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고서 및 고문서의 번역 인력 양성

카. 정책적인 시사점

4) 고서 및 고문서의 번역 인력 양성

고서 및 고문서를 국역함으로써 우리 모두가 그 속에 담긴 문화 전통을 이해하고 계승하는 일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진 다음에는 이러한 전통사상 및 문화를 세계에 널리 알리는 일이 우리 문화를 세계화하는 데도 중요한 역할 을 한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우리의 고전적을 세계에 널리 알려 우리의 고전 을 세계의 고전유산의 일부로 편입시키자는 운동의 일환으로 한국의 인쇄문 화의 세계화라는 의미도 겸하게 된다.

거의 유일하게 출판 분야에서 문학을 중심으로 번역지원이 이루어지고 있 으나 비체계적이고 지원범위가 한정적이며 그 규모가 일천한 실정이다. 1940 년대 이후 해외에서 출간된 우리 나라의 번역작품은 총 949권(단행본)으로 집계되고 있으며 연속간행물을 포함하면 16,211권에 이른다. 이러한 번역 현 황은 우리 문학이 일궈 놓은 그간의 성과에 비해 상대적으로 빈약해 해외에 서 제대로 평가를 받지 못 받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양적인 측면에서의 증 가에 비해 작품선정, 번역의 기술 등에는 아직도 제대로 된 기준이나 합의가 마련돼 있지 않은 형편이다.

1980년 문예진흥원의 번역 지원 사업이 실시되면서 국내 번역 작업이 본 격적으로 이루어지게 된 이래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대산문화재단, 우경문화 재단, 한국번역금고 등에서도 번역 지원을 해왔다. 이중 문예진흥원의 경우 한국문학번역상 , 한국문학번역출판 , 한국문학 신진번역가 연구・연수지원 , 한국문학 번역 출판인사 교류사업 , 영문판 한국문학소개지 발간지원 , 한국 문학 번역작품 홍보지원 등 우리 문학의 세계화를 위한 사업들을 꾸준히 펼 쳐오고 있다. 특히 한국문학번역출판사업 (1973~)의 경우 1980년부터는 번 역 작품의 해외출판을 본격적으로 추진하여 현재까지 총 144권의 작품집을 15개 언어로 23개국에서 출판하였다. 하지만 번역 현황을 언어권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미국, 영국, 캐나다, 호주, 홍콩등 영어권에 집중되어 있는 것이 특 징이다. 그 밖에 프랑스어권 (룩셈부르크 포함)으로는 최윤(서강대교수), 파트

릭 모리스(프랑스 동양어문학교 교수) 부부의 노력으로 13편의 작품이 번역 되는 등 최근 활발한 번역이 이뤄지고 있으며, 독일어권(오스트리아 포함)은 번역자가 눈에 띄게 적어 10여편의 작품 절반이 구기성씨(전독일 본대학교 수)에 의한 것이다. 이 밖에 중국, 러시아, 스페인, 이탈리아, 폴란드, 브라질, 페루등 10여개 국가에서도 해당국가 언어로 번역은 이뤄졌지만 양이 1,2편에 불과한 실정이다. 이처럼 번역작품의 출판이 부진한 이유는 번역을 학문적인 성취로 인정하지 않는 풍토, 전문 번역가의 양성에 대한 제도적인 기반 부 재, 번역교육의 문제점으로서 교과목의 다양성 및 전문성의 부재 등을 들 수 있다. 프랑스 파리의 ESIT(통역번역대학원), 스위스 제네바의 ETI(통역번역학 교) 등 선진국의 번역사 양성기관은 컴퓨터, 전문용어 데이터베이스 구축, 문 헌 조사법 등 다양한 실무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현재 한국외국어대학교 및 이화여대의 통역번역대학원에서 전문통번역사 를 양성하고 있다. 교육훈련 과정으로는 1979년이래 영어, 불어, 독어, 노어, 서반아어, 중국어, 일본어, 아랍어 등 국가 전략적으로 중요한 외국어의 최고 급 인력을 양성하여 약 1,200명의 전문통번역사를 배출한 한국외국어대학교 통역번역대학원의 석사과정을 예시로서 제시한다.

공통필수과목 통역번역입문(Introduction to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은 통역과 번역의 전문인으로 성장하는 데 필요한 기초 교양 강좌의 성격을 띠는 강의이다. 주제특강 (Special Lecture)은 통번역 분야의 주요 관심사와 주요 주제영역의 지도적 인사를 초빙하여 학생들의 직업세계 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주요관련 산업분야의 동향을 접하게 한다.

선택과목으로는 B 언어숙달 I, II (Advanced B Language Discourse) 자신 의 전공외국어로 문어 텍스트와 구어 텍스트를 이해하고 생산하는 능력을 심화하기 위하여 언어능력의 4대 영역을 연습하는 과목이다. 한국어숙달 I, II (Advanced Korean Langu age Discourse)은 한국어가 모국어가 아니거나, 모국어 수준에 미달하는 학생들만을 위해 개설되는 과목이다.

전공필수과목 일반번역 A-B (Basic Translation)은 다양한 범주의 텍스트에 대한 번역 전략을 개괄한다. 일반번역 문장구역 B-A/ C-A (Basic Translation

문장구역 전략을 개괄한다. 번역의 제문제를 파악. 분석. 해결하는데 필요한 도구를 학생들에게 제공하고 하나의 전문적 텍스트 생산자로서 갖추어야 할 합리적 접근자세를 함양한다. 산업경제번역 A-B/ B-A/ C-A (Translation of Economic and Comm ercial Texts)은 세계 경제 및 금융, 통상 분야를 중심으 로 기업의 각종 상업문을 포함한 다양한 텍스트의 번역 기회를 학생들에게 제공한다. 과학기술번역 A-B/ B-A/ C-A (Translation of Scientific and Technical Texts)은 과학기술 분야의 번역전략을 개괄한다. 학생들은 의학, 생 화학, 환경, 기계공학, 건축, 컴퓨터・통신, 에너지 등의 다양한 텍스트를 번 역하면서 문체, 구문, 문화 및 전문용어의 문제를 해결한다. 정치법률번역 A-B/ B-A/ C-A (Translation of Political and Legal Texts)는 국제 위기, 협력, 개발, 정부구조 등이 관련된 현안문제 중심의 정치적 텍스트와 함께 사문서, 계약서, 조약, 법조문 등 일상적인 번역수요가 있는 법률 텍스트의 번역 경 험을 학생들에게 제공한다. 번역세미나 (Seminar in Translation)는 1학년에 서 익힌 번역의 제원칙을 재점검하면서 좀더 난이도가 높은 텍스트를 다룬 다. 특히, 문체와 언어력, 그리고 텍스트 타입별로 요구되는 강조점들에 주목 한다. 또한 번역과정에서 취한 전략적 선택에 대한 이론적 논의의 기회도 제 공된다. 번역 Practicum (Practicum in Translation)은 실제 번역회사의 작업 환경 및 대형 번역 프로젝트 환경을 가상하여 학생들에게 대규모 프로젝트 관리 경험, 전문용어 D/ B 구축 및 활용 경험, 번역 용역 발주자와의 협력 경험 등을 제공하여 졸업 후 즉각 현장에서 활동할 수 있는 조건을 갖추게 해준다. 그리고 순차통역 A-B/ B-A 입문(Introduction to Consecutive Interpretation), 순차통역A-B/ B-A/ C-A I, II, III (Consecutive Interpretation I, II, III), 동시통역 A-B/ B-A I, II (Simultaneou s Interpretation ), 전문동시 통역 A B I, II(Simultaneous Interpretation for Specific Areas), 전문순차 통역 A-B/ B-A (Consecutive Interpretation for Specific Areas), 모의회의 I, II (Mock Conference), 순차통역모의회의 (Mock Conference in Consecutive Interpretation), 주제별 시사토론 I, II (Debate in Current Affairs) 등의 교과 목이 있다.

이상의 교육과정에 고서 및 고문서 관련 번역과정을 추가한다면 고서 및

고문서의 국역화가 이루어졌을 때 다른 언어로의 번역은 이들 전문가에 의 하여 무난하게 이루어질 것으로 사료된다. 다만 번역해야 할 한적의 양이 엄 청나게 많다는 것을 고려할 때 우선 해외에 소개할 우리 한적의 총목록을 작성하고, 우선 순위를 도서해제 및 원전 번역에 임하여야 하겠으며 이를 위 해서는 정부지원을 받아 한국의 문학작품과 고전의 번역을 지원하는 한국문 학번역원과의 공조하에 우리고전의 번역 우선 목록을 작성하고 번역시 지원 에 대한 제반사항을 논의함으로써 우리 기록 문화 유산의 세계화에 대한 국 가적 책무를 다해야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