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나. 母乳授乳에 影響을 미치는 要因

授乳方法의 선택에는 母의 社會的, 文化的 背景, 母와 出生兒의 健 康狀態 등의 보건의료적 요인, 영양교육, 산전교육 등 여러 요인이 복 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최근 수유부를 대상으로 한 조사연구에서 모유수유군과 분유수유군간 차이를 보여준 변수는 모성의 학력, 모성 직업유무, 월수입, 분만방식과 수유계획을 세운 시 기, 수유계획에 영향을 준 사람, 분만 후 병원에서의 모유수유 여부, 과거 모유수유실천 여부 등으로 나타났다(김기남 외, 2000).

1994년 전국적으로 보건소를 이용하는 영유아 10,830명에 대한 母 乳授乳實態 分析硏究에서는 母의 敎育水準이 높은 경우, 年齡이 많은 경우 모유수유율이 낮았으며, 男兒와 低體重兒에서 모유수유율이 낮 았다. 또한 帝王切開時, 分娩 醫療機關이 병원급 이상인 경우 모유수 유율이 낮았다(박인화 외, 1994).

대도시거주 병원 분만산모들을 대상으로 하여 분만방법이 모유수유 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에서는 제왕절개나 자연분만 등 분만방법 자체보다는 분만후 의료기관의 신생아 관리방법, 병원의 모유수유 지 원체제 등이 모유수유에 더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박정한 외, 1999).

지금까지의 우리나라에서 실시된 연구에 의하면 낮은 母乳授乳率과 관계가 있는 變數들은 도시거주, 고학력, 고소득, 젊은 연령, 첫째 아 이, 모성의 취업,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에서 분만, 제왕절개 분만, 출 산 후 母子同室을 하지 않고 신생아실에서 관리한 경우, 저체중아 및 미숙아 등이다(김기남, 2000; 신희선 외, 1996; 박인화 외, 1994; 신연 옥 외, 1992; 김길자 외, 1988). 우리나라에서도 제왕절개분만을 한 경 우 자연분만(질분만)을 한 경우보다 모유수유율이 낮다는 보고가 있

다(이충원 외, 1995; 인경애, 1989).

外國의 硏究에서 母乳授乳에 影響을 미치는 重要한 變數는 사회경 제적인 지위(Loughlin et al., 1985; Stahlberg, 1985; Ekwo et al., 1984;

persson & Samuelson, 1984), 고용상태(Auerbach & Guss, 1984), 연령, 교육수준, 과거의 모유수유 경험(Feinstein et al., 1986), 모유수유에 대 한 인식(Loughlin et al., 1985) 등으로 보고되었다(박정한 외, 1999 재 인용)

이 밖에 산모의 母乳授乳에 대한 決定과 實際遂行은 높은 관련을 보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Beske & Garvies, 1982; Gulick, 1982), 모유수유에 대한 교육 및 홍보 부족, 모유수유에 대한 신념 부족, 취 업 증가 등도 현실적 障碍要因으로 지적되고 있다(김효진, 1992; 정혜 경 외, 1993).

第 2 節 母乳授乳 實踐水準의 變化樣相

모유는 영아의 성장을 위해 필요한 모든 영양소의 공급 및 질병에 대한 면역기능이 영아의 요구량과 생리적 특성에 맞게 가장 이상적으 로 조성되어 있어 가장 우수한 영아 영양방법이다. 뿐만 아니라 영아 기 이후의 평생건강과 구강건강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치며, 모성건강 에도 많은 利點을 지니는 영유아기 영양방법이다. 따라서 모유수유의 권장 및 지원책은 아동의 건강증진을 위해 필수적으로 실천해야 할 건강증진행위이다. 모유수유는 이 밖에도 모자간의 정서적 유대 촉진, 경제적, 위생적, 안전성, 간편성 등 많은 장점을 가진 이상적인 수유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WHO, 1985; Hamson & Winberg, 1972).

우리나라에서 1970년대의 母乳授乳率은 90%정도였으나 전국표본조 사에 의한 모유수유율(수유기간 구분 없이 모유만 먹인 경우)은 1982

년 68.9%, 1985년 59.0%, 1988년 48.1%, 1994년 11.4%, 1997년 14.1%, 2000년 10.2%로 지속적으로 감소추세에 있음을 볼 수 있다.

1980년을 전후하여 전 세계적으로 母乳授乳 勸獎을 위한 世界的인 對應이 이루어지면서 모유수유가 감소하던 선진국에서는 모유수유가 다시 증가하는 추세로 돌아서고 있다. 대표적인 예가 1979년 WHO‧

UNICEF 공동으로 모유수유 권장을 위한 「영유아 영양개선에 관한 선 언」의 실천결의안 채택과 1981년 WHO의 「모유대체식품 판매에 관한 국제규약」33)을 들 수 있다. 그 외에도 모유수유 권장을 위한 國際的 인 努力은 4가지 주요선언, 즉 「1990년 모유수유의 보호‧권장‧지지에 관한 이노센티 선언」, 「1990년 아동의 권리에 관한 국제협약」, 「아동 의 생존‧보호‧발달을 위한 세계선언」, 「1992년 영양에 관한 세계선 언 및 행동계획」 등을 통하여 각 국에 모유수유 증진을 위한 대책을 촉구하고 있다. 또한 WHO와 UNICEF는 1992년부터 모유수유 권장을 위해 아기에게 친근한 병원 만들기 운동(Baby- Friendly Hospital Initiative)을 전개하고 있다(UNICEF, 1993).

美國의 경우 1955년에서 1970년까지는 모유수유율이 감소하다가 그 이후 다시 增加하는 추세로 돌아서 1970년의 24.9%에서 1984년에는 61.0%로 증가하였으며, 1998년 Mother's Survey에서는 출생후 64%, 6 개월후 29%, 생후 1년에 16%로 증가추세에 있음을 볼 수 있다(US DHHS, 2000). 日本의 경우 생후 1개월간 모유수유실천율(혼합 수유 포함)이 1970년 73.7%에서 1990년 86.9%까지 증가한 것과 대비되는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厚生省, 1998). 유럽의 先進國에서도 과거 15~

20년 사이에 분만 후 첫 1년간 모유수유를 하는 여성의 비율이 점차 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Siskine et al., 1993; Weile et al., 1990;

Persson & Samuelson, 1984).

33) WHO, International Code of Marketing of Breast-milk Substitutes, 19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