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第 3 節 母乳授乳實踐 水準에 影響을 주는 要因에 관한 分析

1. 分析의 必要性 및 目的

前述한 바와 같이 모유수유실천율이 낮으나 出産 後 月齡의 增加에 따른 정확한 모유수유실천 양상에 대한 분석적 연구는 박인화 등 (1994) 이후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이 연구도 보건소 이용자를 대상으 로 하고 있어 우리나라 전체의 모유수유 양상을 대표하기에는 제약이 있다. 그 밖의 대부분의 母乳授乳 現況에 관한 硏究는 병원산모 중심 으로 일정지역에 국한되어 소규모 표본을 대상으로 하여 최근의 전국 수준의 양상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으며 모유수유의 수준과 기간에 대 한 정의가 명확하지 못한 경우도 많다.

본 분석은 2000년 실시된 전국수준의 대표성 있는 조사자료인 「전 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실태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최근 우리나라 母 乳授乳率의 樣相과 社會人口學的 및 保健醫療的 要因別로 모유슈유 양상의 차이를 嬰幼兒 月齡別로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이러한 분석결 과에 기초하여 모유수유의 실천을 높이기 위한 정책방안을 제시하고 자 하였다.

本 硏究의 目的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우리나라의 최근 전 국적인 모유수유실천율을 嬰幼兒 月齡別로 분석한다. 둘째, 각종 社會 人口學的 要因 및 保健醫療的 要因에 따라 모유수유실천율을 영유아 월령별로 분석하여 모유수유 실천에 큰 影響을 미치는 要因을 규명한 다. 마지막으로 모유수유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근거하여 母 乳授乳를 지지, 증진시키기 위한 效果的인 實行方案과 政策課題를 제 시한다.

2. 分析資料 및 方法 가. 分析資料

本 硏究의 資料는 「2000년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실태조사」 자료 를 이용하여 0~29개월의 최종아 1,076명이 分析對象이 되었다.34)35) 분석에 사용된 변수는 上記調査에 포함된 변수 중 선행연구를 통하여 모유수유와 관련성이 있는 변수를 다음과 같이 선택하였다.36)

1) 從屬變數

- 영유아 월령별(출생시, 생후 1주, 2주, 3주, 첫1개월, 2개월, 3개 월, …, 14개월째) 완전 모유수유실천율

- 영유아 월령별(출생시, 생후 1주, 2주, 3주, 첫1개월, 2개월, 3개 월, …, 14개월째) 완전 및 부분 모유수유실천율

2) 獨立變數

지역(도시/농촌), 출생순위, 出産時 母의 연령, 母의 교육수준, 母의 현 취업상태, 가구 소득수준, 분만형태(자연분만/제왕절개), 출생아 체 중, 임신기간, 분만의료기관의 10가지 변수를 선택하였다.

34) 본 조사대상은 전국적으로 200개 조사구에서 표본추출된 「2000년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실태조사」의 대상가구 13,416가구 중 조사완료 된 11,388가구에서 0~29 개월의 최종아 1,076명이 본 연구의 분석대상이 되었음.

35) 표본추출에 적용하는 가중치(weight)는 본 분석에서 부여하지 않았음.

36) 선행연구 결과 모유수유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중 모유수유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 참여, 모유수유 의지나 모유수유 결정 등의 변수는 출산력 조사자료에 포함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에 고려하지 못하였음.

나. 分析方法

영유아 月齡別 母乳授乳實踐率(cumulative continuation rate)을 산출하 기 위하여 生命表 分析技法(life-table analysis)을 사용하여 영유아의 출 생 후 변화하는 모유수유 양상을 Kaplan-Meier 生存曲線 推定方法을 이용하여 추정하였다.

모유수유실천율(확률)을 생명표 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한 이유는 모 유수유 양상은 영유아의 월령에 따라 모유수유 실천이 도중 종료되어 실천율이 점차 저하되는 특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코호트 개념을 적용 하여 산출된 生存率로 파악되어야 意味있는 分析値의 제시가 가능하 다. 특히 출산력조사와 같은 횡단적 조사(cross-sectional survey) 자료에 서는 조사 현시점인 해당 월령에서의 실천양상에 대한 자료만으로는 출생 이후 변화하는 수유양상이 반영되지 못한다. 따라서 조사시점에 서 모유수유가 종료된 사례와 지속된 사례를 분석에 포함하여 결과를 추정하는 생명표 분석기법을 사용하였다.

上記 變數別로 모유수유실천율에 대한 生存曲線의 同質性 (Homogeneity)을 파악하기 위하여 Wilcoxon-Test를 사용하여 단변량분 석을 하였다. 이러한 生存函數 分析에는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인 SAS 의 LIFETEST를 사용하였다.

3. 主要 分析結果

硏究對象者는 1998년 1월에서 2000년 6월까지 출생한 영유아 1,076 명이며, 분석변수인 거주지역, 출생순위, 母의 연령, 母의 교육수준, 母의 취업여부, 가구의 월평균 수입, 임신기간(재태기간), 출생시 체중, 분만 의료기관별로 對象兒의 分布現況을 보면 <表 4-3>과 같다.

〈表 4-3〉 社會人口學的, 保健醫療的 分析變數別 對象兒 分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