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가. 유치원 수

유치원 수는 2020년 말 기준 8,705개원이다. 기관 유형별로는 사립이 57.2%, 국공립이 42.8%로 사립이 15%p 정도 많다. 2012년 5세 누리과정, 2013년 누리 과정의 3,4세 확대로 유치원 이용 아동 수가 늘어나면서 유치원 수가 크게 증가하 다가 2018년을 기점으로 줄어드는 추세이다.

〈표 Ⅲ-3-1〉

최근 10년 간 유치원 수 추이: 2011~2020년

단위: 개원 구분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전체 8,424 8,538 8,678 8,826 8,930 8,987 9,029 9,021 8,837 8,705

국립 3 3 3 3 3 3 3 3 3 3

공립 4,499 4,522 4,574 4,616 4,675 4,693 4,744 4,798 4,856 4,973 사립 3,922 4,013 4,101 4,207 4,252 4,291 4,282 4,220 3,978 3,729 자료: 교육통계서비스(https://kess.kedi.re.kr/index). 2011-2020 교육통계((2021.6.21 인출).

[그림

Ⅲ-3-1] 유치원 수 추이: 2011~2020년

자료: 교육통계서비스(https://kess.kedi.re.kr/index). 2011-2020 교육통계((2021.6.21 인출).

Ⅲ. 농어촌 지역 보육·교육 서비스 공급과 이용

국공립유치원은 정부의 국공립유치원 이용률 40% 목표 달성이라는 국공과제에 힘입어 꾸준히 증가하고 있고, 유치원은 2018년 사립유치원의 공공성 강화 정책에 따라 이후 4천 소 이하로 떨어졌다.

<표 Ⅲ-3-2>는 지난 10년 간 유치원 추이를 지역규모별로 분석한 것이다. 특광 역시 소재 유치원은 증가 추세이다가 2017년을 기점으로 감소세로 돌아섰고, 시 단위 지역 유치원도 꾸준히 증가하다가 2018년 이후 줄어들고 있다. 이에 반헤 읍 지역은 2018년까지 꾸준히 증가하였고, 2019년 이후 줄어드는 경향성을 보이지 만 폭이 크지는 않다. 면 지역과 특수지역은 지난 10년 간 감소 추세를 보였다.

〈표 Ⅲ-3-2〉

지역규모별 유치원 수 추이: 2011~2020년

단위: 개원 구분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8,424 8,538 8,678 8,826 8,930 8,987 9,029 9,021 8,837 8,705 특별/광역시 2,467 2,542 2,614 2,677 2,716 2,720 2,720 2,701 2,607 2,542 2,940 3,025 3,075 3,155 3,223 3,297 3,332 3,353 3,305 3,269 읍지역 973 967 988 994 984 982 1,006 1,021 1,013 1,012 면지역 1,651 1,628 1,627 1,624 1,639 1,631 1,632 1,610 1,582 1,554 특수지역 393 376 374 376 368 357 339 336 330 328 자료: 교육통계서비스(https://kess.kedi.re.kr/index). 2011-2020 교육통계((2021.6.21 인출).

[그림

Ⅲ-3-2] 유치원 수 추이: 2011~2020년

자료: 교육통계서비스(https://kess.kedi.re.kr/index). 2011-2020 교육통계((2021.6.21 인출).

지난 10년간 유치원 유형별 유치원 수를 추이를 살펴보았다. 특광역시와 시 지 역, 읍지역 소재 공립유치원은 공립유치원 증설 정책에 따라 매년 증가하고 있지 만, 면 지역과 특수지역은 반대로 감소하고 있다. 한편, 사립유치원의 경우, 특광역 시와 시 또는 읍 지역은 2015~2017년까지 증가 추세를 보이다가 이후 줄어들고

영유아 인구 희소 농어촌 지역 보육·교육 서비스 통합 지원 방안 연구

110

있다. 지역규모가 클수록 변곡점이 빨랐다. 면지역도 증가추세를 보였지만, 2017 년 이후 매년 줄어들고 있다. 특수지역은 2019년 이후 유치원이 존재하지 않는다.

〈표 Ⅲ-3-3〉

지역규모별 유치원 수 추이: 2011~2020년

단위: 개원 구분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지역규모 유형

전체

국립 3 3 3 3 3 3 3 3 3 3

공립 4,499 4,522 4,574 4,616 4,675 4,693 4,744 4,798 4,856 4,973 사립 3,922 4,013 4,101 4,207 4,252 4,291 4,282 4,220 3,978 3,729 특별/광역시

국립 - - - - - - - - - -

공립 637 677 716 747 770 778 794 819 849 904 사립 1,830 1,865 1,898 1,930 1,946 1,942 1,926 1,882 1,758 1,638

국립 1 1 1 1 1 1 1 1 1 1

공립 1,354 1,383 1,424 1,445 1,486 1,519 1,556 1,592 1,628 1,684 사립 1,585 1,641 1,650 1,709 1,736 1,777 1,775 1,760 1,676 1,584 읍지역 공립 608 604 594 588 583 580 594 606 614 635 사립 365 363 394 406 401 402 412 415 399 377 면지역

국립 2 2 2 2 2 2 2 2 2 2

공립 1,515 1,490 1,469 1,465 1,470 1,461 1,462 1,446 1,435 1,422 사립 134 136 156 157 167 168 168 162 145 130 특수지역 공립 385 368 371 371 366 355 338 335 330 328

사립 8 8 3 5 2 2 1 1 - -

자료: 교육통계서비스(https://kess.kedi.re.kr/index). 2011-2020 교육통계((2021.6.21 인출).

나. 유치원 이용 아동 수

유치원 이용 유아 수는 2020년 기준 633,913명이다. 2011년 564,834명과 비 교하여 15만명 이상 늘어났다.

〈표 Ⅲ-3-4〉

최근 10년 간 유치원 수 추이: 2011~2020년

단위: 명 구분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전체 564,834 613,749 658,188 652,546 682,553 704,138 694,631 675,998 633,913 612,538

국립 240 226 225 258 256 258 249 249 275 273

공립 125,855 127,121 141,827 148,011 161,083 170,091 172,272 172,121 177,055 178,628 사립 438,739 486,402 516,136 504,277 521,214 533,789 522,110 503,628 456,583 433,637 자료: 교육통계서비스(https://kess.kedi.re.kr/index). 2011-2020 교육통계((2021.6.21 인출).

출생아 수 감소에도 누리과정 등 정부지원이 확대되면서 어린이집 이용 수요가

Ⅲ. 농어촌 지역 보육·교육 서비스 공급과 이용

유치원으로 이동하면서 유치원 이용 아동 수가 늘어난 것이다. 2016년에는 704,138명까지 늘어났었고, 기관 유형별로 보면, 국공립유치원 이용 아동 수는 2011년 125,855명에서 2020년 178,628명으로 5만3천명 정도 늘어났고, 사립유 치원은 2011년 438,739명에서 2016년 53만명 선까지 증가하다가 사립유치원 감 사결과 발표 이후 40만명 선으로 떨어졌다.

기관 유형별로 이용 아동 비율을 보면, 2020년 기준 사립이 70.8%, 공립이 29.2%로 사립이 2배 이상 높다. 2011년 3배 가까이 차이가 났으나 정부의 국공립 유치원 증설 정책에 힘입어 국공립유치원 이용률이 개선되었지만, 정부의 목표치 에는 크게 모자란다.

[그림

Ⅲ-3-3] 유치원 이용 아동 수 추이: 2011~2020년

자료: 교육통계서비스(https://kess.kedi.re.kr/index). 2011-2020 교육통계((2021.6.21 인출).

〈표 Ⅲ-3-5〉

최근 10년 간 유치원 이용 아동 수 추이: 2011~2020년

단위: 명 구분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564,834 613,749 658,188 652,546 682,553 704,138 694,631 675,998 633,913 612,538 특별/광역시 230,802 252,210 269,364 264,885 273,046 278,877 273,489 264,065 246,205 238,877 242,023 264,481 282,809 281,896 299,134 312,158 307,521 301,311 282,806 274,170 읍지역 54,198 57,700 62,720 61,861 64,139 65,147 67,706 67,367 65,028 63,488 면지역 33,039 34,732 38,756 39,605 41,925 44,013 42,268 39,829 36,903 33,269 특수지역 4,772 4,626 4,539 4,299 4,309 3,943 3,647 3,426 2,971 2,734 자료: 교육통계서비스(https://kess.kedi.re.kr/index). 2011-2020 교육통계((2021.6.21 인출).

지역규모별로 살펴보면, 특광역시는 2011년 23만명 정도에서 2016년 28만명 정도까지 증가하였으나, 이후 급감하면서 2020년에는 24만명 선까지 무너졌다.

시와 면 지역은 2016년, 읍 면지역은 2017년을 기점으로 감소 추세이다.

영유아 인구 희소 농어촌 지역 보육·교육 서비스 통합 지원 방안 연구

112

[그림

Ⅲ-3-4] 유치원 수 추이: 2011~2020년

자료: 교육통계서비스(https://kess.kedi.re.kr/index). 2011-2020 교육통계(2021.6.21 인출).

〈표 Ⅲ-3-6〉

지역규모별 유치원 이용 아동 수 추이: 2011~2020년

단위: 명 구분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지역규모 유형

전체

국립 - - - - - - - - - -

공립 30,669 31,597 36,691 39,856 43,866 46,297 46,889 47,440 49,350 50,761 사립 200,133 220,613 232,673 225,029 229,180 232,580 226,600 216,625 196,855 188,116 특별/광역시

국립 99 99 81 109 108 117 109 109 107 105 공립 51,783 51,667 59,732 62,345 69,250 74,858 77,166 78,576 81,691 83,788 사립 190,141 212,715 222,996 219,442 229,776 237,183 230,246 222,626 201,008 190,277

국립 18,520 18,770 19,459 19,667 20,200 20,842 21,425 21,420 22,628 22,614 공립 35,678 38,930 43,261 42,194 43,939 44,305 46,281 45,947 42,400 40,874 사립 141 127 144 149 148 141 140 140 168 168 읍지역 공립 20,570 20,894 21,533 22,012 23,571 24,265 23,227 21,344 20,415 18,731 사립 12,328 13,711 17,079 17,444 18,206 19,607 18,901 18,345 16,320 14,370 면지역

국립 4,313 4,193 4,412 4,131 4,196 3,829 3,565 3,341 2,971 2,734 공립 459 433 127 168 113 114 82 85 - - 사립 240 226 225 258 256 258 249 249 275 273 특수지역 공립 125,855 127,121 141,827 148,011 161,083 170,091 172,272 172,121 177,055 178,628 사립 438,739 486,402 516,136 504,277 521,214 533,789 522,110 503,628 456,583 433,637 자료: 교육통계서비스(https://kess.kedi.re.kr/index). 2011-2020 교육통계((2021.6.21 인출).32)

지역 및 기관유형별 유치원 이용 아동 수 추이를 살펴본 결과, 공립유치원 이용 아동의 경우, 특광역시에서 증가 추세이나 시와 읍면 지역은 줄어들고 있다. 사립 유치원 이용 아동 수도 특광역시는 증가 추세를 보이다가 2016년 이후 줄었고, 읍 면지역도 2016년을 기점으로 줄어들었고, 2020년에는 2012년 수준에 이른다.

32) 3절에 제시한 교육통계 자료(2011-2020)는 교육통계서비스(https://kess.kedi.re.kr/index)와 홈페이지 내에 게시되어 있는 교육부한국교육개발원 2011-2020 교육통계연보 자료와 연동하여 살펴봄.

01

농어촌 어린이집 운영 현황과 요구

02

농어촌 유치원 운영 현황과 요구

03

시사점

IV

농어촌 어린이집·유치원

운영 현황과 요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