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第 3 節 硏究方法 및 硏究內容

문서에서 장사정보센터 운영방안 (페이지 37-40)

1. 硏究方法

본 연구에서는 우선적으로 문헌연구에 의한 연구방법에 중점을 두 었다. 문헌분석을 통하여 葬事情報에 대한 정의와 정보센터에 관한 이론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그러나 현재까지 장사정보 및 장사정보센 터와 직접 관련된 선행연구가 거의 없었기 때문에, 현재 논의되고 있 는 각 분야의 정보센터에 대한 문헌고찰에 많이 의지하였다. 특히 지 역정보센터와 기업의 정보센터에 관한 논의가 그 중심이 되었다. 기 존에 설립되어 운영중인 각종 정보센터에 관한 문헌을 분석하여 장사 정보센터 모형에 적극 반영하였다. 다음은 관련시설을 중심으로 현장 조사를 하였다. 장사관련 분야는 기존의 연구가 부족하기 때문에, 무 엇보다도 관련시설이나 각종 기관의 현장 실태파악이 중요하다. 현장 조사는 장사정보 현황과 정보생산 및 유통 실태를 파악하고자 한 것 이다. 또한 현장조사를 통하여 모범적 사례를 발굴하여 연구에 적극 반영하였다.

다른 한편, 현장 조사에서는 시간과 연구비의 제한으로 지역이나 분야에 있어 전반적인 조사가 이루어지기 어렵다. 이런 한계를 극복 하고자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우편조사를 실시하였다. 우편조 사를 실시하여 장사 경험에 대한 일반적 조사와 장사정보 유통실태를 파악하고, 정보센터 구성요소에 관한 제반 사항을 조사 분석하였다.

특히 조사결과를 기초로 장사정보센터의 성공요인분석을 시도하여, 센터 설립 단계의 중요요인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다음은 미국과 일본을 중심으로 외국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미국 사례는 문헌자료를 중심으로 분석하고, 일본 사례는 현지 관찰 조사 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중점적으로 장사서비스 전달 체계, 행정기관 업무 분석, 관련 법규, 업체 현황 등을 중심으로 분석 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런 시도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진이 가지고 있는 여러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서 관련 전문가와 본 연구진은 2차례의 정책간 담회를 개최하였다. 제1차는 우편조사 전에 연구방향과 조사표에 대 한 평가회를 개최하였으며, 제2차 간담회는 조사결과와 정보센터 모 형 설정 단계에서 개최하였다. 간담회는 주로 모범적 지방자치단체 담당자와, 시민단체 대표, 학계관계자, 그리고 대표적인 시설 관계자 및 업계 종사자와 함께 의견을 개진하였다.

2. 硏究內容

본 연구는 총 다섯 개 章으로 구성된다. 각 장별로 내용을 살펴보 면, 제1장은 서론으로써,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장례와 묘지의 사회 적 의미, 연구방법 및 내용, 그리고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으로 구성 된다. 이론적 설명에서는 장사정보의 개념 설명 및 장사정보 분류를 시도하였다. 다음으로 정보유통구조를 살펴보고 情報共有論에 의지해

序論 39

정보센터의 기능을 정의하였다. 제2장에서는 장사정보 관련 실태를 분석하였다. 우선 장묘분야와 관련해서 진행되고 있는 정보화 상황으 로써 지리정보시스템 사업현황을 설명하였다. 그리고 국내 장사정보 생산 재생산 및 유통 실태 파악을 위해서 공공기관과 장례식장 및 묘 지 등의 장사관련 시설, 관련 업체, 그리고 관련 단체나 협회 등의 현 황과 실태를 설명하였다. 마지막으로 인터넷에 유통되고 있는 장사정 보 현황까지 포함하였다. 제3장에서는 장사정보와 관련해서 외국의 사례를 설명하였다. 미국과 일본을 중심으로 장사와 관련된 제반 현 황을 설명하였으며, 외국사례의 시사점을 살펴보았다. 제4장은 장사정 보 및 정보센터에 관한 의식조사 결과로써, 조사개요와 조사결과를 설명하였다. 조사 내용은 주로 장사시설과 장례용품 등에 관한 경험 과 의식, 그리고 정보센터의 주요 구성 요소에 대한 의식 등이다. 특 히 조사결과를 토대로 일반 사항뿐만 아니라 정보센터의 성공요인 분 석을 시도하였다. 제4장의 조사결과 분석은 제5장의 정보센터 모형 설정에 반영된다. 제5장은 장사정보센터의 내용 및 설립운영방안을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구체적으로 단계별 구축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실천적 방법으로 정보센터 네트워크 모델과 웹사이트 구축방안을 제 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장사정보센터의 성공적 운영방안을 정책제언으 로써 제시하였다.

문서에서 장사정보센터 운영방안 (페이지 37-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