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결론 및 정책적 함의

문서에서 규 제 연 구 (페이지 76-94)

74 규제연구 제21권 제1호 2012년 6월

책결정자들과 정부는 이러한 요인들을 지속가능한 에너지 개발을 위한 규제개혁에서 적극 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지속가능한 에너지 개발을 위한 규제개혁 75

또한, 재생에너지 개발을 위한 규제개혁은 집행절차의 복잡성과 환경보호조직의 영향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에너지 절감이나 신기술 개발을 위한 승인절차나 집행시간이 높은 장벽으로 인식하는 도시일수록 절차적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서 더 적극적 으로 노력한다. 그린경제발전을 위해서 지속가능한 에너지 개발을 촉진하고 싶은 정부나 시 장의 변화에 빠르게 대응하면서 경쟁력을 높여야 하는 기업들은 복잡한 규제와 절차를 부담 스러운 비용으로 간주하는 경향이 있다. 지속가능한 에너지 개발을 위한 집행절차가 복잡한 지방정부는 더욱더 개혁에 적극적일 것이다. 한편, 오늘날 환경단체는 정치력을 강화하기 위해서 정당이나 결사체를 형성하여 영향력을 행사한다. 그린경제발전에서 이들은 더욱 쉽 게 정책결정과정에 개입하고 더욱더 설득력을 갖는다. 따라서 환경보호조직들이 강하게 지 지할수록 재생에너지 개발을 위한 절차적 편의제공은 쉽게 추진될 수 있을 것이다. 비록 재 생에너지 개발 모델에서는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고려되지 못했지만, 에너지 효율적 사용 기 술의 개발을 위한 규제개혁에서는 그린경제개발을 위한 네트워크 활동이 중요한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기술 개발에서 관련된 규제를 완화하기 위해서는 섬세한 제도적 장치를 개혁하기 위한 전문성을 가질 필요가 있다. 따라서 다각적 네트워크 활동을 통하여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갖고 유용한 정보를 얻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이 연구의 중점적 분석대상은 아니지만 통제변수로 고려되고 있는 몇몇 요인들 또한 뚜렷 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경제적 여건을 대변하는 대표적 변수인 실업률과 이해관계자의 영향력을 대변하는 민간개발조직의 지지 정도가 두 모델 모두에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그린경제발전에서도 경제적 여건이나 민간기업의 영향력이 중요하게 고려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경제적 침체가 심각한 지방정부에서는 경제적 불안과 함께 시민들의 요구와 불만이 더욱 증가할 것이다. 이러한 요인들이 정책결정자들의 정치적 불확실을 높이는 요인으로 연계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 직업창출과 새로운 산업부양을 위한 다양한 노력을 할 것이다. 그리고 민간개발기업들은 본질적으로 규제 회피적이기 때문에 에 너지 개발이나 기술혁신에 관련된 기업들은 규제개혁을 위해서 적극적으로 로비하고 영향력 을 행사하려 할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요인들이 중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이 연구는 정책결정자의 인식과 안목의 중요성을 실증적으로 입증하는 것이며 네트워크 활동, 절차적 편의, 환경보호단체 같은 이해관계자들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것을 그린경제발 전을 추진하는 지방정부와 정책결정자들에게 보여준다. 한국의 자치단체들이 비록 미국의

76 규제연구 제21권 제1호 2012년 6월

지방정부와 다른 행정체제와 정치적 구조를 가지고 있지만, 우리나라도 오늘날 자치단체들 에 많은 자치권을 부여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특히, 그린경제발전은 지역적 특수성을 면밀 히 반영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획일적 적용을 통하여 실질적인 효과를 창출하기에는 많은 제약을 갖는다. 따라서 향후 그린경제발전을 위한 규제개혁활동이 좀 더 자치단체에 권한을 부여하는 방향으로 다양하게 추진될 개연성이 높다. 그리고 지방자치 실시 이후에 단체장들 의 역할과 역량이 무엇보다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고 정치적 영향력도 계속 확대되어 왔다.

지속가능한 에너지 개발을 위한 풍부한 경험과 전문성을 갖지 못한다면, 우리나라의 자치단 체들도 향후 이러한 정책결정과정의 과도기를 겪을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자치 단체장이 전문성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규제개혁을 이끌어 나가야 할 것이다. 따라서 정책결 정자들은 저탄소 재생에너지나 효율적 사용 기술개발에 대한 중요성을 좀 더 적극적으로 인 식하고 여타 자치단체, 중앙정부, 국제적 기구 등과 활발한 네트워크 활동을 통하여 유용한 정보를 흡수하고 관련 기업들에 편리한 개발환경을 만들어 주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이러 한 정책노력의 정당성 제고와 용이한 추진을 위해서 꾸준히 환경단체와 같은 이해관계자들 의 지지를 이끌어 낼 필요가 있을 것이다. 또한 경제적 압력이나 민간개발기업들의 로비나 영향력도 면밀히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러한 함의와 더불어 이 연구는 몇 가지 점에서 한계를 갖는다. 미국 플로리다만을 대상 으로 연구한 것이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미국 전체나 여타 다른 국가에 일반화하기에는 한계 가 있다. 따라서 한국에 직접적 함의를 제공하지는 못하지만 향후 우리나라의 그린경제발전 을 좀 더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에너지규제의 개혁과정에 중요한 시사점이 될 수는 있 을 것이다. 한편, 규제개혁 여부에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에 개혁의 정도나 강도를 설명하 기에도 한계가 있다. 이러한 점을 보완화기 위해서 우리나라 자치단체들을 대상으로 규제개 혁 강도나 정도를 설명하는 다양한 후속연구들이 진행되길 기대한다.

지속가능한 에너지 개발을 위한 규제개혁 77

참고문헌

권태형, 「거래비용접근에 의한 배출권거래제도 평가: 수도권 사업장 대기오염총량관리 배출 권거래제도를 중심으로」, ꡔ행정논총ꡕ 제49권 제1호, 2011, pp.167-187.

권오상· 이정훈 · 노인만, 「대체에너지 정책에서 지방정부와 NGO의 파트너십에 관한 연구:

솔라시티(Solar City) 사업을 중심으로」, ꡔ한국지방자치학회보ꡕ 제16권, 제1호, 2004, pp.229-248.

김두래, 「지방정책네트워크가 분권적 규제집행에 미치는 영향」, ꡔ한국행정학보ꡕ 제44권, 제 4호, 2010, pp.183-202.

김태은, 「제도변화와 대체요인으로서 딜레마 대응에 관한 연구: 신 · 재생에너지 발전차액지 원제도를 중심으로」, ꡔ한국행정학보ꡕ 제43권, 제4호, 2009, pp.179-208.

, 「신재생에너지 성장의 영향요인 연구: FIT와 RPS의 효과성 검증을 중심으로」, ꡔ한 국행정학보ꡕ 제45권, 제3호, 2011, pp.305-333.

김종호 · 김호석 · 한상운 · 최성윤 · 임영신 · 김태형, ꡔ녹색성장 촉진을 위한 환경규제 선진화 방안ꡕ,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0.

박용성, 「산업환경규제레짐의 유형과 특성」, ꡔ한국행정학보ꡕ 제38권 제2호, 2000, pp.1-21.

윤순진, 「지속가능한발전과 21세기 에너지 정책: 에너지체제 전환의 필요성과 에너지정책의 바람직한 전환방향」, ꡔ한국행정학보ꡕ 제36권 제3호, 2002, pp.147-166.

이영범 · 지현정, 「환경규제, 기술혁신, 생산성과의 관계: Porter의 가설을 중심으로」, ꡔ한국 행정학보ꡕ 제45권 제1호, 2011, pp.171-197.

임성진, 「에너지전환측면에서 본 정부의 전략부문 공기업개혁정책: 정부구조개혁안의 분석 과 지속가능한 방향의 제시」, ꡔ한국행정학보ꡕ 제38권 제3호, 2004, pp.69-89.

진상현 · 한 준, 「신 · 재생에너지의 개념 및 정책적 타당성에 관한 연구」, ꡔ한국정책학회보ꡕ 제18권 제1호, 2009, pp.187-208.

하현상, 「재생에너지 개발 정책수단 선택의 정치경제: 미국 플로리다 사례를 중심으로」, ꡔ한 국정책학회보ꡕ 제21권 제1호, 2012, pp.363-395.

Ayres, Robert U., Hal Turton, & Tom Casten, “Energy efficiency, sustainability and economic

78 규제연구 제21권 제1호 2012년 6월

growth,” Energy Vol.32, 2007, pp.634-648.

Auer, Hans, Gustav Resch, Reinhard Haas, Anne Held, & Mario Ragwitz, “Regulatory Instruments to Deliver the Full Potential of Renewable Energy Sources Efficiently,”

European Review of Energy Markets Vol.3 No.2, 2009, pp.1-34.

Azuela, Gabriela E. & Luiz A. Barroso, “Design and Performance of Policy Instruments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Renewable Energy: Emerging Experience in Selected Developing Countries,” Energy and Mining Sector Board Discussion Paper Vol.22, 2011, pp.1-45.

Barnes, Ian, The Green Growth Approach for Climate Action, The 3rd Policy Consultation Forum of the Seoul Initiative Network on Green Growth, Cebu, Philippines, September 2008.

Beck, Fred & Eric Martinot, “Renewable Energy Policies and Barriers,” In Cutler J.

Cleveland (ed.), Encyclopedia of Energy, San Diego: Academic Press/Elsevier Science, 2004.

Brooks, David B., “Review: The Challenge of Sustainability: Is Integrating Environment and Economy Enough?,” Policy Sciences Vol.25 No.4, 1992, pp.401-408.

Brunk, Gregory G. & Kennith G. Hunter, “An Ecological Perspective on Interest Groups and Economic Stagnation,” The Journal of Socio-Economics Vol.37, 2008, pp.194-212.

Campbell, Scott, “Green Cities, Growing Cities, Just Cities?: Urban Planning and the Contradictions of Sustainable Development,” Journal of the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Vol.62 No.3, 1996, pp.296-312.

Connelly, Steve, “Mapping Sustainable Development as a Contested Concept,” Local Environment Vol.12 No.3, 2007, pp.259-278.

Carley, Sanya, Sara Lawrence, Adrienne Brown, Andrew Nourafshan, & Elinor Benami,

“Energy-Based Economic Development,”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Vol.15 No.1, 2011, pp.282-295.

Daly, H. E. & J. Cobb, For the Common Good: Redirecting the Economy Towards Community, the Environment and a Sustainable Future, Boston: Beacon Press, 1989.

지속가능한 에너지 개발을 위한 규제개혁 79

Denison, Edward F., Accounting for Slower Economic Growth, Washington, D.C.: Brookings, 1979.

Dincer, Ibrahim, “Renewable Energy and Sustainable Development: A Crucial Review,”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 Vol.4, 2000, pp.157-175.

Economic and Social Commission for Asia and the Pacific, Achieving Environmentally Sustainable Economic Growth in Asia and The Pacific, Ministerial Conference on Environment and Development in Asia and the Pacific, Seoul, March 2005.

Evans, Annette, Vladimir Strezov, & Tim J. Evans, “Assessment of sustainability indicators for renewable energy technologies,”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Vol.13, 2009, pp.1082-1088.

Feiock, Richard C. & Christopher Stream, “Environmental Protection versus Economic Development: A False Trade-Off?,”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Vol.61 No.3, 2001, pp.313-321.

Feiock, Richard C. & James Clingermayer, “Development Policy Choice: Four Explanations for City Implementation of Economic Development Policies,” The American Review and Public Administration Vol.22 No.1, 1992, pp.49-63.

Feiock, Richard C. “The Adoption of Economic Development Policies by State and Local Governments: A Review,” Economic Development Quarterly Vol.3 No.3, 1989, pp.266-270.

Feiock, Richard C. & Moon-Gi Jeong, “Regulatory Reform and Urban Economic Development,” State and Local Government Review Vol.34 No.3, 2002, pp.153-159.

Fitzgerald, Joan, Emerald Cities: Urban Sustainability and Economic Development,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10.

Florida Energy and Climate Commission, http://www.myfloridaclimate.com/ climate_quick_

links/florida_energy_climate_commission, 2009.

George, Clive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Global Governance,” The Journal of Environment & Development Vol.16 No.1, 2007, pp.102-125.

Gorobets, Alexander, “The Integrated Indicator of Sustainable Development and Policy

80 규제연구 제21권 제1호 2012년 6월

Tools,” In Ruth N. Hull (ed.), Strategies to Enhance Environmental Security in Transition CountriesConstantin-Horia Barbu, & Nadezhda Goncharova, Dordrecht:

Springer, 2007.

Ha, Hyunsang & Richard C. Feiock, Bargaining, “Network, and Management of Municipal Development Subsidies,” American Review of Public Administration, forthcoming, 2012.

Ha, Hyunsang & In Won Lee, “Adoption of Institutional Options for Affordable Housing Production: Collective Action Problems and Option Choice,” International Review of Public Administration Vol.16 No.2, 2011, pp.71-93.

Hammer, Roger B. & Gary P. Green, “Local Growth Promotion: Policy Adoption versus Effort,” Economic Development Quarterly Vol.10 No.4, 1996, pp.331-341.

Hamstead, Meredith P. and Michael S. Quinn, “Sustainable Community Development and Ecological Economics: Theoretical Convergence and Practical Implications,” Local Environment Vol.10 No.2, 2005, pp.141-158.

Hempel, Lamont C., “Conceptual and Analytical Challenges in Building Sustainable Communities,” In Daniel A. Mazmanian & Michael E. Kraft (eds.), Toward Sustainable Communities: Transition and Transformations in Environmental Policy, Massachusetts & London: The MIT Press, 2009, pp.33-62.

Kahn, Matthew E. Green Cities: Urban Growth and the Environment, Washington, D. C.:

The Brookings Institution, 2006.

Kolar, James L., “Alternative Energy: Environmental and Economic Factors Associated with Renewable Energy and Creating New Integrated Energy Management Systems,”

Environment Quality Management Vol.8 No.3, 1999, pp.63-92.

Kwon, Myungjung, Frances S. Berry, & Richard C. Feiock, “Understanding the Adoption and Timing of Economic Development Strategies in US Cities Using Innovation and Institutional Analysis,” The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Research and Theory Vol.19 No.4, 2009, pp.967-988.

Local Governments for Sustainability (ICLEI), http://www.iclei.org/, 2012.

문서에서 규 제 연 구 (페이지 76-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