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고령친화 가공식품 현황 및 실태분석

2.1. 환자용 식품(치료식)

현재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제품들 중 ‘고령친화 가공식품’은 환자식 또는 치료식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렇다 보니 식품기업뿐만 아니라 제약회사들이 함께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고령자의 기능저하로 인한 3대 섭식장애(저작, 연하, 소화)와 관련이 있으며 고령이 아닌 환자도 수요자가 될 수 있으나 고령자일수록 관련 질환이나 병증이 많다는 점을 들어, 시장 에서 고령친화식품으로 분류되고 있다.

이들은 식품공전상 특수의료용도등식품 중 ‘환자용식품’과 ‘열량 및 영 양공급용 의료용도식품’으로 분류되거나 즉석섭취식품으로 분류된다.

구분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환자용

균형영양식 20,281 22,094 25,630 30,100 33,225 30,530 29,118 당뇨환자용

식품 2,678 4,848 5,530 6,185 7,276 10,987 14,318 신장질환자용

식품 578 901 879 952 1,121 1,021 1,225

장질환자용

가수분해 식품 95 98 93 115 163 163 106

열량 및 영양 공급용

의료용도식품 3,670 962 1,117 1,233 1,762 4,420 4,565 연하곤란 환자용

점도증진식품 - 16 44 23 106 104 226

합계 27,302 28,918 33,293 38,608 43,654 47,224 49,558

<표 4-4> 특수의료용도등식품 중 환자식 국내 판매액 추이

단위: 백만 원

자료: 식품의약품안전처(2017). 2016년 식품 및 식품첨가물 생산실적 .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식품 및 식품첨가물 생산실적에 따르면 2016년 환 자식 국내 시장 규모는 약 500억 원 수준으로 2010년 273억 원 수준에서 81.5% 성장하였다.25 환자식 중 환자용 균형영양식이 291억 원 수준으로 약 58.8%를 차지하며, 당뇨환자용 식품(28.9%), 열량 및 영양공급용 의료 용도식품(9.2%) 순이었다<표 4-4>.

제품 형태별로 유동식과 분말식, 점도증진제, 젤리식, 영양죽, 연하식이 출시되고 있으며, 주요 생산기업은 한국메디칼푸드(메디푸드), 한국엔테랄 푸드(케어웰), 대상웰라이프(뉴케어), 정식품(그린비아), 매일유업/대웅생명 과학(엠디웰아이엔씨, 메디웰) 등이며, 특정 제품만을 생산하는 중소(사회 적)기업으로는 연하식 제품을 생산하는 복지유니온(효반)과 레오스푸드(비 스코업) 등이 있다<그림 4-2, 표 4-5>.

<그림 4-2> 형태별 상품구성 예시

유동식 분말식 점도증진제

젤리식 영양죽 연하식

자료: 각 사 홍보자료.

25

의약품으로 분류되는 환자식은 식품으로 분류되는 환자식의 1/3 수준인 것으로

보고된 바 있으므로(농림축산식품부 2015), 2016년 기준 전체 환자식(식품+의

약품, 생산실적 기준) 시장 규모는 약 670억 원 수준인 것으로 추산할 수 있다.

구분 한국메디칼푸드 한국엔테랄푸드 대상

2.2. 고령친화 가공식품 제품개발 실태조사 2.2.1. 고령친화식품 관련사업 추진 현황

식품제조기업 연구소 대상 설문조사 결과, 고령친화식품 관련 사업을 추 진한 경험이 전혀 없다고 응답한 연구소는 전체의 50% 수준이었으며, 과거 에 추진한 적은 있으나 현재는 추진하고 있지 않다고 응답한 비중은 17.5%

였다. 현재 추진하고 있거나 추진할 계획이 있는 32.5%의 기업들 중에는 연 매출액 1조 원 이상의 대기업들이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그림 4-3>.

현재는 사업이 중단된 기업들이 과거 출시했던 고령친화식품이나 추진 했던 사업으로는 의치에 붙지 않는 껌, 홍삼추출물, 경도조절 반찬류, 도시 락 배달사업, 연하조절 점도증진제, 죽제품 등이다. 사업의 중단 이유로는 사업성 부재로 인한 사업 중단사례가 가장 많았으며, 고령자라는 제한된 소비층, 제품개발로 인한 판매가격 인상 문제, 실수요자인 고령층 자신의 고령친화식품에 대한 필요성 및 인식 부족 등이 있었다.

현재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고 응답한 기업들의 고령자 친화형 제품은 기 능성 우유, 캔디류, 연하도움 죽제품, 영양죽, 고영양음료와 두유제품 등 주로 고령자의 부족한 영양을 보충해 주거나, 저작・연하기능이 곤란한 고 령자가 섭취할 수 있도록 경도와 점도가 조절된 제품들이었다.

<그림 4-3> 고령친화식품 관련 사업 추진경험

단위: %

자료: 식품제조기업 연구소 대상 설문조사 결과.

2.2.2. 고령친화식품 관련 R&D 및 기술보유 현황

고령친화식품 관련 사업을 추진 중이라고 응답한 기업의 78.6%가 관련 R&D를 수행 중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R&D 규모는 자사 전체 R&D 예산 의 평균 12.9% 수준이었다. 가장 높은 곳은 70%, 가장 낮은 곳은 1% 수준 이었다<그림 4-4>.

고령 소비자 특징별 제품개발의 필요성과 현재 개발 수준에 대한 질문에 서는 현재수준과 개발의 필요성 격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질병 개 선 또는 치료 등으로 영양개입이 필요한 고령 소비자나 저작/연하 등 섭식 장애를 가지고 있는 고령 소비자 대상으로 그 격차가 더 컸다.

<그림 4-4> 고령 소비자 특징별 제품개발의 필요성 및 현재개발 수준

단위: 점

주: 5점 만점.

자료: 식품제조기업 연구소 대상 설문조사 결과.

고령친화식품 개발을 위해 필요한 기술 중 우리나라 식품기업이 보유·확 보한 기술을 5점 척도로 평가해 보면 평균 3.0 내외로 나타나 보통수준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영양을 강화하거나 영양소 파괴를 최소화 하는 기술은 3.3점으로 다른 기술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이 보유하고 있 는 기술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둔화된 미각에 맞춘 관능(재성형 등) 기술은 2.83점으로 가장 개발이 더딘 분야로 나타났다<표 4-6>.

구분

구분 매우 감소하고 있다 정체 내지 답보 상태이다 조금 상승하고 있다

2.2.5. 고령친화식품시장 현황진단 및 평가

우리나라 식품기업은 현재 우리나라의 고령친화식품시장이 활성화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있었다. 응답기업의 77.5%가 활성화되지 못하 고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22.5%는 보통수준, 활성화되었다고 응답한 기업 은 한 곳도 없었다<그림 4-5>.

<그림 4-5> 식품기업이 생각하는 고령친화식품시장 활성화 정도

자료: 식품제조기업 연구소 대상 설문조사 결과.

2.2.6. 고령친화식품시장의 향후 전망과 관심

식품기업들은 우리나라 고령친화식품시장의 현재 활성화 수준은 미흡하지 만 향후 성장 가능성에 대해서는 높게 평가하고 있었다. 응답기업의 77.5%는 향 후 성장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하고 있었으며, 성장하지 못할 것이라고 응 답한 기업은 단 5.0%에 불과했다<그림 4-6>.

응답기업의 70%는 고령자를 대상으로 하는 사업 및 제품개발에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그중 절반 이상인 60.7%는 건강상 큰 문제는 없지만 향후 영양 및 기능저하를 예방·보완하고자 하는 액티브 시니어 층에 관심을 가 지고 있었으며, 섭식장애를 가지고 있는 고령자(28.6%), 질병 개선 또는 치 료 등 영양개입이 필요한 고령자(10.7%) 순으로 높은 관심도를 보였다. 따 라서 향후 액티브 시니어를 대상으로 하는 제품 출시가 기대된다<표 4-9>.

<그림 4-6> 식품기업이 생각하는 고령친화식품시장 향후 성장 가능성

구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