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다 . 각 계열별 교육과정에 대한 국제 비교

문서에서 직업 교육과정 국제 비교 연구 (페이지 22-26)

고등학교 단계의 계열별 교육과정에 대한 국제 비교 연구를 일반계와 실 업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허경철 외(1990)의 「일반계 고등학교 교육과정 편제 및 운영 개선 연 구」에서는 일반계 고등학교 교육과정으로 한정하여 국제 비교 연구가 이루 어졌다. 미국, 일본, 프랑스, 영국, 독일, 중국을 대상국으로 하여 졸업에 필 요한 총 이수 단위 수(시간 수), 졸업에 필요한 총 이수 과목 수, 공통 필수 과목의 수, 종류, 시간 수, 선택 과목의 수, 종류, 시간 수, 교과와 과목의 체 계, 한 학기 또는 한 학년에서 학생들이 이수하는 과목 수, 계열 혹은 과정 의 체계 등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과목의 편제 구조에 관해서는

매우 구체적인 자료를 제공해 주고 있으나, 교육 내용의 선정 과정, 교육과 정 운영에 있어서의 중앙 정부와 지방 및 학교의 역할 분담 등은 거의 다루 어지고 있지 않다.

고등학교 단계의 직업 교육 국제 동향을 비교한 것은 1996년도에 한국교 육개발원에서 발간한 「교육과정 2000 연구 개발 : 실업계 고등학교 교육과 정 체제 구조안」에서이다. 이 연구는 21세기를 앞 둔 시점에서 우리 사회의 급격한 변화에 적절히 대응하기 위한 교육 개혁 사업의 추진에 따라 새로운 실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을 마련해야 할 필요성에 의하여 수행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독일, 미국, 영국, 일본을 중심으로 직업 교육 동향을 살펴본 결 과 각 국가들은 기초 직업 능력을 강화하고, 학생들의 다양한 필요에 부응 하기 위한 체제를 구축하고 있으며, 직업 교육과 일반 교육이 통합되는 추 세임을 밝히고 있다.

공업계 고등학교 관련 국제 비교 연구로서는 먼저 이재원 외(1992)의

「제 6 차 공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 각론 개발 연구」를 들 수 있다. 이 연 구에서는 일본, 미국, 영국, 한국의 공업계 고등학교 교육의 국제 동향과 교 육과정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러나 선진 산업 기술 국가에서의 공업계 고등 학교 교육과정에 대한 최근의 변화를 충분히 검토하지 못했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으며, 학과간 전문 교과간의 횡적 연계성에 대한 연구가 미흡하다.

1993년도에 수행된 장석민 외의「공업계 고등학교 교육 체제 개편 방안 연구」는 「2 ·1 체제」를 포함한 개편 방안에 관한 다양한 의견들을 실현 가 능한 하나의 공고 교육 체제 개편 방안으로 통합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이 연구의 분석 내용은 기능 인력의 수급에 관한 내용, 직업 기술 교육 체 제의 구조 및 운영, 공업계 고교 교육 제도, 공업 교육에 관련된 제반 사회 여건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아울러 독일, 일본, 영국, 미국의 공업 교육 제 도를 고찰함으로써 주요 선진국의 공업 교육 제도가 주는 시사점도 도출하 였다.

충남대학교 공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 개정 연구위원회(1997)의 「제 7 차 공업계 고등학교 전문 교과 교육과정 개정 시안 연구 개발」에서는 최근 미

국과 영국의 공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 개발 동향을 소개하고 있다. 이 연 구에서 미국과 영국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게 된 근거는 이 국가들이 교육 개혁의 선두 주자이면서 교육 개혁을 통하여 고등학교 과정 및 고등학교 졸 업 후의 초급 대학 과정에서 직업 교육 훈련을 한층 강화하고 있기 때문이 다. 이 연구는 미국과 영국의 주된 교육 개혁의 동향과 개혁의 내용을 검토 함으로써 이러한 교육 개혁의 동향과 내용이 우리의 고등학교 교육과정, 특 히 공업계 교육과정을 포함한 실업계 고등학교의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에 시사하는 바를 제시하였다.

김진순(1992)의 「기술 교과 교육과정의 국제 비교 연구」는 우리 나라보 다 앞서 기술 교과 교육을 시행한 선진국을 포함한 외국의 기술 교과 교육 과정을 고찰하여 우리 나라 기술 교과 교육이 지향할 방향을 탐색하기 위한 기초적 자료를 얻고자 수행되었다. 이 연구는 미국, 영국, 독일, 일본, 대만 의 기술 교과 교육에 대하여 그 발달 과정, 교육과정 편제상의 위치, 성격, 목표, 내용, 교육 방법 등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주로 문헌 분석에 기초를 둔 연구로서 역사적, 비교적, 통합적 접근을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인 정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장 방문을 통한 연구가 아니었으므로 교육과정 운 영의 구체적인 상황을 이해하는 데는 한계를 드러낼 수밖에 없었다.

상업계 고등학교 교육의 국제 동향 및 교육과정을 비교한 연구로는 신황 호 외(1997)의 「제 7 차 상업계 고등학교 전문 교과 교육과정 각론 개정 연 구 시안」을 들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교육 환경의 변화 속에서 금후 상업 교육의 의미와 목표는 무엇이며 그 실제적 교육 방향을 설정하기 위하여, 주변 국가와 선진 각국의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하기 위한 기준을 근거로 독 일, 미국, 영국, 프랑스, 일본의 4개국을 선정하였다.

한편, 수산 ·해운계 고등학교 교육과정 국제 비교 연구로는 홍봉기 외 (1997 )의 「제 7차 수산 ·해운계 고등학교 전문 교과 교육과정 각론 개정 연 구」를 들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국제 수산 ·해운 교육의 동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대상 국가로 일본을 선정하였다. 일본의 교육과정 결정은 문서화된 국가 수준의 공통적이고 일반적인 방식이며, 학교 제도는 6- 3- 3- 4제의 단선

형으로 되어 있다는 점에서 우리 나라의 교육과정 결정 방식 및 학제와 유 사한 점이 많으므로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일본 수산 ·해운 교육의 구체적인 분석은 문헌 연구를 통하여, 교육과정 개발 체제 및 개정 원칙, 교 육과정 변천, 교육 목표와 학과 편제, 교과 편제 및 단위 수, 교육 내용과 교육과정 편성, 교육의 현황, 한국과 일본의 교육과정 편제 비교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가사 ·실업 교과 교육과정과 관련해서는 일본과 미국의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일본의 가정 교과 교육과정은 한국교원대 학교 가사 ·실업 계열 고등학교 교육과정 연구·개발위원회(1992)에 의하여 연 구가 이루어졌는데, 1989년에 개정 고시된 일본의 교육과정을 참고 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문부성에서 발행한 각급 학교 학습 지도 요령 중 필요한 부분을 발췌하여 번역 ·정리하였다.

1992년에는 한국교원대학교 가사 실업 ·계열 고등학교 교육과정 연구 ·개발 위원회에서 미국 텍사스 대학에서 발행한 텍사스주 직업 가정과 교육의 필 수 요소를 참고 연구 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미국의 가정계 직업 고등학 교 교육과정」연구를 수행하였다. 이 연구는 크게 미국의 가정계 직업 교육 과 미국의 가정계 직업 고등학교 교육과정 및 미국 아리조나주의 가정계 직 업 고등학교 교육과정에 대하여 다루었다.

전남대학교 가정계 고등학교 교육과정 개정 연구위원회(1997)의 「제 7 차 가정계 고등학교 전문 교과 교육과정 각론 개정 연구 시안」은 제 7 차 가정 계 고등학교의 교육과정을 개정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미국 과 일본을 중심으로 가정계 고등학교 전문 교과 교육의 국제 동향 및 교육 과정을 비교하는 연구를 실시하였는데, 문헌 연구에 그쳤다는 제한점이 있 다.

농업계와 관련해서는 서울대학교 농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 개정 연구위 원회(1997)의 「제 7 차 농업계 고등학교 전문 교과 교육과정 각론 개정 연 구 시안」이 있다. 신 교육 체제 수립을 위한 교육 개혁과 새로운 직업 교육 체제가 정립되는 시점에서 제 7 차 농업계 고등학교의 교육과정을 개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중등 농업 교육의 국제적 동향과 교육과정을 비교하였다. 분 석 대상 국가는 미국이며, 문헌 연구 중심으로 수행되었다.

이상과 같이 직업 교육과정 국제 비교와 관련된 선행 연구를 교육과정 국 제 비교, 각국의 직업 교육 국제 비교, 각 계열별 교육과정 국제 비교의 3가 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그 결과 교육과정 국제 비교를 위한 내용으로는 교육과정 개혁의 동향, 교육과정의 개발 및 운영, 교육과정 내용 및 교육과 정의 지원 체제 등이 주로 분석되었다. 분석 대상국으로는 미국, 영국, 독일, 프랑스, 일본 등의 주요 선진국이었으며, 국제 비교를 통해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은 기본적으로 문헌 분석에 의존하였고, 자료 수집 및 면 담을 위한 현지 출장이 대부분이었으나, 각급 학교나 단위 교육 기관에서 교육과정이 운영되는 방식이나 현황을 파악하는 데는 미흡하였다. 이러한 부분을 보완하기 위하여 국내에 있는 각국의 교육과정 전문가 면담 및 협의 회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연구가 실업 계열이나 직업 교육보다 는 주로 일반 계열 중심으로 진행되어 왔으며, 연구가 이루어졌다 하더라도 직업 교육 일반에 대해 이루어진 것이 대부분이므로, 직업 교육과정에 대한 본격적이고 심도 있는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문서에서 직업 교육과정 국제 비교 연구 (페이지 2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