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資料: 한영자 외, ꡔ저출생체중아 발생현황 및 정책과제ꡕ,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9.

미국 캘리포니아주 한국교포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밝혀진 低出 生體重兒 發生率은 3.89%로 상당히 낮은 수준이었으며, 美國의 저출 생체중아 발생률은 1991년 7.1%이었고 人種과 民族에 따라 차이가 많 았는데, 백인 5.8%, 흑인은 13.6%이었다. 그 외 소수 민족인 인디언은 6.2%, 일본계 5.9%, 필리핀계 7.3%, 하와이인은 6.7%로 이들 발생률은 모두 백인에 비해 약간 높았으며, 다만 中國系의 경우 5.1%로 가장 낮았다. 미국내 각 인종별 저출생 발생빈도와 비교하여 볼 때 한인교 포의 저출생 발생빈도는 다른 인종보다 낮았다(안소영, 1996).

나. 出生體重別 嬰兒死亡率

出生體重은 嬰兒死亡率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데 <表 5-3>은 일 본의 출생시 체중분포에 따른 조기신생아 사망률을 나타낸 것이다.

500~999g군에서는 早期新生兒死亡率이 매우 높아 1968년의 경우 출 생아 1,000명당 856.7명에 이르러 거의 86%의 출산아가 사망하는 것 으로 보고되었으며, 그 후 體重이 增加함에 따라 死亡率은 급격하게

감소한다. 2,000~2,499g군에서는 급격하게 감소하여 23.9명에 이른다.

〈表 5-4〉 性別 出生體重別 嬰兒死亡數 및 出生兒數(1996)

(單位: 명, 출생아 천명당)

출생체중 남아 여아

사망영아 출생아 영아사망률 사망영아 출생아 영아사망률

750g 미만 174 176 988.64 200 200 1,000.00 750~999g 220 226 973.45 244 248 983.87 1,000~1,249g 284 439 646.92 213 414 514.49 1,250~1,499g 192 536 358.21 148 517 286.27 1,500~1,999g 271 2,020 134.16 223 1,960 113.78 2,000~2,499g 235 7,900 29.75 220 9,031 24.36 2,500~2,999g 447 49,457 9.04 380 61,995 6.13 3,000~3,499g 669 161,346 4.15 529 157,086 3.37 3,500~3,999g 375 116,707 3.21 227 82,360 2.76 4,000g 이상 79 28,795 2.74 41 15,405 2.66 전 체 2,946 367,602 8.01 2,425 329,216 7.37 資料: 한영자 외,『저출생체중아 발생현황 및 정책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9,

p.75.

3. 低出生體重兒 관련 危險要因

出生體重에 影響을 미치는 要因으로는 母의 연령, 출생순위, 출생 혹은 임신간격, 임신기간, 사회경제적 수준 및 산전관리상태 등이 있 다. 출생체중은 임신기간과 자궁내 성장 정도라는 두 가지 요인에 의 해 크게 결정되기 때문에 低體重은 주로 姙娠期間이 짧거나 子宮內發 育이 遲滯된 경우, 또는 이 두 가지가 동시에 작용되어 나타난다고 보고하고 있다(Eisner, 1979; Kramer, 1987; 안소영, 1996 재인용). 開發 途上國에서 低體重 發生에 影響을 미치는 原因을 그 중요도에 따라 나열하면 모체의 영양결핍이나 임신중 비정상적인 체중의 증가, 모체 의 과소체중, 왜소체구, 말라리아 등의 질병감염, 그리고 태아가 여아 인 경우 등이다. 한편, 先進國에서는 임신부의 흡연, 모체의 영양결핍,

과소체중, 미숙, 태아가 여아인 경우, 모체의 체구가 왜소한 경우 등 이다(Gray, 1989; 안소영, 1996 재인용). Goldenberg 등은 조산예측연구 에서 3가지의 生物學的 要因인 세균성 질염(bacterial vaginosis), 태아 파이브로넥틴증(fetal fibronectin), 짧은 자궁경부(short cervix)가 자연조 산(spontaneous preterm births)과 밀접히 연관되어 있는 것을 보고하였 다(Editorial, AJPH, 1998).

社會經濟的 水準과 人種은 低出生體重이나 早産을 유도할 수 있는 환경, 심리적 상태, 생리학적인 요인과 복합적인 연관을 가진 지표이 다. 아직까지 저출생체중에 영향을 미치는 생물학적인 경로가 충분히 알려져 있지 않지만 임산부의 사회경제적 상태가 전반적인 건강과 자 원에 대한 접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에 각 변 수가 저출생체중에 미치는 영향을 문헌을 통하여 검토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