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농어촌 어린이집·유치원 운영 현황과 요구 113

영유아 인구 희소 농어촌 지역 보육·교육 서비스 통합 지원 방안 연구

116

<표

Ⅳ-1-1> 어린이집 반 운영 특성

단위: %(개소)

구분

영아반 유아반

농어촌 특례 탄력보육반

반 정원 100% 충족반

반 정원 50% 미만반

농어촌 특례 탄력보육반

반 정원 100% 충족반

반 정원 50% 미만반

전체 59.5 78.6 51.8 65.0 65.9 79.6

권역

강원권 64.6 88.8 46.4 90.0 59.5 81.7

경기권 58.3 79.7 47.9 46.7 57.5 68.0

경상권 53.2 75.8 51.6 61.3 67.6 85.4

전라권 70.3 77.9 53.5 62.5 81.5 80.0

충청권 62.3 80.1 58.6 80.6 70.8 90.0

F 1.7 1.6 0.3 3.0* 1.2 1.7

지역 규모

읍 지역 56.2 79.2 49.5 64.1 58.9 80.6

면 지역 62.4 78.1 53.5 66.0 70.7 79.0

t -1.4 0.4 -0.6 -0.2 -1.7 0.2

기관 유형

가정 58.5 78.1 47.0 - 100.0 100.0

국공립 49.6 77.2 48.3 57.3 72.4 61.8

민간 62.6 81.6 51.6 61.6 57.0 84.8

법인단체등 61.9 78.3 70.8 90.0 62.0 86.3

사회복지법인 67.8 70.7 41.7 73.8 81.5 76.2

F 1.3 1.3 1.8 1.7 2.0 2.9*

현원 규모

20인 이하 59.8 77.2 54.3 73.3 100.0 100.0

21~39인 58.7 74.6 54.0 79.4 70.4 76.0

40~79인 60.3 80.7 25.2 60.7 61.5 57.8

80인 이상 59.1 90.6 29.0 52.0 60.2 70.2

F 0.0 4.2** 2.2 2.5 2.9* 10.8***

주: 전체 반 수 중 농어촌 특례 탄력보육반, 반 정원 100% 충족반, 반 정원 50% 미만 반의 비율의 평균을 의미함.

자료: 본 연구를 위한 「영유아 희소 농어촌 보육교육 통합 지원 방안을 위한 어린이집 조사」 결과임.

* p < .05, ** p < .01, *** p < .001.

다음은 어린이집 이용 아동 중 다문화가족 자녀 등 취약 가족 자녀의 특성을 알 아보았다. 영아반 재원 아동 중 취약 가족 자녀는 평균 20.6%이었다. 구체적으로 는 다문화가족 자녀는 평균 15.9%이고, 한부모 가족 자녀는 평균 8.3%, 조손가족 자녀는 10.4%, 외국인 노동자 자녀는 14.7%, 난민이 19.9% 정도이었다. 영아반 이용 아동의 취약가족 자녀 비율은 기관 유형과 현원 규모에 따라 유의하게 차이가 나타났다. 유형별로는 다문화가족 자녀는 현원 규모, 조손가족 자녀는 권역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Ⅳ. 농어촌 어린이집·유치원 운영 현황과 요구

<표

Ⅳ-1-2> 어린이집 이용 아동 특성

단위: %(개소)

구분

영아 유아

다문화 가족 자녀

한부모 가족 자녀

조손 가족 자녀

외국인 노동자 자녀

난민 전체 다문화

가족 자녀

한부모 가족 자녀

조손 가족 자녀

외국인 노동자 자녀

난민 전체 전체 15.9 8.3 10.4 14.7 19.9 20.6 14.8 7.8 10.2 9.2 20.2 권역

강원권 14.5 6.4 19.6 - 16.6 13.7 10.3 18.9 - 19.5 경기권 13.3 9.9 35.7 15.7 - 22.1 14.0 8.3 18.8 10.4 - 22.8 경상권 15.0 7.6 6.0 20.9 - 17.7 15.1 6.5 5.2 7.8 - 18.1 전라권 20.9 7.5 12.0 12.3 36.8 24.6 17.9 9.0 6.2 26.3 - 24.5 충청권 17.7 9.7 9.4 10.7 2.9 23.2 12.6 7.1 5.0 5.4 - 18.2 F 2.0 0.9 5.8** 1.3 1.7 0.4 0.7 2.5 2.7 0.8 지역 규모

읍 지역 14.6 7.3 6.8 12.5 2.9 18.4 10.3 7.1 7.3 4.2 - 25.1 면 지역 16.9 9.3 12.8 16.4 36.8 22.4 17.8 8.4 12.5 11.8 - - t -1.3 -1.4 -1.4 -1.1 -1.8 -3.4** -0.9 -1.1 -2.2* -4.4***

기관 유형

가정 13.6 8.0 6.2 17.3 - 17.2 12.9 12.9 - - - 17.2 국공립 12.7 8.9 6.8 5.7 - 16.6 14.2 6.6 7.4 5.1 - 18.7 민간 17.1 8.6 10.7 16.0 2.9 22.4 15.3 8.4 13.9 7.9 - 20.3 법인단체등 23.4 7.8 12.9 4.4 36.8 26.6 18.8 10.2 9.5 30.0 - 26.6 사회복지법인 17.3 7.4 16.1 15.7 25.2 11.2 5.6 8.9 10.6 - 18.1 F 2.7 0.1 0.5 1.2 2.5* 0.7 1.1 0.4 3.7* 0.8 현원 규모

20인 이하 17.7 9.2 13.1 17.4 - 21.3 33.1 17.7 14.4 20.2 - 40.2 21~39인 18.3 9.5 10.6 15.3 - 24.7 17.3 9.8 13.9 10.8 - 24.0 40~79인 10.2 5.9 3.5 12.6 - 14.9 8.5 4.5 2.8 6.8 - 11.6 80인 이상 9.8 4.7 1.7 6.1 - 12.2 5.1 3.6 2.3 1.1 - 8.2 F 5.4** 2.5 0.9 1.1 5.1** 28.1*** 24.6*** 2.2 3.8* 29.9***

주: 영아반/유아반 이용 아동 수 중 다문화가족, 한부모가족, 조손가족, 외국인노동자, 난민 자녀 비율을 의미함.

자료: 본 연구를 위한 「영유아 희소 농어촌 보육교육 통합 지원 방안을 위한 어린이집 조사」 결과임.

* p < .05, ** p < .01, *** p < .001.

한편, 유아반은 이용 아동 중 취약가족 자녀는 20.2%로 영아반과 거의 비슷한 수준이었다. 유형별로는 다문화가족 자녀 14.8%, 한부모가족 자녀 7.8%, 조손가 족 10.2%, 외국인 노동자 자녀 9.2%이다. 유아반 중 취약가족 자녀 비율은 지역규 모나 현원 규모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다문화가족 자녀는 면지 역이거나 20인 이하 소규모 어린이집에서 유의하게 많았다. 한부모가족 자녀 비율 도 소규모 어린이집에서 통계적으로 높았다. 외국인 노동자 자녀 비율은 면지역이 거나 법인단체 등, 소규모 어린이집에서 유의하게 많았다.

영유아 인구 희소 농어촌 지역 보육·교육 서비스 통합 지원 방안 연구

118

나. 연장반 운영

조사에 참여한 농어촌 어린이집 중 연장보육반을 운영하는 어린이집은 81.8%, 야간연장보육을 운영하는 어린이집은 16.7%이었다. 가장 늦게 하원하는 아동이 오후 7시 이전인 결과로 볼 때 어린이집을 늦은 시간까지 이용하는 아동이 많지 않음을 알 수 있다.

<표

Ⅳ-1-3> 연장형보육 운영 현황

단위: %(개소)

구분 연장보육반 야간연장보육 (수) 구분 연장보육반 야간연장보육 (수)

전체 81.8 16.7 (401)

권역 기관 유형

강원권 84.4 9.4 ( 32) 가정 82.4 16.8 (131)

경기권 86.8 20.9 ( 91) 국공립 87.1 12.9 ( 62)

경상권 78.5 17.8 (163) 민간 85.6 21.2 (146)

전라권 75.5 20.4 ( 49) 법인단체등 67.9 7.1 ( 28) 충청권 86.4 9.1 ( 66) 사회복지법인 64.7 11.8 ( 34)

Χ2(df) 5.1 5.7 Χ2(df) 13.0* 5.2

지역 규모 현원 규모

읍 지역 83.6 19.7 (183) 20인 이하 76.8 15.3 (190) 면 지역 80.3 14.2 (218) 21~49인 79.8 14.0 (114)

Χ2(df) 0.7 2.1 50~79인 91.4 24.1 ( 58)

80인 이상 97.4 20.5 ( 39) Χ2(df) 13.4** 3.6

주: 운영 비율을 의미함.

자료: 본 연구를 위한 「영유아 희소 농어촌 보육교육 통합 지원 방안을 위한 어린이집 조사」 결과임.

연장보육반은 강원나 경기, 충청권에서 운영한다는 비율이 높고, 읍면 지역은 차 이가 없으며, 국공립이나 국공립, 민간, 가정 등 정부로부터 인건비를 지원받는 어 린이집, 50인 이상 어린이집에서 연장보육반을 운영하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 다. 야간연장보육반은 경기이나 전라권, 읍면지역, 민간, 50인 이상 어린이집에서 운영한다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연장보육반을 운영하는 경우 운영 반 수는 평균 2.2개반이며, 연령별로는 0세반 평균 0.4개, 영아반 평균 1.2개, 유아반 평균 0.6개 반이었다. 연장보육반은 국공 립이거나 80인 이상 규모가 큰 어린이집에서 많이 운영하고, 0세반은 가정과 20인 이하 소규모, 유아반은 사회복지법인과 80인 이상 규모가 큰 어린이집에서 운영하 는 반이 유의하게 많았다.

Ⅳ. 농어촌 어린이집·유치원 운영 현황과 요구

<표

Ⅳ-1-4> 연령별 연장보육반 운영 현황

단위: 개(개소)

구분 반 수 교사 수

0세반 영아반 유아반 전체 평균 표준편차 최대값 (수)

전체 0.4 1.2 0.6 2.2 1.0 0.8 5.0 (328)

권역

강원권 0.4 1.3 0.4 2.2 1.0 1.2 5.0 ( 27)

경기권 0.5 1.1 0.6 2.2 1.0 0.7 3.0 ( 79)

경상권 0.3 1.2 0.5 2.0 1.0 0.6 3.0 (128)

전라권 0.6 1.6 0.7 2.9 0.9 0.9 4.0 ( 37)

충청권 0.4 1.2 0.6 2.3 0.8 0.7 3.0 ( 57)

F 1.1 1.8 1.1 2.2 0.7 - -

지역 규모

읍 지역 0.5 1.3 0.6 2.4 1.2 0.9 5.0 (153)

면 지역 0.4 1.2 0.5 2.1 0.8 0.6 2.0 (175)

t 3.7 2.1 0.1 3.6 20.9*** - -

기관 유형

가정 0.7 1.1 - 1.9 1.0 0.5 2.0 (108)

국공립 0.4 1.5 0.9 2.8 0.9 0.9 5.0 ( 54)

민간 0.3 1.3 0.7 2.3 1.1 0.8 4.0 (125)

법인단체등 0.1 0.9 0.8 1.8 0.5 0.5 1.0 ( 19)

사회복지법인 0.3 1.0 1.0 2.4 0.9 1.0 4.0 ( 22)

F 8.9*** 1.7 26.2*** 3.8** 2.4 - -

현원 규모

20인 이하 0.6 1.1 0.1 1.8 0.8 0.5 2.0 (146)

21~49인 0.3 1.2 0.6 2.2 0.8 0.7 3.0 ( 91)

50~79인 0.2 1.4 1.0 2.7 1.2 1.1 5.0 ( 53)

80인 이상 0.3 1.5 1.4 3.2 1.5 0.8 3.0 ( 38)

F 5.1** 2.0 58.4*** 11.7*** 12.7*** - -

자료: 본 연구를 위한 「영유아 희소 농어촌 보육교육 통합 지원 방안을 위한 어린이집 조사」 결과임.

** p < .01, *** p < .001.

한편, 연장보육반 전담 교사는 평균 1.0명으로 연장반 수에 비해 크게 부족하였 다. 연장반 전담교사 채용의 어려움으로 기본보육반 담임교사가 연장반까지 담당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읍면지역이 면지역보다 많고, 규모가 큰 어린이집일수록 교사수가 유의하게 많았다.

<표 Ⅳ-1-5>는 연장보육반 전담교사 미채용 시 기본보육반 교사에게 지급하는 수당을 조사한 것이다. 교사 1인당 월 평균 4.2만원을 지급하고, 어린이집이 연장 보육반 초과 근무수당으로 월 평균 18.8만원을 지출하였다. 교사 1인당 추가 근무 수당은 지역이나 어린이집 유형 및 규모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지만, 월 총 지출액은 20인 이하 어린이집이 유의하게 적었다.

영유아 인구 희소 농어촌 지역 보육·교육 서비스 통합 지원 방안 연구

120

<표

Ⅳ-1-5> 연장보육반 추가 근무 수당

단위: 만원(개소) 구분 교사 1인당 월 총 지출액 (수) 구분 교사 1인당 월 총 지출액 (수)

전체 4.2 18.8 (207)

권역 기관 유형

강원권 5.5 14.2 ( 16) 가정 4.7 7.7 ( 65)

경기권 2.1 15.2 ( 51) 국공립 4.5 31.9 ( 37)

경상권 5.0 20.6 ( 72) 민간 3.5 23.5 ( 78)

전라권 4.4 19.2 ( 26) 법인단체등 2.1 13.3 ( 13)

충청권 4.5 21.7 ( 42) 사회복지법인 6.2 15.1 ( 14)

F 0.9 0.2 0.5 1.8

지역 규모 현원 규모

읍 지역 3.9 18.3 ( 96) 20인 이하 4.0 6.9 ( 93)

면 지역 4.4 19.3 (111) 21~49인 4.0 30.3 ( 57)

t - - 50~79인 3.9 27.4 ( 34)

80인 이상 5.6 26.0 ( 23)

0.2 3.5*

자료: 본 연구를 위한 「영유아 희소 농어촌 보육교육 통합 지원 방안을 위한 어린이집 조사」 결과임.

* p < .05.

다음은 어린이집 재원 아동 중 가장 늦게 집으로 가는 아동의 하원시간을 알아 본 것이다. 18시에서 18시 30분 사이가 28.2%로 다수를 차지하고, 다음으로 18 시 30분에서 19시 사이가 21.2%, 나머지는 14~20% 사이이었다. 연장보육 시간 이후 남아 있는 아동은 14.5% 정도이다.

권역별로는 경기는 18시 30분에서 19시 사이가 다수를 차지하나, 충청권과 경 상권은 이보다 이른 18시에서 18시 30분, 전라는 18시 이전이 다수를 차지한다.

지역별로는 18시에서 18시 30분 사이가 다수이다.

<표

Ⅳ-1-6> 가장 늦게 하원하는 아동 1

단위: %(개소)

구분 권역 지역규모

강원 경기 경상 전라 충청 읍 지역 면 지역 전체

18:00 이전 25.0 15.4 19.0 30.6 12.1 15.8 21.6 19.0

18:01~18:30 25.0 19.8 29.4 22.4 42.4 24.6 31.2 28.2

18:31~19:00 31.3 22.0 19.0 18.4 22.7 23.5 19.3 21.2

19:01~19:30 12.5 22.0 18.4 8.2 16.7 18.0 16.5 17.2

19:31 이후 6.3 20.9 14.1 20.4 6.1 18.0 11.5 14.5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수) (32) (91) (163) (49) (66) (183) (218) (401)

Χ2(df) 29.0(16)* 7.2(4)

자료: 본 연구를 위한 「영유아 희소 농어촌 보육교육 통합 지원 방안을 위한 어린이집 조사」 결과임.

Ⅳ. 농어촌 어린이집·유치원 운영 현황과 요구

기관 유형별로는 법인단체등과 사회복지법인은 18시 이전, 나머지는 18시에서 18시 30분이 다수를 차지한다. 현원규모별로는 50인 미만 구간은 18시에서 18시 30분, 그 이상은 18시 30분에서 19시 사이가 다수이다.

<표

Ⅳ-1-7> 가장 늦게 하원하는 아동 2

단위: %(개소)

구분

기관 유형 현원 규모

가정 국공립 민간 법인

단체 등

사회복지 법인

20인 이하

21~49 인 이하

50~79 인 이하

80인 이상 18:00 이전 13.7 16.1 17.1 46.4 29.4 21.1 24.6 8.6 7.7 18:01~18:30 26.0 41.9 24.0 32.1 26.5 27.9 30.7 31.0 17.9 18:31~19:00 22.9 22.6 20.5 10.7 23.5 18.4 17.5 34.5 25.6 19:01~19:30 22.9 8.1 18.5 7.1 14.7 20.0 14.0 10.3 23.1 19:31 이후 14.5 11.3 19.9 3.6 5.9 12.6 13.2 15.5 25.6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수) (131) (62) (146) (28) (34) (190) (114) (58) (39)

Χ2(df) 37.6(16)** 24.6(12)*

자료: 본 연구를 위한 「영유아 희소 농어촌 보육교육 통합 지원 방안을 위한 어린이집 조사」 결과임.

다. 등하원 차량 운영

농어촌 지역은 거주지역의 산발성과 원아 모집 등의 이유로 등하원 차량을 운영 하는 어린이집이 많다. 조사에 참여한 어린이집 중 79.3%가 등하원 차량을 운영하 고, 차량 수는 평균 1.3대로 최대 4대까지 운영하고 있었다. 권역별로는 전라권이 나 강원권, 면지역, 사회복지법인어린이집이거나 규모가 클수록 운영하는 비율이 높았다. 차량 수는 사회복지법인이 평균 1.5대로 가장 많고, 80인 이상이 평균 2대 로 유의미하게 많았다.

<표

Ⅳ-1-8> 등하원 차량 운영 여부 및 차량 수

단위: %((개소)

구분

차량운영 여부 차량 수 차량 형태 차량 운전자

운영 (수) 평균 표준 (수)

편차 최대값 자차 지입 기타 원장 차량 기사 기타 전체 79.3 (401) 1.3 0.5 4.0 95.9 6.6 0.6 50.3 57.5 4.1 (318) 권역

강원권 90.6 ( 32) 1.2 0.4 2.0 100.0 - - 27.6 86.2 - ( 29) 경기권 73.6 ( 91) 1.3 0.6 4.0 94.0 11.9 1.5 44.8 64.2 6.0 ( 67) 경상권 74.8 (163) 1.3 0.5 3.0 97.5 5.7 - 63.1 41.8 2.5 (122)

영유아 인구 희소 농어촌 지역 보육·교육 서비스 통합 지원 방안 연구

122

자료: 본 연구를 위한 「영유아 희소 농어촌 보육교육 통합 지원 방안을 위한 어린이집 조사」 결과임.

** p < .01, *** p < .001.

차량 형태는 자차가 95.9%, 지입 6.6%, 기타가 0.6% 순으로 대부분 자차를 운 영하였다. 지역이나 어린이집 유형별로도 자차를 운영하는 어린이집이 다수를 차 지하였다. 50~79인과 80인 이상은 1대 이상 운영하기 때문에 지입 비율이 각각 15.7%, 22.2%로 높았다.

차량 운전자는 차량기사를 별도로 배치하는 경우가 57.5%이고, 원장이 직접 운 영하는 어린이집도 50.3%로 높았다. 대부분 차량기사를 별도로 두는 경우가 많지 만, 경상권과 가정, 20인 이하 어린이집은 원장이 직접 운전한다는 비율이 상대적 으로 높았다.

등하원 차량 운행 시 1일 운행거리와 운행 시간에 대해 추가적으로 알아보았다.

1일 운행거리는 평균 37.5km이고, 1일 운행시간은 135.6분으로 2시간이 조금 넘 는다. 1일 운영거리는 강원권이나 면 지역, 사회복지법인어린이집, 80인 이상 어

구분

차량운영 여부 차량 수 차량 형태 차량 운전자

운영 (수) 평균 표준 (수)

편차 최대값 자차 지입 기타 원장 차량 기사 기타 전라권 95.9 ( 49) 1.4 0.6 3.0 95.7 4.3 2.1 48.9 70.2 8.5 ( 47) 충청권 80.3 ( 66) 1.2 0.5 3.0 92.5 7.5 - 41.5 58.5 3.8 ( 53)

Χ2(df)/F 14.5** 1.7 - - - -

지역 규모

읍 지역 76.5 (183) 1.3 0.6 4.0 96.4 5.7 - 53.6 55.0 4.3 (140) 면 지역 81.7 (218) 1.3 0.5 3.0 95.5 7.3 1.1 47.8 59.6 3.9 (178)

Χ2(df)/t 1.6 0.0 - - - -

기관 유형

가정 62.6 (131) 1.0 - 1.0 97.6 2.4 - 84.1 14.6 1.2 ( 82) 국공립 80.6 ( 62) 1.2 0.5 3.0 90.0 14.0 4.0 6.0 96.0 2.0 ( 50) 민간 85.6 (146) 1.4 0.6 4.0 96.8 8.0 - 56.8 55.2 6.4 (125) 법인단체등 96.4 ( 28) 1.4 0.6 3.0 100.0 - - 22.2 88.9 7.4 ( 27) 사회복지법인 100.0 ( 34) 1.5 0.6 3.0 94.1 5.9 - 32.4 88.2 2.9 ( 34)

Χ2(df)/F 39.8*** 11.5*** - - - -

현원 규모

20인 이하 69.5 (190) 1.0 0.1 2.0 97.7 1.5 0.8 73.5 26.5 0.8 (132) 21~49인 86.8 (114) 1.2 0.4 2.0 97.0 3.0 1.0 40.4 69.7 6.1 ( 99) 50~79인 87.9 ( 58) 1.6 0.6 3.0 94.1 15.7 - 33.3 86.3 7.8 ( 51) 80인 이상 92.3 ( 39) 2.0 0.7 4.0 88.9 22.2 - 16.7 97.2 5.6 ( 36)

Χ2(df)/F 21.8*** 70.2***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