상용직 집단의 휴가/휴직 제도 및 유연근무제 이용 만족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휴가/휴직 제도 중 만족도가 가장 높은 제도는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평균 3.9점, 68.0% 만족)이었으며, 만족도가 가장 낮은 제도는 배우자 출산휴가(평균 3.0점, 35.9% 만족)로 나타났다.

만족도가 가장 높은 유연근무제는 시간선택제(평균 3.9점, 72.2% 만족)로 나타 났으며, 재량근무제와 재택/원격근무제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경향(평균 3.7 점)을 보였다.

<표 Ⅲ-2-27> 고용형태 상용직 근로자 휴가/휴직 제도 및 유연근무제 만족도

단위: %, 점(명)

유연근무제 이용 경험

있음 없음 계(수) χ2(df)

11.6 88.4 100.0(787) 0.147(2)

탄력근무제 15.0 85.0 100.0(787) 3.621(3)

9.2 90.8 100.0(787) 0.320(2)

재량근무제 7.4 92.6 100.0(787) 4.179(2)

3.8 96.2 100.0(787) 6.402(2)*

재택/원격근무제 32.5 67.5 100.0(787) 3.972(2)

18.6 81.4 100.0(787) 0.392(2)

휴가/휴직 제도 불만족 보통 만족 평균(표준편차) 계(수)

출산전후휴가 10.5 23.7 65.8 3.8(1.0) 100.0(542)

배우자 출산휴가 35.5 28.6 35.9 3.0(1.2) 100.0(265)

육아휴직 12.8 23.9 63.3 3.7(1.0) 100.0(491)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10.7 21.3 68.0 3.9(1.0) 100.0(150) 가족돌봄휴가 10.8 22.4 66.9 3.8(1.0) 100.0(196)

가족돌봄휴직 16.1 43.0 40.9 3.4(1.0) 100.0( 44)

유연근무제 불만족 보통 만족 평균(표준편차) 계(수)

시간선택제 9.2 18.5 72.2 3.9(0.9) 100.0(252)

시차출퇴근제 8.5 21.8 69.7 3.8(1.0) 100.0(209)

탄력근무제 8.1 21.8 70.1 3.8(1.0) 100.0(162)

주: 이용 만족도는 5점 만점(1점: 매우 불만족, 5점: 매우 만족) 기준 평균값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만족도가 높음을 의

(142) 110.385(2)*** 31.9 68.1 73.2 (28.6)

100.0 (51) 5.3**(a) 배우자

출산휴가 35.2 64.8 100.0

(142) 14.664(2)*** 35.5 26.4 38.0 5.4 (2.3)

100.0 (50) 0.8

유연근무제 불만족 보통 만족 평균(표준편차) 계(수)

재량근무제 7.8 27.8 64.3 3.7(0.9) 100.0( 76)

재택/원격근무제 9.7 26.6 63.7 3.7(1.0) 100.0(300)

시간선택제 21.9 78.1 100.0(142) 4.972(2)

7.7 92.3 100.0(142) 0.193(2)

시차출퇴근제 11.2 88.8 100.0(142) 12.535(2)**

12.8 87.2 100.0(142) 0.147(2)

탄력근무제 9.3 90.7 100.0(142) 3.650(2)

10.6 89.4 100.0(142) 0.320(2)

재량근무제 4.3 95.7 100.0(142) 4.179(2)

(142) 77.691(2)*** 51.3 46.4 2.3 7.3 (4.4)

100.0 (41) 3.6*

부 8.5 91.5 100.0

(142) 4.064(2) 16.6 42.4 41.0 0.0 4.0 (4.3)

(142) 18.718(2)*** 44.8 10.5 22.6 22.1 6.5 (6.9)

100.0 (9) 0.8 부 5.8 94.2 100.0

(142) 1.552(2) 74.5 25.5 1.5 (2.1)

(142) 30.973(2)*** 9.9 20.1 9.5 40.4 20.1 5.6 (3.5)

100.0 (10) 0.4 부 9.9 90.1 100.0

(142) 5.177(2) 13.7 14.7 21.3 27.7 22.5 4.9 (3.4)

(142) 6.626(2)* 0.0 100.0 2.1 (0.0)

100.0 (1) 3.3*

부 1.5 98.5 100.0

(142) 0.924(2) 49.5 50.5 1.6 (0.7)

100.0 (2) 0.5

** p < .01, * p < .05.

나) 만족도

맞벌이 모 기준 임시직 근로자 집단의 휴가/휴직 제도 및 유연근무제 이용 만족 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휴가/휴직 제도 중 만족도가 가장 높은 제도는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평균 4.1점, 85.1% 만족)이었으며, 반대로 만족도가 가장 낮은 제 도는 배우자 출산휴가(평균 2.9점, 36.3% 만족)로 보고되었다.

유연근무제의 경우 시간선택제와 시차출퇴근제의 만족도(평균 3.9점)가 탄력근 무제(평균 3.4점), 재량근무제(평균 3.5점), 재택/원격근무제(평균 3.5점)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표 Ⅲ-2-30> 고용형태 임시직 근로자 휴가/휴직 제도 및 유연근무제 만족도

단위: %, 점(명)

주: 이용 만족도는 5점 만점(1점: 매우 불만족, 5점: 매우 만족) 기준 평균값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만족도가 높음을 의 미함.

유연근무제 이용 경험

있음 없음 계(수) χ2(df)

1.5 98.5 100.0(142) 6.402(2)*

재택/원격근무제 32.9 67.1 100.0(142) 3.972(2)

18.2 81.8 100.0(142) 0.392(2)

휴가/휴직 제도 불만족 보통 만족 평균(표준편차) 계(수)

출산전후휴가 19.7 37.1 43.2 3.2(1.1) 100.0(51)

배우자 출산휴가 37.6 26.1 36.3 2.9(1.2) 100.0(50)

육아휴직 13.6 32.1 54.3 3.6(1.0) 100.0(46)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7.5 7.5 85.1 4.1(0.8) 100.0(14)

가족돌봄휴가 6.2 6.1 87.7 3.9(0.7) 100.0(17)

가족돌봄휴직 0.0 100.0 0.0 3.0(0.0) 100.0( 2)

유연근무제 불만족 보통 만족 평균(표준편차) 계(수)

시간선택제 2.5 27.6 69.8 3.9(0.9) 100.0(37)

시차출퇴근제 6.3 22.7 71.0 3.9(0.9) 100.0(30)

탄력근무제 11.2 38.7 50.1 3.4(1.1) 100.0(26)

재량근무제 12.8 37.2 50.0 3.5(0.9) 100.0( 8)

재택/원격근무제 10.7 39.4 49.9 3.5(1.0) 100.0(58)

(120) 110.385(2)*** 32.7 67.3 73.9 (31.4)

100.0 (34) 5.3**(a) 배우자

출산휴가 16.7 83.3 100.0

(120) 14.664(2)*** 44.3 35.3 20.3 4.6 (2.5)

100.0 (20) 0.8

육아휴직

모 30.1 69.9 100.0

(120) 77.691(2)*** 47.3 41.7 11.0 8.5 (6.2)

100.0 (36) 3.6*

부 6.6 93.4 100.0

(120) 4.064(2) 37.2 25.2 37.6 0.0 2.5 (3.0)

100.0 (8) 0.5

*** p < .001, ** p < .01, * p < .05.

시간선택제 22.6 77.4 100.0(120) 4.972(2)

9.1 90.9 100.0(120) 0.193(2)

시차출퇴근제 10.7 89.3 100.0(120) 12.535(2)**

11.6 88.4 100.0(120) 0.147(2)

탄력근무제 12.5 87.5 100.0(120) 3.650(2)

9.9 90.1 100.0(120) 0.320(2)

재량근무제 10.9 89.1 100.0(120) 4.179(2)

7.4 92.6 100.0(120) 6.402(2)*

재택/원격근무제 41.7 58.3 100.0(120) 3.972(2)

20.9 79.1 100.0(120) 0.392(2)

휴가/휴직 제도

(120) 18.718(2)*** 34.1 54.7 0.0 11.2 3.7 (3.4)

100.0 (9) 0.8 부 2.6 97.4 100.0

(120) 1.552(2) 100.0 0.0 0.7 (0.4)

(120) 30.973(2)*** 0.0 17.4 16.6 49.4 16.6 5.0 (2.8)

100.0 (6) 0.4 부 5.0 95.0 100.0

(120) 5.177(2) 15.9 33.8 16.4 17.0 16.9 4.2 (3.6)

(120) 6.626(2)* 0.0 100.0 2.5 (0.7)

100.0 (2) 3.3*

부 1.7 98.3 100.0

(120) 0.924(2) 100.0 0.0 1.0 (0.0)

100.0 (2) 0.5

나) 만족도

맞벌이 모 기준 기타 고용형태 집단의 휴가/휴직 제도 및 유연근무제 만족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휴가/휴직 제도 중 만족도가 가장 높은 제도는 육아휴직(평 균 3.7점, 64.2% 만족)으로 나타났으며, 반대로 만족도가 가장 낮은 제도는 배우 자 출산휴가(평균 3.0점, 25.0% 만족)로 밝혀졌다.

이용 비율이 41.7%인 재택근무제(평균 3.7점, 60.1% 만족)가 만족도가 가장 높 은 유연근무제였으며, 만족도가 가장 낮은 유연근무제는 시차출퇴근제(평균 3.2 점, 37.4% 만족)로 보고되었다.

<표 Ⅲ-2-33> 고용형태 기타 휴가/휴직 제도 및 유연근무제 만족도

단위: %, 점(명)

주: 이용 만족도는 5점 만점(1점: 매우 불만족, 5점: 매우 만족) 기준 평균값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만족도가 높음을 의 미함.

3. 자녀 연령별 이용 실태

본 절에서는 자녀 연령별로 육아서비스 이용 현황에 대해 설명하였다. 크게 영유 아, 초등으로 연령을 분류하여 구성하였으며, 기관 이용, 육아서비스 이용, 과거 육 아서비스 이용 등에 관해 조사하였다. 또한 본 절의 마지막 부분에서는 영유아, 초 등 저학년의 돌봄 공백과 이에 관련된 요구에 대해 비교 분석하였다.

휴가/휴직 제도 불만족 보통 만족 평균(표준편차) 계(수)

출산전후휴가 17.3 29.3 53.5 3.4(1.1) 100.0(34)

배우자 출산휴가 29.8 45.2 25.0 3.0(1.2) 100.0(20)

육아휴직 4.8 31.0 64.2 3.7(0.9) 100.0(42)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0.0 55.1 44.9 3.4(0.5) 100.0( 9)

가족돌봄휴가 8.9 36.4 54.7 3.6(1.1) 100.0(11)

가족돌봄휴직 0.0 49.9 50.1 3.5(0.6) 100.0( 4)

유연근무제 불만족 보통 만족 평균(표준편차) 계(수)

시간선택제 3.3 45.4 51.3 3.5(0.7) 100.0(31)

시차출퇴근제 17.0 45.6 37.4 3.2(1.1) 100.0(24)

탄력근무제 15.3 40.0 44.8 3.3(1.0) 100.0(20)

재량근무제 16.2 39.1 44.7 3.4(1.1) 100.0(18)

재택/원격근무제 14.4 25.4 60.1 3.7(1.1) 100.0(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