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단지 태양열의 강약일 뿐이며, 五行에 대해서도 그 五라는 수를 불변의 정론으로 여기지 말 것을 주장하면서 만물의 근본요소를 火ㆍ水ㆍ土로 보고 이들을 氣에서 세분되는 것으로 다시 재구성하였다. 그리고 지구와 우주구조에 대해 체계적 사고 과정을 통한 宇宙無限論과 地轉說, 地圓說에 대한 확신은, 당시 주자학적 사상의 틀에 얶매여 있던 학자들 사이에선 찾아보기 힘든 우주관의 변화라 하겠다. 그러므 로 전통적 우주관에서 벗어나는 사상체계를 구성하였다고 볼 수 있다.

人ㆍ物의 生成을 氣의 변화로 인식하고 洛論의 人物性同論을 이론적 근거로 하 여 人物均論을 주장하였다. 이는 모든 사물은 상대적 가치기준에서 보면 모두 평등 하다는 주장으로 역사인식에 그대로 연결되었다. 이것은 전통 華夷論 사유체계를 그대로 계승하지 않고 ‘華夷’의 의미를 地界문제로 제한시켜 中華와 夷狄의 본질적 구분을 부정하는 근거가 되었다. 그리하여 제시한 ‘華夷一也’의 논리이다. 이러한 적극적인 자세는 마침내 ‘域外春秋論’이라는 역사의식을 보여주며 민족적 주체의식 의 정립을 추구하게 되었다. 사회현실과 역사현실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통해 그 모순을 개혁하여 혁신적 변화를 시도하였다. 당시 주자학적 분위기에서 전개한 사 상체계는 그의 탐구정신을 드러내주며 이는 오늘 우리에게 강조되어야 할 정신이 라 할 수 있다.

그동안 「의산문답」은 주인공 ‘실옹’의 논변만을 중시하여 학술서, 이론서로 인식 되어왔다. 「의산문답」을 하나의 텍스트로 보지 않고 자료로만 취급했다.

「의산문답」은 ‘허자의 방황과 깨달음’ 그리고 ‘실옹의 담론’ 이라는 두 가지의 중 심에 의해 진행되는 서사이다. 이런 중심 구조는 「의산문답」을 독립된 각 편의 모 음집이 아니라 하나의 통합된 이야기로 읽게하는 힘이자 텍스트에 대한 호기심과 흥미를 지속시키는 요인이다. 허자의 서사와 실옹의 담론은 작품 안에서 팽팽하게 공존하며 텍스트를 살아 움직이게 한다.

허자가 혼자만의 은둔지에서 뛰쳐나와 조선으로, 중국으로 방황하다 의무려산에 서 실옹과 마주치는 모습은 의식의 전환 과정을 형상적으로 전달하고자 했던 홍대 용의 전략적 의도였다. 한편 실옹의 논변들은 철학, 과학, 정치학으로 분야가 나뉘 지만 세계인식이라는 관점에서 볼 때 연쇄적으로 통합되어 있다. 또한 새로운 학문 적, 지적인 인식으로 자연스럽게 유도하기 위해 虛와 實의 대립구도, 문답체, 허구 적 인문과 배경설정, 유추, 은유 등의 방법으로 표현되었다.

이러한 방법은 충돌 하지 않고 공존한다. 「의산문답」은 문학과 학술을 서로 가로 지르는 전략에 의해서 생산된 작품이다. 「의산문답」이 학술적 건조함을 넘어 정취 가 있는 글로 남은 이유는 형식적으로 뛰어난 표현과 학술적 논증은 공존한다는 것이다. 자신의 생각을 을 구체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형식은 홍대용에게 과장적인 표현으로 인식되지 않았다. 객관세계의 핵심을 포착하는데 유용한 표현기법 이었 다. 문학적 표현과 학술적 표현은 새로운 세계를 보여주기 위한 유용한 방법이었 다.

참 고 문 헌

원전자료

洪大容, 국역 담헌서 ,민족문화추진회 편,1974.

저서

강선주, 莊子,차이를 횡단하는 즐거운 모험 ,그린비,2007.

고미숙, 나비와 전사, ,휴머니스트,2006.

김아리 편역, 우주의 눈의로 세상을 보다 ,돌베개,2006.

김태준, 洪大容과 그의 時代 ,일지사,1982. , 홍대용 평전 ,민음사,1987.

김현미, 18세기 연행록의 전개와 특성 ,혜안,2007.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조선후기문화 :실학문제 ,1989. 박희병, 한국의 생태사상 ,돌베개,1999.

유기준 외 16명, 한국사상논문선집 ,불함문화사,2000.

유봉학, 燕巖一派 北學思想 硏究 ,일지사,1995.

윤사순, 한국의 성리학과 실학 ,열음사,1987.

전상운, 한국과학사 ,사이언스북스,2000.

정영희, 조선후기의 사회와 사상 ,을유문화사,1961.

최현호, 한국실학사상연구 ,집문당,1987.

JosephNeedham,이양호 외 2人 譯, 중국의 과학과 문명 Ⅱ ,을유문화사 1993.

논문

강춘화,「洪大容의 實學的 認識論에 대한 硏究 :朱熹說과의 比較를 中心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2000.

, 「洪大容의 實學的 學問觀에 대한 硏究」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1994.

김도환,「홍대용 사상의 연구」,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2000.

김영동,「연암 박지원의 소설연구」,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1998.

김인규,「哲學의 近代志向的 性格에 關한 硏究」,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1995. 문 경,「莊子 寓言의 인물형상 연구」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1994.

박초영,「莊子 寓言 분석 및 寓言에 나타난 교육적 의미 연구」,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 문,2010.

박향란,「燕行錄 所載 筆談의 연구」,인하대학교 박사학위논문,2010.

배상열,「조선후기 實學派의 風水觀 연구」,원광대학교 박사학위논문,2009.

이유림,「담헌 홍대용의 문학사상 연구」,성심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1995.

,「北學思想 硏究」,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1999.

최종천,「홍대용 의산문답에 나타난 자연관 연구」,성균관대학교 유학대학원 석사학위논 문,2003.

학군봉,「조선시대 사대부의 장바수용과 우언 글쓰기 연구」,인하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허남진,「朝鮮後期氣哲學硏究」,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1994.

자료

김신중,「문답체 문학의 성격과 <성산별곡>」, 고시가연구 8,한국고시가문학 과,2001.

김인규,「홍대용 인간이해의 두 양상」,동양고전학회,1997.

김정호,「홍대용의 <의산문답>의 정치사상적 특성과 의의」, 동양정치사상사 ,한국동 양정치사상학회,2007.

김혜원,「毉山問答을 통해서 본 洪大容의 新學問觀」, 首善論集 11,1986 小川晴久,「慕華와 自尊사이」, 月刊朝鮮 7,조선일보사,1981.

류인희,「洪大容 哲學의 再認識」, 東方學志 73,연세대학교 국사연구회,1991. 박성래,「洪大容의 科學思想」, 韓國學報 23,일지사,1981.

박희병,「洪大容 硏究의 몇 가지 爭點에 대한 檢討」, 震檀學報 ,震檀學會,2001.

송영배,「홍대용의 상대주의적 사유와 변혁의 논리 -특히 莊子 의 상대주의적 문제의

식과 비교를 중심으로 」, 韓國學報 74,일지사,1994.

,「홍대용의 상대주의적 사유와 변혁의 논리」, 한국학보 74,일지사, 1994.

이경보,「존재론과 윤리론의 갈등 -홍대용 사상의 철학적 기초」, 한국실학연구 11,한 국실학학과,2006.

이현구,「근대 서구 문화 수용과 실학 전통」, 근대성과 한국문화의 정체성 ,철학연구 회,1998.

임종태,「무한우주의 우화-홍대용의 과학과 문명론」, 역사비평 71,역사문제연구소, 2005.

조 광,「洪大容의 政治思想史 硏究」,『민족문화연구』 14,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79.

조동일 「조선후기 인성론의 혁신에 대한 문학의 반응」, 한국문화 12,서울대 한국문화 연구소,1991.

조성을,「洪大容의 歷史認識」, 震檀學補 79震檀學會,2001.

천관우,「洪大容 地轉說의 再檢討」,曉城趙明基博士 華甲記念佛敎史學論叢,論叢刊行委 員會,1965.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