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계급적 이해 관계의 반영으로서 이데올로기

문서에서 마르크스 ꡔ독일 이데올로기ꡕ (페이지 154-157)

로기라고 할 수 있다. 왜냐 하면 부르주아 이데올로기와 마찬가지로 프롤 레타리아 이데올로기도 물질적 토대에 의해 규정되어 형성된 사회적 의식 의 한 형태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때 이데올로기는 ‘허위 의식’이라는 부정적 의미에서가 아니라, 사회적 의식의 한 형태로서 일반적인 사상이 나 신념 체계를 가리키는 의미로 좀더 폭 넓게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이처럼 역사적 유물론의 관점에서 이데올로기와 같은 사회적 의 식의 형성 과정을 탐구하는 것은, 드 트러시의 원래적 용어법에 따른 ‘이 데올로기’ 즉 관념에 대한 과학이라고 할 수도 있다. 마르크스와 엥겔스는 ꡔ독일 이데올로기ꡕ에서 이데올로기와 같은 관념의 형성 과정을 객관적이 고 과학적으로 탐구하는 이론적 작업을 수행했던 것이다.

4) 계급적 이해 관계의 반영으로서 이데올로기: 허위 의식으로서

기에 참여하지 않은 다른 사람들에 의해서 전유되는 사회적 분열에 기초 하여 노동과는 무관하게 오직 정신적 활동에만 종사하는 사람들도 생기게 된다. 그래서 생산력과 사회 관계 그리고 의식 사이에는 분열과 모순이 발 생하게 된다. 즉 신학이나 철학과 같은 이데올로기적 의식 형태가 현존하 는 물질적 생산 관계나 사회 상태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사태가 발생 한다. 이처럼 허위 의식으로서 이데올로기, 즉 왜곡된 의식이나 이론이 발 생하는 이유는 노동 생산물의 착취나 계급적 대립과 같은 사회적 분열에 있다는 것이다.

마르크스와 엥겔스는 이러한 이데올로기에는 계급적 이해 관계가 반영 되어 있다고 본다. 즉 각각의 이데올로기에는 특정한 계급의 이해 관계를 옹호하는 내용이 담겨져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각각의 계급들은 자신들 의 이해 관계를 반영하는 이데올로기를 적극적으로 옹호하려고 하며, 이 과정에서 이데올로기들 사이의 경쟁과 대립도 벌어지게 된다. 그런데 마 르크스와 엥겔스는 이러한 경쟁과 대립에서 지배 계급의 사상이 주도권을 장악하여 그 시대의 지배적인 사상이 된다고 말한다.

“어떤 시대에나 지배 계급의 사상이 지배적인 사상이다. 다시 말해서 사 회의 지배적인 물질적 세력인 지배 계급이 동시에 그 사회의 지배적인 정 신적 세력이라는 말이다. 물질적인 생산의 수단을 통제하는 계급은 그 결 과 정신적인 생산의 수단도 통제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정신적인 생산 수 단을 가지지 못한 계급의 사상은 대체로 그것에 종속된다. 지배적인 사상 은 지배적인 물질적 관계들의 관념적 표현, 사상으로서 파악된 지배적인 물질적 관계일 뿐이다.”(DI 46쪽 / 91-2쪽)

물질적 힘을 장악하고 있는 지배 계급이 여기서 더 나아가 사상의 영역 에서도 지배력을 발휘하여 사상까지도 지배한다는 것이다. 지배 계급은 물질적 재화의 생산과 분배뿐만 아니라 의식의 생산과 분배도 통제함으로 써 정신적 분야까지도 지배하게 된다. 고대 노예제 사회에서는 지배 계급 인 귀족들의 이익을 옹호하는 이데올로기가, 중세 봉건제 사회에서는 지 배 계급인 영주들의 이익을 옹호하는 이데올로기가 그 시대의 주도적인 사상이 된다. 또 왕권과 귀족, 부르주아지가 서로 지배권을 다투었던 근대

초기에는 이러한 지배 권력의 분할로 인해서 권력 분립 이론이 지배적인 사상이 되었다. 이처럼 사상이나 이론과 같은 이데올로기는 물질적 이해 관계에 근거한 계급 관계와 깊이 연관되어 있다. 그래서 마르크스와 엥겔 스는 이데올로기를 계급이나 계급적 이해 관계와 분리시켜 고찰해서는 안 된다고 말하는 것이다.

(2) 계급적 이해 관계의 옹호자로서 이데올로그

그런데 새롭게 등장하는 지배 계급은 자신의 지배권을 확보하기 위해서 자신들이 마치 보편적인 공동 이익을 추구하는 것처럼 보임으로써 대중의 지지를 얻으려고 한다. “종래의 지배 계급을 대체하는 새로운 계급은 각 각 그 목적을 관철하기 위해서라도 자신의 이익을 사회 구성원 모두의 공 동 이익으로, 다시 말해서 관념적으로 표현할 수밖에 없게 된다.”(DI 47쪽 / 93쪽) 그래서 지배 계급은 자신들이 마치 사회 구성원 전체의 대변자라 는 가상을, 즉 허위 의식으로서 이데올로기를 만들어내게 된다.

이러한 허위 의식을 의도적으로 만들어 내는 이론적 작업은 주로 지배 계급의 이데올로그들에 의해서 수행된다. 지배 계급 내에서도 정신 노동 과 육체 노동의 분업이 발생하면서 한 집단은 사상을 전문적으로 산출하 는 사상가 집단으로, 다른 집단은 이러한 사상을 수용하는 집단으로 등장 한다. 이 사상가들은 “자기 계급에 대한 환상의 형성을 자신들의 생계의 주요 원천으로 삼는, 적극적이면서도 구상력을 지닌 이데올로그들이 다.”(DI 46쪽 / 92쪽) 지배 계급의 이데올로그들은 자신의 생계를 유지하 고 자신의 계급적 이익을 옹호하기 위해서 이러한 허위 의식을 체계적이 고 전문적으로 만들어 내는 것이다. 그래서 마르크스와 엥겔스는 “이데올 로그들의 몽상과 왜곡은 그들의 실제적인 생활에서의 위치, 그들의 직업, 그리고 분업에 의해서 아주 쉽게 설명된다.”(DI 50쪽 / 96쪽)고 말한 것이 다.

이에 비해 “인간 대중 즉 프롤레타리아트에게는 이러한 이론적 표상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해소될 필요도 없다”(DI 40쪽 / 84쪽)고 말한다. 즉 프롤레타리아트에게는 이러한 관념론적인 이론적 표상, 즉 허위 의식으로 서 이데올로기가 존재하지 않는다. 프롤레타리아트는 물질적 조건 때문에

이와 같은 허위 의식을 갖지 않을 뿐만 아니라 가질 필요도 없다. 왜냐 하 면 프롤레타리아트의 이해 관계는 모든 계급의 보편적 이해 관계와 일치 하며, 따라서 프롤레타리아트의 해방은 기존 사회의 모든 분열과 모순을 제거하는 보편적인 인간 해방이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이처럼 역사와 현실을 의식적이고 의도적으로 왜곡하는 허위 의식으로 서의 이데올로기는 특정 개인이나 계급이 자신들의 이해 관계를 옹호하고 대변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진 것이다.

3. 다른 사상가들의 이데올로기 개념과의 비교

문서에서 마르크스 ꡔ독일 이데올로기ꡕ (페이지 154-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