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신체지각을 통한 공간디자인 표현에 관한 연구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신체지각을 통한 공간디자인 표현에 관한 연구"

Copied!
94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2005 年 2 月 碩士學位論文

신체지각을 통한 공간디자인 표현에 관한 연구

현대건축의 유기적 현상을 중심으로

- -

朝鮮大學校 大學院

산업디자인학과

金 銀 伊

(2)

신체지각을 통한 공간디자인 표현에 관한 연구

현대건축의 유기적 현상을 중심으로

- -

A study on the expression of Space Design by physical perception

- Focusing on the organic phenomenon of modern architecture-

朝鮮大學校 大學院

산업디자인학과

金 銀 伊

(3)

신체지각을 통한 공간디자인 표현에 관한 연구

현대건축의 유기적 현상을 중심으로

- -

A study on the expression of Space Design by physical perception

- Focusing on the organic phenomenon of modern architecture-

2005 年 2 月 日

朝鮮大學校 大學院

산업디자인학과

金 銀 伊

(4)

신체지각을 통한 공간디자인 표현에 관한 연구

指導敎授 尹 甲 根

이 論文 을 碩士學位論文 으로 提出 함

2004 年 10 月 日

朝鮮大學校 大學院

산업디자인학과

金 銀 伊

(5)

의 을 함 金銀伊 碩士學位 論文 認准

審査委員長 印

審査委員 印

審査委員 印

2004 年 11 月 日

朝鮮大學校 大學

(6)

국문초록

신체지각을 통한 공간디자인 표현에 관한 연구 현대건축의 유기적 현상을 중심으로

- -

산업혁명이후 가속화된 도시공업화로 인류가 오랫동안 추구해왔던 편익의 근 대화를 이루었지만 그 반면 환경적으로는 지구촌 생태계의 평형을 위협하는 현 상이 초래되고 심리적으로는 인간성 황폐화와 상업주의적인 생활환경속에서 점 유자인 인간이 주위공간에 종속되어 비감성적으로 전락되어 가는 것이 오늘날 의 현실이다 인간은 자연을 포함하는 실재적인 공간에서 생활하고 있으며 공. 간은 우리의 일상적 경험 세계를 포함하는 신체의 세계이다 인간의 존재와 행. 위는 모두 공간적 체험에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공간의 체험은 신체적 지각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인간은 신체가 가지는 여러 가지 감각기관을 통하여 공간. 을 인식하고 공간은 체험자들의 다양한 경험과 행위를 제공하는 역할이다.

건축디자인에서도 환경과 인간 그리고 공간이라는 요소들로 구성되며 각요, 소들은 상호작용에 의해 그 존재의 의미를 가지게 된다.

현대 건축의 디자인 개념과 원리는 1960년대 이후 합리적인 원리에서 심리적 인 원리와 상징적인 원리로 변화되었다 따라서 공간의 개념은 인간성을 회복. 하고자 여러 경향 가운데 하나로 현상학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메를로. 퐁티의 현상학에서 인간의 몸은 세계를 지각하는 본질이라고 하였다 공간에. 있어서 본질은 인간이 공간을 활용하고 인식하며 인간의 생활을 담는다는 것으 로 공간디자인에서 가장 우선시 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한 측면에서 공간의 주.

(7)

체자인 인간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공간의 인간화 라는 관점에서 신체의 감각‘ ’ 기관에 의해 지각되며 이러한 지각에 공간과 인간은 상호연관성을 가지게 된 다 또한 인간은 하나의 상황에 대해서도 같은 지각을 하지 않기에 본질적으로. 지각은 다양성을 가지고 있다.

공간은 인위적인 기능이 한정된 수용일수록 그 생명력을 잃어버릴뿐 아니라 한 정된 그 기능을 수용하기에도 이미 포화상태에 이르게 될 것이다. 이러한 기 능적인 공간 탈피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은 유기적 특성의 유동성을 부여하는 것이다.

즉 인간의 신체는 공간에서 주체와 대상 즉, , ‘나와 사물 의 관계가 아니라 서’ 로 상호 작용하는 관계로 보아야 할 것이다.

공간디자인에서 신체적 지각의 특징을 이용하여 신체의 운동과 시선의 이동을 고려하여 회유동선을 만들어 주거나 빛의 유입을 이용하여 시선의 이동을 가 져오는 방식등이 있다 또한 공감각적인 요소들을 사용함으로서 더욱 활발해지. 며 감각과 기억의 혼합은 경험에 의한 기억 인식을 교란시키거나 비교할 수, 있는 내용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공간은 변하지 않는 동일한 존재가 아니라. 시간의 흐름과 함께 변화하는 존재로써 그러한 변화는 인간에게 또 다른 경험 을 제공하며 그시간성과 함께 자연적 요소의 변화를 많이 사용하기도 한다.

이러한 방식을 통하여 끊임없이 변화하는 공간의 표현이 형태적 특징들로만 인 식되지 않으며 공간과 이를 체험하는 신체는 유기적인 관계를 가지고 이러한 지각의 다양성과 이를 경험하는 사람이 함께 이해되고 그 가능성을 인정할 수 있을 것이다.

(8)

목 차

[ ]

ABSTRACT

제 장 서 1 . 론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1. --- 1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1. --- 2

제 장 공간개념의 이론적배경 및 유기적 의미 2 .

공간개념의 배경

2-1. --- 6 공간의 의미

2-1-1. --- 6 공간인식의 변화

2-1-2. --- 8 공간과 유기성의 관계

2-2. --- 10 공간의 유기적 사고

2-2-1. --- 10 유기체적 공간

2-2-2. --- 11 공간의 내부와 외부와의 관계

2-2-3. --- 12 유기적 의미 및 디자인 경향

2-3. --- 14 유기적 사고

2-3-1. --- 14 유기적 의미

2-3-2. --- 16 유기적 공간의 전개

2-3-3. --- 18 유기적 공간의 표현양상

2-3-4. --- 22

제 장 공간지각의 디자인적 요소 3 .

공간구성에 대한 사고

3-1. --- 27 사고유형

3-1-1. --- 27 사고유형의 변화

3-1-2. --- 28 공간지각의 디자인적 요소

3-2. --- 30

(9)

공간의 신체지각 요소

3-2-1. --- 30 공간의 지각과 인지

3-2-2. --- 31 이미지와 상징

3-2-3. --- 35 공간내의 신체적 지각

3-3. --- 38 공간 체험

3-3-1. --- 39 체험에 의한 이미지와 상징

3-3-2. --- 40 공간과 행동

3-3-3. --- 43 공간의 행동과 지원성

3-3-4. --- 45 신체지각의 디자인적 요소

3-4. --- 47 신체의 움직임

3-4-1. --- 48 복합적 감각

3-4-2. --- 49 기억의 지속성

3-4-3. --- 50 시간성

3-4-4. --- 51 다양성

3-4-5. --- 52

제 장4 . 신체 지각의 디자인특성 신체의 시선유도

4-1. --- 56 빛에 의한 시선유도

4-1-1. --- 58 회유동선에 의한 시선유도

4-1-2. --- 58 복합적 감각

4-2. --- 60 기억의 지속성

4-3. --- 62 경험에 의한 지각

4-3-1. --- 62 기억의 착각

4-3-1. --- 63 시간성

4-4. --- 64 자연요소의 변화

4-4-1. --- 64 오브제로서의 자연

4-4-2. --- 65 풍경으로의 자연

4-4-3. --- 66

(10)

다양성

4-5. --- 68

제 장 결 론5 . --- 70

참고문헌

(11)

그림차례

그림 베를린 극장 내부 [ 2-1]

그림 가우디의 카사밀라와 카사바트로 [ 2-2]

그림 시드니의 오페라하우스 외관 [ 2-3]

그림 베를린 필하모니 내부 [ 2-4]

그림 프랭크 로이드라이트의 낙수장 [ 2-5]

그림 자극반응의 과정 [ 3-1]

그림 알바알토의

[ 3-2] office and studio 그림 프랭크 로이드라이트의 구겐하임 [ 3-3]

그림 프랭크 로이드라이트의 구겐하임내부전경 [ 3-4]

그림 미켈란젤로의 캄피도글리오언덕 배치 [ 3-5]

그림 삼성미술관

[ 4-1] Leeum

그림 안도다다오의 빛의 교회와 화이트

[ 4-2] U

그림 삼성아동교육문화센터 [ 4-3]

그림 안도다다오의 물의 사원 [ 4-4]

그림 이토도요의 바람의 탑 [ 4-5]

그림 이토도요의 센다이 미디어 테크 [ 4-6]

그림 도미니크 페로의 공장

[ 4-7] Aplix

그림 장 누벨의 까르띠에 재단 [ 4-8]

그림

[ 4-9]

Lecture hall III , University of Alicante-Javier Garcia Solera

그림

[ 4-10]

Expo 2000 Hanover Finnish Pavilion

그림

[ 4-11]

O-Museum-Kazuyo Sejima+Ryue Nishizawa

그림

[ 4-12]

Park Cafe-Kazuyo Sejima+Ryue Nishi

그림

[ 4-13]

안도다다오의 물의 교회

그림

[ 4-14]

안도다다오의 나오시마 현대미술관

(12)

표차례

표 연구 과정 흐름도 [ 1-1]

표 유기적 공간의 시대적 흐름 변천 [ 2-1]

표 유기적 공간의 디자인적 특성 [ 2-2]

표 매슬로우 인간의 욕구의 위계 [ 3-1] ‘

표 허시버거의 환경적 의미에 대한 중제 [ 3-2]

표 신체지각의 디자인요소 특성

[ 3-3]

(13)

제 1 장 서 론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1.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2.

(14)

제 1 장 서 론 .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1.

근대 모더니즘이 이상으로 여기던 이성 객관적인 질서 보편적 공간이라는, , 규범이 해체되고 다원화 경향속에서 재구성되고 있으며 인간과 자연을 이원론, 적 관점에서 보지 않고 상호작용하는 전일론적 세계관을 유도해 내었다 부분. 과 전체가 분리 될 수 없는 유기적이고 상보적인 하나로 보는 새로운 패러다임 을 형성하고 있다.

인간은 자연을 포함하는 실재적인 공간에서 생활하고 있으며 인간과 공간을, 각각의 대상으로 볼 것이 아니라 서로간의 관계성으로 보는 시각이 필요하다.

즉 두요소 사이에는 서로 상호작용을 하는 유기적 관계가 성립한다, .

공간디자인에서 환경과 인간이라는 요소들로 구성되며 각 요소들은 상호 작 용에 의해 그 존재의 의미를 가지게 된다 공간에 있어서 본질은 인간이 공간. 을 활용하고 인식하며 인간의 생활을 담는다는 것으로 공간디자인에서 가장 우 선시 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한 측면에서 공간의 주체자인 인간의 중요성을 인. 식하여 공간의 인간화라는 관점에서 신체의 감각기관에 의해 지각되며 이러한 지각에 공간과 인간은 상호연관성을 가지게 된다.

공간은 우리의 일상적 경험 세계를 포함하는 실체의 세계로 인간의 존재와 행위는 모두 공간적 체험에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공간체험은 신체의 지각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신체는 여러 감각기관들의 결합에 의해 공간은 인식되어 지며 체험자에게 다양한 경험과 행위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공간의 지각은 자신의 체험을 바탕으로 하는 것이기에 신체적 지각의 특성을 이용하여 그 다양성을 이해하는데 필요하다 공간에서의 신체적 지각을 신체적.

(15)

대화 복합적 감각 기억의 지속성 시간성 그리고 다양성으로 나누어 보고자, , , , 한다 그 중 다양성은 이. 4가지를 모두 포함할 수 있는 근원이 된다.

다양성은 신체지각과 자신의 체험을 바탕으로 하는 것이기에 그 장소의 특정 한 지각을 일컫는다.

따라서 본 논문은 현대건축의 공간에서 신체지각으로 보고 그 특징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의 방법 1.2.

장에서는 공간개념의 이론적 배경과 유기적 의미 통해 공간에서의 유기적 의 2

미의 배경과 디자인의 경향을 살펴본다 부분과 전체가 분리 될 수 없는 상호. 연관 관계를 유기적공간에서 찾아보고자 한다.

장에서는 공간지각의 디자인적 요소를 살펴보도록 한다 따라서 공간에서 공

3 .

간의 수용자가 중요한 요소로 떠오르게 된 점을 살펴 볼 것이며 공간의 체험, 을 중요시하는 공간지각을 주지하여 신체적 지각에 끼친 영향을 알아본다.

장에서는 장에서 알아본 신체지각의 특성을 통해 신체의 움직임과 시선의 이

4 3

동을 고려한 회유동선을 만들어주거나 빛의 유입을 이용하는 방식등과 복합적 감각 공감각( ), 경험에 의한 기억 그리고 시간성을 통해 변화하는 모습을 사용하 여 그 장소적 의미의 다양성을 살펴본다.

이상과 같은 과정을 통한 결과를 종합하여 5장에서는 디자인 특성을 통해 결론 을 도출한다.

(16)

공간개념의 이론적배경 및 유기적 의미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연구의 범위 및 방법 제 장1

제 장2

제 장3

제 장4

제 장5 결 론

공간개념의 배경

공간의 의미 공간인식의 변화

공간지각의 디자인적 요소

유기적 의미 및 디자인 경향 유기적 사고 유기적 의미

유기적 공간의 전개 유기적 공간의

표현양상

공간과 유기성의 관계 공간의 유기적사고

유기체적 공간 공간의 내부와 외부와의 관계

공간구성에 대한 사고

공간구성의 사고유형 공간구성의 사고 변화

공간의 신체지각 요소

공간에서의 신체 공간에의한 지각과 인지 이미지와 상징

신체지각의 디자인적요소

신체의 움직임 복합적 성격 기억의지속성

시간성 다양성 공간내의

신체적 지각 공간 체험 공간체험에

의한 이미지와상징

공간과 행동 공간과 행동과지원성

신체지각과 디자인특성 신체적

시선유도

복합적 감각

기억의

지속성 시간성 다양성

(17)

제 2 장 공간개념의 이론적 배경 및 유기적 의미

제 1 절 . 공간개념의 배경 제 2 절 . 공간과 유기성의 관계

제 3 절 . 유기적 의미 및 디자인 경향

(18)

제 2 장 공간개념의 이론적 배경 및 유기적 의미 .

공간개념의 배경 2.1.

공간은 우주를 둘러싸고 있는 끝없이 빈곳으로 인간이 이름을 붙이기 이전부 터 시간과 함께 인간 세계를 이루는 기초적인 조건을 이루어 왔다 이러한 공. 간은 인간과 관계를 가짐으로서 인간에게 의미 있게 된다.

우리가 공간을 생각한다는 것은 이미 공간이 인간과 관련을 가지고 있다는 것 을 뜻한다 일반적으로 공간은 우리가 인식하는 것으로서 느끼는 것으로 그리. 고 인간에게 작용하는 것으로 인간과 관계를 갖는다고 볼 수 있다.

공간의 의미 2.1.1.

공간이란 인간이 공간을 창조하기 전부터 우주라는 공간속에 존재했다 인간. 이 자의적으로 공간을 창조하면서 인간은 우주라는 공간을 인간이 창조한 공간 처럼 유한한 공간으로 인식하며 공간을 철학적 과학적으로 증명하려고 하였다, . 하지만 그 우주라는 공간은 16, 17세기에 코페르니쿠스와 뉴톤의 철학에 의해 유한한 공간이 아닌 절대적인 무한한 공간으로 철학적 과학적인 공간개념으로, 전환을 이루어진다.

또한 20세기 초에 이르러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에 의해 공간과 시간은 별도의 차원이 아니라 하나의 복합적인 것으로 발전해 왔다.

이렇게 성장해온 공간은 현대에 이르게 되었다.

공간의 어원적 의미를 살펴보면 공간이란 말은 어디까지나 펴져가는 허공 의‘ ’ 뜻으로 영어로는 Space에 가깝다 영어의. Space라는 말은 Spatiium이라는 고 대어에서 유래하여 프랑스어로는 Espace, 이탈리아어로는 Spazio, 스페인어로

(19)

는 Espacio로 불리운다 독일어인. Ruimterl된다 이러한 점에 있어서. ‘Raum'이 라는 말의 의미론적인 중요성을 지나쳐서는 안된다 보다 추상적인 뜻을 가지. 는 ’Space'와는 달리 독일어의 ‘Raum’은 ‘Room’이나 프랑스어의 ‘Piece’를 의 미하고 있다. ‘Room’이라는 개념을 가르키고 있는 독일어로 된 다른 말은

또는 이다 어의 면에서 이라는 말은 이라

‘Zimmer’ ‘Kammer’ . ‘Raum’ ‘Room’

는 어의와 견주어 사용되고 있는 보다 적극적인 의미로는 공간의 유용성이라는 뜻을 함축하고 있다.1)

건축에서의 공간의 의미는 일반적으로 벽과 벽 사이 기둥과 기둥사이 바닥, , 과 천정사이에 형성된 빈(Void)곳으로서 실질적으로 건축이 조각과 다른 특성 을 갖는 중요한 매체이다 르네상스 건축에서는 예술작품 이론에 입각한 비례. 와 기하학적인 공간구성을 통해서 분석된 내용을 판단하는 것으로 투시도를 사 용하였다 투시도의 사용은 내부공간의 인지를 의미하는 것이다. .

이러한 점을 볼때 공간의 사용은 그 기원이 매우 깊은 것으로 인식되지만 실 질적으로 건물의 내부에서 보는 시점이 자유롭지 못하고 하나의 점을 보았기에 공간에 깊은 사고가 불가능하였으며 따로 공간이라는 말을 사용하여 정의하지, 못했다. 19세기에 와서 뚜렷한 건축 이론으로 연계되지 못했던 공간개념이 힐 데브란트(Hildebrand)와 쉬말소(Schmalsow)가 공간개념을 조형예술의 본질적 인 것이라는 것을 선언함으로써 근대건축가의 대부분이 중요한 화두로 여겼다.

이공간의 특성으로 공간은 건축 용기 내부에 있어서의 인간 활동의 실현 장소 로 간주되어 기능적 존재에 의한 인체의 3차원적인 확장을 의미한다 또한 공. 간개념은 미학에서 수세기에 걸쳐 시도된 미의 정의방법에 대한 공식화를 성립 시켰다.

1) Van de Ven,건축공간론 기문당, , 1985,p13

(20)

공간인식의 변화 2.1.2.

인간이 공간에 관하여 흥미를 갖는다는 것은 실존(實存)에 근거한 것이다. 그것은 인간이 환경 속에서 생(生)의 관계를 이해하고 사건이나 행위의 세계 속에서 의미와 질서를 표현하려는 요구로부터 생긴 것이다.

또한 인간행위의 대부분은 정위(定位)2)의 대상이 안과 밖, 원방과 근접, 분 리와 결합, 연속과 비연속등의 관계에 따라 배열된다는 의미에서 공간적인 측 면을 가지고 있다.

바로크 이전의 공간 개념은 ‘절대적 존재의 강력한 표현 으로 고대 그리’ 스에서는 내부공간을 무시하고 , 신전이 주변 세계를 조직하는 중심이었으며 고대 로마에서는 내부공간이 생기긴 했으나 적극적이지 못했다. 르네상스 시대 에는 투시화법 발견과 더불어 단지 한정적 공간을 표현하고자한 정적이고 개인 중심의 디자인이 나타났다.

특히 바로크 시대이후의 건축공간에는 많은 변화가 있었고 공간구성에 동적 인 면을 중시하여 서로의 요소가 영향을 미치는 장이론(場理論)이 발생하여 건 축은 또한 물리학과 깊은 관련을 보이면서 발전하였다.3)

근대에 오면서부터는 다양한 개념들이 종합되어 공간의 인식체계는 현상학, 게슈탈트의 이론, Schema개념등에 의해 그 토대가 되었다.

따라서 근대 건축은 입체와 내부공간에 의한 건축이라 할 수 있다. 근대건축 가들은 공간을 각 문화가 매체를 통하여 그 의지와 실존이 표상되는 형이상학 적 대상으로 파악하여 건축의 본질을 공간적 측면에서 새롭게 정의하였다.

근대 건축가들은 입체파의 영향을 보여주는 내 ․ 외부 상호간의 공간적 연 속성을 지니는 유동적 공간(free-flowing space)과 개방 평면(open plan) 그리 2) 정위(定位): 생물이 외계(外界)의 상태에 반응하여 그 몸의 위치 방향을 정하는 것으로 새로운 환경․ ․

사상 습관 등에 대한 적응 순응을 나타낸다.․ ․

3) 이용재 건축공간의 미학적 인식과 표현애 관한 연구. .1998.p18 홍대박사논문

(21)

고 유기적 건축의 공간 특성인 유기적 공간(organic space)등과 같은 새로운 공간 개념을 진착시켜 왔다. 그러나 그것은 인간의 지각적 차원이 무시된 보편 적, 추상적 공간이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 무엇보다도 근대 건축이 추구한 공 간 개념의 내재적 속성만을 강조하였기 때문에 그 공간의 경험 주체인 인간의 존재가 배제되었다.4)

4) 길성호 현대건축사고론 미진사. , , 1997 p61

(22)

공간과 유기성의 관계 2.2.

공간의 유기적 사고 2.2.1.

건축디자인의 원리와 근본 요소들을 예시를 통해 보면 서로 다른 구조물들, 사이의 유사성을 발견하고 시간과 공간을 반영하는 건축물들의 차별성을 설명 하고 있다.

기술된 공간 개념들을 명확히 조명하기 위해 그 자체의 역사적 문맥을 넘어 사색을 통하여 그것들이 어떻게 분석 인식 경험되는가 또 그것들이 어떻게, , , 의미있는 공간구조로 변형되는가 그것들이 어떻게 건축적 문제의 배열에 재적 용 되는가 등을 이해하려고 노력하고 있다.5)

공간에서 기준이 공간 자체의 유기성 과 공간에 있어서의 유기적 사고 의 구‘ ’ ‘ ’ 분은 유기성의 주체를 공간에 볼것인가 아니면 공간을 만들어 내는 인간으로 볼것인가 하는 점에서 출발한다 쉽게 생각해서 인간은 유기체가 자신에게 보. 다 알맞은 형태나 공간을 구성하려는 자연스러운 결과로써 존재하는 일 일것이 다 이런 생각의 연장에서 본다면 모든 공간이 일정부분 고유의 유기성을 띄고. 있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유기적 공간 이라는 테두리 내에 있는 공간의 특징은 공간이 어떤 형태로든

‘ ’

지 보다 유기적일 수 있다면 공간의 활용면에서 나쁠것이 없다.

공간을 구성하는 모든 요소들을 우리는 직접적이든 간접적이든 인식하고 경 험하게 된다 어떤요소들은 우리의 지각과 감각에 명확히 와 닿으며 다른 부분. , 은 모호하기도 하다 또 어떤 부분은 이미지와 의미를 부여하고 다른부분은 수. , 식과 한정의 역할에 그치고 만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모든경우에 있어서 요소. 들과 공간간의 통합과 상호 관련하여 서로 유기적 관계로 분석 파악하여야 한 다.

5) Francis.D.K.Ching, 황연숙 역- Architecture Form, Space and Order.국제.1999.p11

(23)

차 세계대전이후에 전개되어 온 디자인사고와 접근 태도의 변화 현상에서 2

볼 수 있듯이 주변환경과의 융합 장소성의 존중 토착적 자연재료와 전통에 뿌, , 리를 둔 형태언어의 도입 공간 및 형태를 경험하는 인간의 신체 중심성에 대, 한 새로운 인식등은 인간성 회복이라는 보편적인 요구를 반영한 것이다 장소. 성의 회복 주변환경과의 조화 지역전통의 반영등은 지역과 환경에서 쉐마 심, , , 상을 형성해 온 인간의 신체성에 대한 회복을 전제로 한 것이라는 사실을 주목 해야한다 디자이너는 공간에서 지니는 효과 구조의 영향력 뿐만 아니라 인간. 의 심상 쉐마 인지행태등과 관련된 속성들을 디자인과정에 반영하고자 시도, , ㅇ

하는 디자이너들은 인간이 개입된 공간을 추구한다.

유기체적 공간 2.2.2.

유기체적 공간은 생성에서 소멸로 유기체의 변화하는 속성을 살아있는 움직 임으로 나타내며 생존을 위한 본능적 행위로 끊임없는 교환을 하며 유동하는 움직임을 갖는다.

페르지히(Han Poelzig 1869-1926)는 계산된 목적 보다는 신비의 심연에서‘ 나오는 형태 를 강조 하였다 그는’ .

공간의 점강이라는 새로운 개념의 베를린 대극장을 건물의 내부에서 종유석 형상으로 장식된 일종의 동 굴 공간인 오디토리엄은 환상적인 공간을 이루었다 특히 원형 극장을. 동굴 공간이라는 테마뿐만 아니라 무대와 객석의 대중의 일체화 되는 연극의 공유 체험을 강조하여 심리 적으로 강압 효과를 의도했다.

그림 베를린 극장 내부 [ 2-1]

(24)

이러한 동굴공간 개념의 테마는 휜스테를린(Herman Finsterlin 1887-1973) 의 작품에서 유기체의 특권을 부여받는 거주자 라는 테마로 인간을 입방체 안‘ ’ 에서의 생활이 가져오는 관습적 제한과 도식화된 구속으로부터 자유롭게 하기 위해서 거주자는 자신이 유기체 속에서 사는 것처럼 각 기관 개개의 실들 에서( ) 기관들로 이동하며 거대한 동굴처럼 화석화 된 모체속에 들어 있음을 느낄수 있다고 강조하였다 그에게 건축은 자연의 살아있는 유기체와 같다는 것으로. 간주되었으며 디자인은 자연의 한부분으로서 유기적 인 속성을 지닌다‘ ’ . 예술 에는 생물의 탄생 및 성장과 비슷한 힘이 존재한다고 확신하고 다아윈의 자연 계의 진화에 대응한 예술의 발생론을 구축하여 유기체적이며 환상적인 형태를 만들고자 하였다.6)

유기체적 공간은 전체를 구성하는 부분들의 움직임이 하나의 커다란 움직임 으로 완성된다 이것은 곧 유기체적 공간을 구성하는 질서 체계로서 인식되게. , 하며 성장이라는 가시적인 움직임으로 표현 된다, .

공간의 내부와 외부의 관계 2.2.3.

내 외부공간이라는 개념은 인간과 건축이 맺고 있는 개념중 하나이다.․

내부공간은 인간의 생활을 위한 장치로 기능하며 다른 조형예술이 갖는 가장, 큰 차이점이라고 할 수 있다 건축과 사람의 상호작용 속에서 형성된 내 외부. ․ 공간의 개념은 밀접한 관계만큼 다양하고 넓은 의미를 지니고 있다 브루노 제. 비는 조각은‘ 3차원에서 작용하거나 인간은 분리되어 외부에서 그것을 감상할 뿐이다 건축은 인간이 들어가서 그 안에서 움직임으로 말미암아 이해되지는. 거대한 속이 빈 조각과 같은 것이다 라고 하는 것처럼 내부공간의 형성은 건축’.

의 근본적인 특성으로 드러난다 인간의 활동을 위한. 3차원적 공간이라는 점에 서는 내부에서 체험되는 공간이나 외부에서 체험되는 공간이나 동일한 물리적

6) 길성호 현대건축 사고론, p 253-257

(25)

특질을 지니고 있으나 내부공간과 외부공간은 속 이라는 단어에서 드러나는, 것과 같이 전혀 다른 공간으로 체험된다.

외부공간과 이와 대조되는 한정된 내부공간으로의 구분은 인간의 공간활동에 있어서 가장 기본적이며 이러한 사실은 적극적인 건축행위를 하지 않았던 고대 인류가 외기로부터 격리된 동굴을 피신처로 택하였다는 사실에서도 보이고 있 다.7) 외부로부터 구분된 피난처로서 내부공간을 추구하는 인간의 본능적 욕구 는 여기에서는 공간을 선택하는 행위로 드러나고 있다.

실제로 우리가 내부와 외부를 언급할 때 내부와 외부의 판단은 대상이 되는 사물과 공간의 관계에 따른다 즉 공간과 공간 경계의 관계에 주목하면 내부와. , 외부는 상대적인 개념이 되며 같은 공간이 외부오 동시에 내부로서 기능 할 수 있는 것이다.

르꼬르뷔제는 외부는 항상 내부이다 라고 하였다 멀리 혹은 가까이에 있는‘ ’ . 산들이나 높고 낮은 수평선 주위의 집들등과 같은 환경요소들이 삼차원적 입, 체의 영역을 형성한다고 언급하며 아테네의 아크로폴리스에 있는 신전들이 이, 루는 둘러 싸인 공간을 그 실례로 들고 있다.8)

7) Winand Klassen.심우갑 조희철역 서양건축사, p3

8) Le Corbusier,장성수공역 새로운 건축울 향하여.1993 p167-168

(26)

유기적 의미 및 디자인 경향 2.3.

새로운 과학이론의 발견과 환경문제의 대두는 유기적 전통을 크게 부흥시키 기에 이르러 현대의 디자인 환경은 다양한 모습으로 드러내게 되었다. 인류가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지향해왔던 과학기술문명이 오히려 인류 생존자체를 위협 하고 있다. 20세기 후반 물리학을 비롯한 자연과학 패러다임의 전환은 우리의 세계관과 환경에 대한 태도에 근본적인 변화를 몰고왔다. 자연을 인간의 요구 를 실현하기 위한 도구적 대상으로만 간주하여 과도한 자연의 개발 또는 파괴 와 관련된 많은 문제점들이 노출되어 나타났으며, 자연환경의 위기는 인류생존 의 위기로 받아지고 있다. 이러한 위기의식은 자연을 인간에 의해 보전 ․ 보호 되어야 한다는 흐름으로 발전되어 지고 있다. 결국 자연과 인간사이의 새로운 관계 정립을 위한 시도들이 이루어져야 할 것 이다.

인간의 지식의 많은 부분은 자연으로부터 비롯된 것이다. 자연을 보고 탐구 하면서 그로부터 의미를 찾아내고 그것들을 사유하여 어떤 규칙성이나 체계를 만들어간다. 이렇게 만들어진 규칙성과 체계는 다시 그 자연을 바라보는 관점 이 된다. 인간이 자연에 대해서 어떤 법칙이나 특성이라고 부르는 것들은 자연 이 전달하는 무수한 정보들 중에서 인간이 인식한 정보들을 적절히 종합 분석 하여 의미를 찾아낸것이다,

유기적 사고 2.3.1.

유기적 사고의 변화는 1890년대부터 1910년대까지 유겐스틸의 자연주의적 경 향, 즉 자연이 모든 구축형태의 원형이라는 관점으로부터 형성될 기미가 보이 기 시작했다. 그리고 그것은 자연을 신비적이고 원초적인 힘의 상징으로 바라 보는 표현주의적 경향, 구축물을 자연경관의 구성요소로 인식하여 인공환경과

(27)

그것을 에워싸는 토양 및 풍토와의 유기적 연계를 추구한 유기주의적 경향, 문 화적 전통과의 맥락을 의식한 자연주의적 경향등으로 그 개념의 발전과 확장이 이루어졌다.

이러한 자연환경은 유기체와의 상호 관계성하에서 유기체로 표현된 질서가 되고 구체적인 자연의 전체성으로서의 모습을 갖게 된다.

프로이드(S.Freud)에 따르면 인간의 본능적인 긴장감소 추구 즉, 질서에로의 욕구는 유기체를 지배하는 원리일 뿐만 아니라 그가 지니고 있는 순수하고도 근본적인 경향성이다. 생물유기체가 ‘유기적 질서 를 지향하는 것은 삶을 유’ 지하려는 본능이자, 혼돈으로부터의 회피이며, 쾌적을 향한 필사적인 대응일 뿐이다.

년경 심리학자 월터 캐논 은 자율신경체계의 조정 매커니 1930 B. (W.B.Cannon)

즘들이 유기체 내부에서 서로 대립하고 있는 힘의 균형을 통해 질서상태를 지 속시킨다는 것을 밝혀냈다. 이는 유기체 내외부의 상호교환 작용을 통해 유지 되는 생물화학적 정상상태로 그는 유기체의 이러한 자기보존 현상을 항상성(恒

이라고 명명하였다 , homeostasis) .

常性 9)

이는 유기체의 내 외부의 상호교환 작용을 통해 유지되는 상태를 통해 알수․ 있다 유기체는 능동성을 가진 존재로 그 환경과 구조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것. 이다. 환경에 대한 반응 속에서 일어나는 지속적인 구조적 변화는 그 결과로 나타나는 지속적인 적응, 학습, 발생의 유기체로서의 가장 핵심적인 특성이다.

이러한 유기체론적 사고는 결정적, 기계적, 개체적인 환원주의적인 사고에서 벗어나기 위해 비결정적 전체적인 사고가 필요하게 되었다, .

9) 권영걸 공간디자인. 16 . p144강

(28)

유기적 의미 2.3.2.

유기적 미학의 탄생은 조형표현의 통일이 일반적 또는 역사적 형식원리에서 의하지 않고 작가의 창조적 정신 그 자체의 내면형식에 있다고 보는 관점에서 탄생하였다.10)

유기적 이라는 의미는 유기체의 특성에서 연유한 복합적인 의미를

‘ (Organic)’

가지는 개념으로 Organum(라틴어), Organic(영문), Organisch(독문 등으로 표) 현되고 비슷한 뜻과 변화를 가진다. 사전적 해석에 따르면 의학적 의미로는 기관과 관련된 이라는 의미가 있으며 생태학적으로는 조직적인 계통적인 그

“ ” “ , ,

리고 구성적인 의 의미가 있으며” , 철학적으로는 “본질적인” 그리고 어원적인 의미를 갖으며 건축에서 유기적 의미는 건축분야에서 선별적으로 차용되면서, 제한 된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어떤 특정한 자연적인 법칙을 따르는 상태

1) ,

어떤 기능을 가진 인간 또는 동식물의 상이한 조직이 조합한 단위의 자연 2)

에 관한 또는 그와 관련된 상태,

다수의 조직 요소등이 모여 일정한 목적하에 전체를 이루고 서로 긴밀

3) , ,

히 관련 되어 부분과 부분 부분과 전체가 서로 떼어 낼수 없는 관계를, 가지고 있는 상태등 이라는 뜻으로 정의되어 있다.

또한 근대시기 부터 전개되어온 유기적‘ (Organic)’ 개념은 유기체라고 하는 실존적 사물에서 연유된 것이고 이는 광범위한 존재양식을 가지며 자연에 대, 한 성장과정과 변화의 속성을 바탕으로 보다 본질적인 해석으로 나타난다.

전체 없는 부분을 인식한다는 것 또는 부분을

“ .

알지 못하고 전체를 인식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 Blaise Pascal(1623~1662)

10) 지연순. 20세기 건축 세진사. .1993.p163

(29)

이와 같이 부분과 전체의 관계로 해석되는 유기적 개념은 전체가 부분들의 총체화 이상이라는 의미와 부분이 전체에 미치는 영향은 전체가 부분에 미치는 영향과 동일하다는 개념으로 해석되어 전체성의 개념이나 전체와 부분의 관계 에서 정의 되고 있다 그럼으로 가장 큰 유기체의 특징은 독자적으로 고립되어. 존재할 수 없는 주변환경과 연계를 통해 존재한다는 것이다.11)

유기적 건축은 유기체로서 공간의 구조를 갖추며 존재한다 부분과 부분의 관. 계 부분과 전체의 관계가 상호의존적 관련을 이룬것에 의해 균형이 유지되고, 일체화 되는 것 그러면서 그것에 의해 부분은 부분을 생성하고 전체는 전체로. 생생하게 존재하는 것이다.

기능주의자들이 양적 문제의 해결에 집중하는 반면 인간이 존엄 개성 그리, , , 고 정신적 의미를 지니고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건축의 문제가 양적으로 인 식되는 것만큼 질적으로 인식되는 부분도 크다는 점을 깨닫는 것이 유기적 건 축이다.12)

건축에 있어서 유기성은 유기체의 형태 사용되는 재료 내재적인 구성원리, , , 관계성등에 따라 다양한 성질을 가질 뿐 아니라 이것이 적용되는 건축에서의 형태 구성원리 관계성에서도 변별적으로 적용되어진다, , .

즉 유기체의 형태가 건축의 형태에만 관련되는 것이 아니라 보다 더 확장된, 의미에서의 공간구성원리에서도 관련 될 수 있다.

건축은 단지 단순히 내부에서 외부로 향해 만드것은

아니고 전체가 외부환경에 대응하여하나의유기체로서 작동하는 것처럼 만들 수 밖에 없다. “

알바알토

- -

건축의 유기성에 대해 라이트는 “건축에 사용된 유기적이라는 말은 전체가 부분에 대응하는 것처럼 부분이 전체에 대응한다는 것을 의미 한다 고 했다“. . 11) 유기적 건축에서의 디자인원리에 관한 유형 분석 이근택. 대한건축학회논문 권9 12P

12) Bruno Zevi.저 최종현 정영주역 공간으로서의 건축 세진사, . . .1983

(30)

헤링도 마찬가지로 ”자연에는 개개의 부분뿐만 아니라 그것의 전체가 충분히 또는 더욱 효과적으로 살아갈수 있는 것처럼 전체의 부분이 협동하고 그 결과, 로서 형태가 만들어진다 고 적고 있다“ .13)

유기성은 이처럼 부분의 존재방식 부분상호의 관계가 전체와 구별이 어렵게, 일체화 되어 있는 상태를 말한다 그 뿐만 아니라 건축의 주변환경과 건축내부. , 와의 관계에도 깊은 관계가 있다.

유기적 사고에 대한 개념은 유기적 건축(Organic Architecture)이라 불리는 범주 안에 들수 있는 발생학적 건축(Embryologic Architecture), 기원학적 건 축(Vernacular Architecture), 그리고 생태학적 건축(Ecological Architecture) 등에서 직접적으로 찾아 볼 수 있는데 이들 유기적 건축은 기본적으로 자연을, 그 중심에 두지만 진정한 의미에서의 유기성은 자연의 모방에 있는 것이 아니 라 자연의 원리를 이해하고 이를 건축적 의미나 언어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찾, 아야 한다 이는 하나의 통일된 역사상의 집단이 아니라 그들이 하나의 유용한. 개념으로 건축가 집단의 감각을 만들고 서로를 연결시켜 준다 유기적 건축은. 역사상의 특정한 시기를 형성된 운동이라기 보다 유기적 질서를 건축에 구현한 다는 공통된 하나의 개념으로 연계되는 것이다.

오늘날 유기적 건축이라 규정지어진 것은 자연과 생명의 조화속에서 디자인 의 원리를 찾아 내어 자연의 상태를 형상화 하는 내용을 구조 시스템과 형태에 반영시킨 것을 시작으로 내부와 외부공간의 관입 수직과 수평의 상호 연관 관, 계 및 연속과 확장 반복 및 대립의 관계로 이어지며 각각의 개체가 결합되며, , 일체로 표현된다는 개념을 표현한 건축을 말한다.

유기적 공간의 전개 2.3.3.

13) 20세기 건축의 공간/세오 후미아키48p

(31)

가 발생 배경 ( )

세기 중엽에서 세기까지 건축가들에게 있어서 산업혁명과 사회혁명의

18 20

결과는 다양한 기능을 지닌 새로운 유형의 건축관을 요구하게 되었다 이러한. 사회적양상은 건축과 예술분야에서 기계와 자연에 대한 디자인원리를 찾고자 하였다. 이러한 시각에서 19세기의 예술과 수공예운동(Art & Crafts 건축과 조형예술 분야에서 차원의 형태전개를 유기적이고 파동치

Movment), 3 ,

는 선형의 리듬으로 구조와 장식의 혼합을 만들어낸 아르누보(Art Nouveau), 세기의 표현주의 까지의 태도에서 찾을수 있다 그러나 이러

20 (Expressionism) .

한 분류의 태도는 다만 장식이나 형태의 표현에 국한되어 나타났다 즉 유기체. 의 성장과정보다는 유기체의 조직의 세부구조나 현상에 관심을 갖고 전개되었 다.

나 전개 ( )

년대 후반부터 기능적 추구가 합리적 기능주의와 공업주의 건축의 확실 1920

한 토대를 설정하여 건립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1930년대에 들어 인간을 자 연의 일부로서 간주하고 자연의 원리에 대한 본질적 해석을 전개시킨 미국과 북부 유럽에서 낭만주의의 경향을 띤 건축가들에 의해 유기적 개념은 계승 발, 전되었다 또한 이시기의 보편적 건축성향으로서 국제주의 양식과 양립될 수. 있는 경향으로 전개되어 아르누보는 미국의 루이 설리반(Louis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

Sullivan.1856-1924), (Frank L. Wright.1869-1959), 독일의 헤르만 무테지우스(Hermann Muthesius, 1861-1927), 멘델슨(Erich

휴고 헤링 해 한스 샤로운

Mendelson 1887-1953), (Hu Haring), (Hans 등으로 계승되면서 유기적 기능주의를 표명케 하였다

Schroun 1893-1972) .

한편 스칸디나비아 반도에서는 낭만적 풍토주의의 영향으로 엘리엘 샤리넨 의 핀란드관을 통하여 알바알토 에게 (Eliel Saarinen, 1910-1961) (Alvar Aalto) 영향을 미쳤다 특히 알토 건축은 인간의 기능적 심리적 문제해결로부터 출발. ,

(32)

하며 정적인 건축 보다는 생태적인 조형감을 살렸으며 자연의 유기적 생명체, 의 다양성과 성장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의미에서 기디온(Sigfrid Giedion)은 년대부터 나타난 알토의 작품을 근대시대에서 발전한 합리적 기능적인 것

1930 ,

과 비합리적 경험적( ), 유기적인 것으로 보고 그의 작품에 담겨져 있는 에너지, 의 내면적 근원을 인식하였다.

다 현대적 양상 ( )

필립 드류(Philip Drew)에 의하면 “ 1제 세대 건축가들은 낭만적이고 기하학적 형태와 유기적이고 신비적 형태의 공존으로 특징 지워지며 이러한 특징은 제, 3 세대 건축가들과 달리 어떤공동의 목표를 설정란 것이 아니라 다양한 인간의 생활과 환경에 맞는 건축을 지향하면서 각자의 이론과 작품을 다양하게 전개시 키는데 있다고 주장하였다.14)

년대 이후 전개된 건축적 상황은 인간소외 각 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지

1950 ,

역성과 개성의 강조 환경파괴에 대처하여 인간과 환경의 상호보완적 관계를 구 축하고자 하였으며 여러 그룹들에 의해 시도되었다 이러한 시도는 유동성 성, . , 장 및 변화를 주요 테마로 생명체의 특성을 건축에 반영시킨 아키그램 메타볼리즘 등으로 전개되어 일시적인 전위운동으로 (Archigram), (Metabolism)

나타난 후 인간의 요구를 보다 직접적으로 생물적 환경에 수용하려는 추세가 건축적 맥락을 이루게 되었다.

또한 1970년대 후반부터 유기적 개념은 그 기반의 중요성이 인식되면서 풍 토주의 지역주의 맥락주의 등의 개념속에서 건축적 개념으로 형성되었다, , .15)

그후로 등장한 환경친화적 디자인 개념이 요소환원주의에 입각한 모더니즘적 경향을 띠고 있는 반면 생태학적 디자인은 1990년대에는 자연환경과 에너지 효용을 고려한 입지선정 건물계획 건물형태 배치계획 재료의 선택 공간계획, , , , , ,

14) 필립드류(1983) 3제 세대 역 서울 기문당( ) : pp13-15

15) Sigfried Giedion(1984), 공간 시간 건축 최창규 역 서울. . , ( ) : 산업도서 출판공 p.202-204

(33)

그리고 내부의 기능연계 건축기술체계와 수목과의 연계 및 이용등의 미학적, 측면과 환경계획적인 측면 모두를 포함하는 환경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건축 적 경향을 전개 시켜나갔다. 이후 전일적 사상 생태적 세계관과 그 맥을 함께, 하고 있으며 모더니즘과의 차별적 의미에서 포스트 모더니즘적 경향 을 띤다고‘ ’ 볼수 있다.

최근들어 생태학적 환경친화적 지속가능한 건축을 표방하면서 등장한 녹색, , , 건축(Green Architecture), 환경건축(Enviromental Architecture), 자연건축

지구건축 생기후 건축

(Nature Architecture), (Earth Architecture),

경관 건축 이 있으며 그

(Bioclimatic Architecture), (LandscapeArchitecture) , 린디자인(Green Design), 지속가능한 개발 (Sustainable Development), 환경 공생주택 환경친화적 건축등도 다양한 생태건축적 흐름들로 이해될수 있다, .

양식 유기적 경향 건축가

태 동 기

예술과 수공예 운동

건물과 자연경관을 연결 역사적 양식의, 혼합보다는 형태적으로 적합한 역사적 양식을 이용

John Ruski August WPugin William Morris

아르누보

역동적 선의 유기적 장식을 지향하고 창조의 모티브를 자연물의 성질과 움직임에서 모색

H.Van de Velde H.P. Berlage Antoni Gaudi 표현주의 상징적이고 낭만적인 의장적 접근과

비합리적 태도

Rudolf Steiner Eric Mendelsohn

민족적 낭만주의

어떠한 규칙이나 법칙의 종속보다는 성장과 적응의 생물학적 변화를 추구하여 환경과 끊임없이 적응해가는 특성

Gunnar Asplund Eliel Sarinen

(34)

유기적 공간의 표현양상 2.3.4.

가 자연형태와 유기체의 모방 ( )

자연의 특성과 구조를 사실적이고 직접적으로 받아들이고 특히 자연의 형태, 를 디자인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자연과 유기체의 형상을 직접적으로 모방하는 것이다.

건축분야에서 형태나 형식의 표현은 모방의 대상이 된 자연형태와 현상과의 관계에서 디자이너의 정신 작용을 통하여 대상이 개성화되어 상징으로 나타남 으로써 유기적 전체의 시각적 외형이나 구성으로 되는 것을 의미한다.

슁글 스타일 생동감이 넘치는 선적 표현에 의한 장식이나 형태표현

Henry Hobson Richardson Louis Sullivan

형 성 기

프레리 스타일

미국의 주택에서 보여지는 건축원리를 이용하여 자연에 적응하는 대지에 뿌리박은 유기적 건축원리 표현

Flank Lloyd Wright

유기적 기능주의

건물을 살아있는 유기체로 강조하고 건축의 일반화 비인간화를 거부하고 개인의, 행동패턴을 내포한 쉘터로 인식

Hugo Haring Hans Scharoun

-

핀란드의 자연환경의 제요인을 건축으로 형상화하고 성장 적응의 유기적 원리를 건축으로 표현함

Alvar Aalto

발 전 기

환경주의 건축과 도시의 생태학적 이론 John Andrews James Stirking

맥락주의 주변환경에 적합하도록 반응 자신과 주위환경을 조정

Locien Kroll Aldo Rossi Jorn Utzon

메타볼리즘

변화와 성장이라는 유기체의

생명시스템으로 생물적 유추에 입각한 건축개념

Kisho Kurokawa Yona Friedman

즉흥주의 미국의 대초원을 배경으로 도시문명을 자연적 은유를 통해 변모시키려함

Paolo soleri Bruce Goff Hebert Green 표

[ 2-1 유기적 공간의 시대적 흐름 변천]

(35)

가우디(A. Gaudi)는 자연과 유기체의 형상을 있는 그대로 적용한 건축가로서 구엘공원 성가족 성,

당, 카사바틀로등의 유기적 디자인 형태 를 볼 수 있다.

에 로 샤 리 넨 의 항공사도 외부 TWA

의 형태에서 새모양 의 형상을 인지할

수 있으며 피에틸라의 칼레바교회는 기능을 상 징화한 건물로 초기 기독교의 기호인 물고기의 구조가 평면으로 직설적으로 표현되어 있다 이러한 형태가. 내포하고 있는 이미지와 연상 그리고 이것이 주는 심리적효과를 중시하는 건축 적 사고는 상징성의 개념을 연상시킨다.

자연형태나 유기체의 형태의 모방은 유기적 형태의 표현주의적 경향과 감각 적 건축을 지향하며 상징적 의미를 부여하려는 디자이너들의 디자인 표현의 자 유를 주안점으로 하여 프로그램이나 기능적 보다는 상징적인 면에 치중하는 경 향을 엿볼수 있다.

나 자연의 도입 표현 ( )

외부의 자연조건에 순응하며 내부에 인공적인 자연환경을 적용하여 외부공간 과 내부공간의 유기적 연대를 형성하게 된다.

요른 웃존(Jorn Utzon)이 설계한 오페라하우스는 자연에서 유추된 상징적 의 미를 형태구성 원리로 채택하고 주변경관과의 완전한 조화를 추구하였다.

또한 한스샤로운의 베를린 필하모니 홀의 설계에서는 자연지형을 건물내부에 서 연상되도록 평면구성에서는 연주홀을 중심으로 그 외부에 부여된 보조 부분 들이 통일되고 집중된 오디토리움 구성과 공간이 복합적이며 분절된 로비의 대

그림 가우디의 카사밀라와 카사바트로 [ 2-2]

(36)

조감이 나타난다.

다 기능과 형태의 유기적 통일 ( )

형태와 기능의 통합성 은 형태는 기능이 어떠한 것인지를 알게 해주는 매개"

체이다 기능은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문화적 그리고 정신적 원인과 활동을. , , , ,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진다 자연의 유기체의 본질적인 형태는 자연환경에. 놓여진 지형 기후 지질등 자연과의 조화를 파괴하지 않도록 형태미를 추구하, , 여 주변환경과 통합을 지향한다 인간과 건축을 자연의 한 유기체로 파악하는. 생물학적 유추를 바탕으로 디자인에 적용한다.

프랭크 로이드라이트의 낙수장은 기능과 형 태의 유기적 건축으로 자연과의 조화를 통하 여 근대이후 가장 이상적으로 표현되었다고 평가받고 있다.

휴고헤링의 구트 가르카우 농장의 평면구성 은 순환패턴의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여 형태 를 이루고 있다.

부루스 고프의 베빙거 하우스는 나선형의

그림

[ 2-5] F.L.Wright의 낙수장 그림 베를린 필하모니 내부 [ 2-4]

그림 시드니의 오페라하우스외관 [ 2-3]

(37)

상승하는 공간이 주변의 바위를 그대로 일층바닥에 노출시키면서 바닥마감 혹 은 천정높이에 변화를 주었다.

유기적 디자인 분류 유기적 디자인 특성

자연형태와 유기체의 모방

자연의 특성과 구조를 사실적이고 -

직접적으로 활용

자연과 유기체의 형상을 직접적으로 모방 -

유기적 형태를 작가의 주관에 맞게 디자인 -

적용

자연의 도입 표현

자연과 유기체의 본질적 형태를 발전 -

인간과 건축을 하나의 유기체로 파악하여 -

생물학적 유추를 통한 창조의 본질을 찾음 유기주의 내지 유기적 디자인에 관한 포괄적 -

개념을 지님

기능과 형태의 유기적 통일

외부자연을 통합하고 그 위에 외부공간을

- ,

내부 공간까지 도입

자연의 재료를 직 간접적으로 활용하여

- ,

환경과 조화로운 유기성을 표현

[ 2-2] 유기적 건축의 디자인적 특성

(38)

제 3 장 공간지각의 디자인적 요소

제 1 절 . 공간구성에 대한 사고 제 2 절 . 공간지각의 디자인적 요소 제 3 절 . 공간의 신체지각

제 4 절 . 신체지각의 디자인적 요소

(39)

제 3 장 공간지각의 디자인적 요소 .

공간구성에 대한 사고 3.1.

사고 유형 3.1.1.

공간에서 구성(Composition)이란 2차원에 공간 조형하는 것으로 눈으로 보, 는 대상의 관계들을 조형하는 사고에 의하여 회화적으로 질서를 잡는 구도적인 의미였다 이것은 요소들을 파악한 후 조형공간을 재구성하여 질서에 자연을. 실증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오늘날 구도의 뜻은 구성으로까지 확대하여 생각하 게 되었다.

공간을 구성하는 요소들을 조형적 사고에 의하여 관계들의 질서를 부여함으 로써 전체를 이루는 것을 말한다 그러므로 어떠한 조형적 사고를 하느냐에 따. 라서 공간구성의 결과물이 달라진다.

또한 공간구성의 의미는 이해의 방법에 따라 적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건, . 축에서의 이해는 과정으로서의 건축 과 결과로서의 건축 에 대한 이해의 입장으‘ ’ ‘ ’ 로 대별되며 구성에 대해서는 각각 의미론적 태도와 기호론적 태도를 취한다.

따라서 과정으로서의 건축은 활동성과 방향성에 의해 형성되는 이해 경험 표현- - 의 과정을 체계로써 건축을 이해하는 입장으로서 전체론적이거나 유기적 관점 의 건축이론을 포함하나 결과로서의 건축은 표현의 결과로서 표출된 형태의, 물질적 체계로써 건축을 이해하는 입장이며 형태의 분류학적 접근과 심리학적 이론을 포함한다고 하겠다 따라서 공간구성의 측면에 있어 과정으로서의 건축. 은 내용과 형식 부분과 전체의 유기적 인식에 근거한 관련성과 인과관계 그리, 고 체계의 형성을 추구하나 결과로서의 건축은 형태요소의 상관성에 대한 미, 학적 이해와 의미에 대한 정보 전달적 인식에 근원을 둔 물질적 형태구성을 의 도하게 된다.16)

(40)

르네상스의 고전주의적 전통은 근대 이후의 일반적인 보편개념으로 인식되어 온 실체론적 건축관 으로 발전되었고, 현대에 이르러 세계의 구조와 과학 철학- 적 지식에 대한 새로운 인식으로 인하여 과정으로서의 공간구성에 대한 체계적 접근의 중대성이 증대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사고 유형의 변화 3.1.2.

근대의 모더니즘에서 현대의 포스트모더니즘의 시대를 거치면서 디자인에 대 한 디자이너의 사고방식에도 변화가 생겼다. 디자인 방식이 물리적인 형태보다 는 사용자 경험의 동적인 과정에 더 초점을 두게 되었다. 즉, 결과 중심적 디 자인에서 과정 중심적 디자인으로의 변화를 의미한다.

년대를 분기점으로 하여 합리적 원리에서 심리적 원리와 상징적 원리로 1960

변화되었으며, 따라서 디자인의 본질적 과제도 ‘공간과 그 형식의 구현, 형태 와 표면의 창조, 기능의 분석과 그 구성 개념들의 체계화, 새로운 구조 개념 과 기술적 가능성의 표현’ 등에서 벗어나 건조 환경에 반응하는 인간 행태의- 상호작용의 측면에서 ‘인간 행태를 위한 소환경(setting for human

이라는 시각에서 검토되어 왔다

behavior)' .17) 즉, 인간의 경험적 속성에 바탕 을 둔 디자인으로의 접근을 하기 시작했다.

환경과 인간의 경험현상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인지의 개념을 사용하였으 나, 실제적으로 인간의 체험 구조를 중시하는 많은 사고의 변화는 디자인 행위 의 바탕이 되었다. 인지(Cognition)는 정위18) 또는 이미지 형성19)등으로 정의 16) 정의용,「총체적 접근 방법에 따른 건축구성에 관한 연구」, 계명대 박론, 1991, p52

17) 길성호,「현대건축사고론」, 시공문화사, 1999, p331

18) 지리학에서 인지를 인간이 지리적 환경특성의 상대적 위치와 속성에 대한 정보를 수집 조직 저, , 장 회상 해독하는 과정이라고 정의한다, , . (Downs & Stea)

19) 환경 심리학에서는 인지의 개념을 현재 존재하지 않는 비가시적 환경의 특징에 대한 이미지의 저 장 조직 재구성 및 회상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 . (C.T.Hollain)

(41)

하고 있다.

환경인지를 사람들이 환경을 이해하고 구성하며 학습

하는 방식과 그 환경을 항해하기 위해 인지 지도 는 사람이 환경에 대해 갖는 구체적 (Cognitive map)

인 특정의 공간적 이미지로서 주로 공간 형태에 영향 을 준다” -레포포트(A.Rapoport)-

어떤 행동과학자들은 인지에 의해 행동에 동기를 부여하고 강화시키는 자극 패턴의 형식으로 환경의 영향력이 산출물을 결정하도록 개개인을 통해서 작용 한다고 한다. 즉, 공간 형태에 적절한 인지적 배경은 적절한 의미를 전달하도 록 디자인 된 환경적 소환경과 단서들에 의해 제공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인지 적 이미지는 형태적인 경험에 의미를 부여하며 형태를 조절하기 때문에, 인지 와 행태는 공간경험에서 불가분의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42)

공간지각의 디자인적 요소 3.2.

공간의 신체지각 요소 3.2.1.

공간과 인간의 관계성은 공간과 형태를 경험하는 방식에서 신체가 어떠한 의 의를 지니는가 하는 문제와 관계된다. 공간은 그 자체로서 지각될 수 없고, 오 로지 형태의 네거티브(negative)로서만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인간은 자신의 감각기관의 한계 내에서 오직 실존을 통한 공간의 유추를 경험할 뿐이다. 공간 의 인상은 수많은 단편화된 공간경험의 통합을 통하여 형성된다.20) 공간과 인 간의 관계성 측면에서 공간과 형태를 경험하는 방식에서 신체가 가지는 의미는 인간이 자기중심으로 세계를 측정하고 질서를 세워나가면서 많은 의미를 만들 어 내는 개인적인 세계의 원천이라는 것이다. 즉, 인간은 공간 속에서 자기 자신의 세계를 구축하며, 자신의 신체를 매개로 주위 세계와 끊임없이 상호 교 류를 통하여 자기 자신을 확인하게 된다 이러한 인간이 자신의 신체를 중심으. 로 인식하는 실존적 공간을 가지게 된다.21)

신체는 공간과 인간의 정신이 만나는 매개체로서 모더니즘 건축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현대 건축의 영역에서 인간성을 회복하고자 하는 한 모습이다.

이렇게 공간디자인에 있어서 공간의 주체자인 인간의 능동적인 참여가 매우 중 요한 요소로 자리를 잡고 있다 이것은 다양한 방법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그중. 에서도 수용자의 해석 바탕으로 나타나 있다고 볼 수 있다 왜냐하면 수용자의. 해석과 경험구조는 자연적 환경 문화적인 조건과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음을,

20) 슐츠(C.N-Schulz)는 인간이 가지고 있는 공간개념을 가지로 구별하였다5 . 육체적인 행위의 실용적 공간

- (pragmatic space)

직접적인 정위로서의 지각적 공간

- (perceptual space)

환경에 관하여 인간에게 안정된 이미지를 형성시키는 실존적 공간

- (existential space)

물리적 세계에 대한 인식적공간

- (cognitive space)

순수한 논리적 관점에 의한 추상적 공간

- (abstract space)

실존 공간 건축 김광현 역 태림문화사

C.N-Schulz,Existence, Space and Architecture, , , , 1997, p13 21) 권영걸, 「공간디자인16강」, 도서출판국제, 2001, p15

(43)

파악하고 있다 이것은 공간에 있어서 다양한 해석과 관점을 수용하려는 태도. 로 나타나고 있다 지금까지는 등한시 되었던 신체의 중심성을 회복하고 신체. 의 모든 감각과 관련된 새로운 공간개념을 탄생시켰다 따라서 건축 공간 내에. 서의 지각의 논의는 어떻게 전개되어 왔는지를 살펴볼수 있으며 유기적 공간은 지각 중심에 감각과 정신을 모두 포함한 신체를 중요한 위치에 두었음을 주시 해야한다 또한 공간 내에서의 유기적 움직임을 도입하여 공간에서의 신체가. 갖는 거리감을 사라지게 했음을 주시할 수 있다.

역사적으로 인간의 신체와 지각적 특성에 대한 논의는 주체와 객체 선천론과, 경험론등처럼 이원론적 관점에서 접근되어 왔으며 이에 대응하여 철학적 접근, 과 과학적 접근은 서로 대립되면서 보완적인 시각으로 미적 경험 현상에 대해 논의로 전개해 왔다

공간의 지각과 인지 3.2.2.

우리가 인지할 수 있는 대상이 되는 공간은 항상 내부 또는 둘러싸인 한정된 공간으로 우리가 공간이라고 말하는 것은 한정하는 것을 인지 할때에만 존재하 며 경계에 따라 지각된다 공간인지는 일련의 부분적인 지각의 결과로서 연속. 적으로 경험되는 공간상의 점 또는 위치사이의 지각 가능한 관계의 총합으로 정의된다 따라서 공간은 독립한 존재에 관한 현상으로서 이해되는 것이 아니. 라 지각의 결과로서 이해된다.22)

지각과 인지를 엄밀하게 구분하는 경우에는 인지는 인간이 외계의 의미를 읽어내는 일련의 심리 프로세스이며, 지각은 그 최초의 한 과정으로 간주된다. 결국 지각은 어떤 사람이 지금, 여기에서 만난 정보를 받아들이는 과정이다. 또한 인지에는 그정보에 내려지는 무엇인가의 판단 및 결정, 추론 또는 과거의

22) 문소현 주거의 공간적 이중구조 표현을 위한 중첩의 적용 연구 홍대석론, .1996.p6

(44)

기억과의 조회라고하는 하나의 지식이 획득되기까지의 모든 심리프로세스가 포 함되어 있다.

인간을 둘러싸는 환경은 여러 가지 자극이 있지만 우리는 그 중 일부를 감각, 기관을 통하여 지각하고 신경계를 거친 두뇌의 작용에 의해 인지의 과정을 거, 쳐 행동으로 나타나는 반응을 보이게 된다.

이러한 자극에 대한 반응에서 지각과 인지에 의한 인식의 과정은 능동적으로 사용한다 우리의 인식을 발생시켜 주는 것은 우리의 신체와 세계 내의 사물들. 간의 하나의 유효한 유사성이다 따라서 인식의 진정한 주제는 우리의 의식도. 아니고 우리의 의식 속으로 절대적인 객관성을 집어 삼키는 사물도 아니라 세, , 계와 뗄 수 없이 엉겨있는 전개적인 익명적 신체(pre-personal, anonymous 라 할 수 있다 즉 인식을 하는 행위는 사물들에 우리의 신체를 내주어

body) .

사물들로 하여금 우리의 신체에 무엇을 기록하고 또한 우리에게 자신들의 닮음 을 주도록 하는 행위이다.23) 즉 근본적으로 존재에 의한 필연성으로 지각과 그, 에 대응하는 행동이 연관성을 가지게 된다.

가 지각 ( )

지각(Perception)은 감각기관에 대한 생리적 자극을 통하여 외부 환경적 사물을 받아들이는 과정을 말한다 여기서 감각기관 이라함은 시각 청각 후각. , , ,

23) 이종건,「건축의 존재와 의미」,기문당, 1995, p213 자극

Stimuli

지각 Perception

인지 Cognition

태도 Attitude

반응 Response

그림 자극반응의 과정 [ 3-1]

(45)

미각 촉각으로 느끼는 모든기능을 말한다 우리는 선택적으로 지각하며 지각하, . , 는 것은 우리의 개념적인 틀과 문화적인 맥락에 의해 조건 지워진다 공간은. 단순 보편적인 등질체가 아니라 인간과 대응관계에 의해서 그 존재의 의의를 가지게 될 것이다.

인간의 공간에 대한 체험이 지각을 통해 직접적으로 많은 정보를 수용함과, 동시에 환경을 능동적으로 탐색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해석하는 과정임을 말한 다 우리가 수용된 감각자료는 세계와의 이전 경험 과정에서 추상화된 관계성. 의 기저와 통합됨으로써 적절한 형태의 구성을 허용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에. 서 신체의 환경과의 주체적인 지각과정을 알 수 있다 그래서 시간 개념을 도. 입하여 이동에 따른 공간의 체험을 전체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지각은 실제 움직임에 의해서 이루어지기도 하지만 확대 ․ 연장된 인간 존재에 의해서 이루어지기도 한다. 즉, 인간이 공간에 존재한다는 것은 피부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피부 밖으로 확대 ․ 연장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것은 두 가지 양태로 나타나는 데, 하나는 ‘투사행위’로서 구현되어 있고, 또 하나는 인간의 신체 주위를 둘러싸는 ‘개인 공간장 으로 구현되어 있다’ .24)

먼저 투사행위는 감각과 상상력을 통하여 자신을 투사함으로써 곳곳을 돌아 다니고 체험하며, 감정이입하는 형태이다. 이것은 인간을 신체 밖의 주위 공간 으로 확대 ․ 연장하는 것으로 확대, 축소된 또는 실물 크기의 자기상으로 환경 을 채우고 그 속을 돌아다니게 해 주는 것이다. 즉, 건축 공간의 다감각적 체 험 역할을 하고 있다. 투사행위는 건축적 경계물을 투과한다든지, 또는 실재하 지 않는 공간의 체험하는 상상력에 의해 공간 체험감각에 대응한다.

그리고 개인공간장은 사람마다 가지고 있는 분위기 또는 인간의 신체를 둘 러싼 개인공간(personal space)을 말한다.25)이것은 두 가지의 유형이 있는데, 하나는 대인거리의 역할에 의한 것으로 간접적이고 은유적이며, 다른 하나는

24) 김영철, “투사행위와 그 건축 공간적 의미”, 대한건축학회 논문집11 7 , 1995,p56~61권 호 25) 김영철, “투사행위와 그 건축 공간적 의미”, 대한건축학회 논문집11 7 , 1995,p56~61권 호

(46)

우리의 직관적인 느낌에 의해 직접적이고, 대산을 묘사한다. 전자는 개인 공간 장이 물리적 현실이 없는 묘사적 구성이지만 후자는 실제로 물리적공간에 확대

연장되어 있는 것으로 인식된다.

대인거리에 관해서 홀(E.T.Hall)은 인간존재는 피부의 경계로 해서 시작하고 끝나는 것이 아니라 그 인격의 확대 ․ 연장으로서 이와 같은 동심원 상태의 영 역들을 신체 주변에 가지고 있다고 한다. 그러므로 행위의 종류에 따라 공간장 이 팽창 또는 수축하게 된다.

건축 공간론자 핀더(Pinder)가 건축의 내부 공간을 ‘확대된 신체’ 혹은 확대된 의복 이라고 묘사한 것을 미루어 볼 때 건축 공간을 에워싸는 물리

‘ ’

적 경계물 벽( , 천정, 바닥 은) ‘제 3의 피부’또는 확대된 의복의 바깥부분이 라고 할 수 있다.

또한 깁슨은 인간의 기본적 감각 기관 중에서 기본적 방향계와 피부감각계에 의해 내부세계와 외부세계를 감각하는데서 발전된다고 하였다.

나 인지 ( )

인지는 과거 및 현재의 외부환경과 현재 및 미래의 인간 형태를 연결지어주‘ 는 앎(awareness)혹은 지식(knowing)을 얻는 다양한 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 인지는 앎과 이해의 과정과 그 결과를 포함하며 인지지도(cognitive), 심상지도

환경이미지 쉐마 등으로 불린

(mental map), (environmental image), (schemata)

다 여기서 인지지도는 환경에 대한 심상적 기술 을 의미하고 심상지도는 사. ‘ ’ , ‘ 람이 물리적 환경에 대해 갖는 구체적인 특정의 공간적 이미지 로 공간형태에’ 영향을 미친다.

환경인지의 개념을 현재는 존재하지 않는 비

가시적 환경의 특징에 대한 이미지의 저장, 조 직 재구성 및 회상등의 의미로 정의하고 있다, ”.

홀라인

- (C.T.Hollain)-

(47)

신체에 의해서 지각된 정보는 신경계를 거쳐 두뇌작용에 의해 인지 과정을 거치게 된다 생물의 신경계는 컴퓨터의 정보처리 과정과는 (Cognition) .

다른 과정을 거친다. 생물 신경계는 지속적으로 스스로의 구조를 조절함으로써 그 환경과 상호작용 한다. 따라서 모든 순간의 물리적 구조는 이전의 구조적인 변화에 대한 기록인 것이다. 즉, 신경계는 외부세계에서 들어온 정보를 처리하 는 것이 아니라 정반대로 인지과정에서 하나의 세계를 만들어 내는 것이다, .

인지는 인식과 표현의 문제에서 물리적 구성 요소에 의해 형성된 새로운 관 계성을 공간의 사용자의 인지구조에 따라 표현한다. 사람들이 물리적 환경에 대해 가지는 행위 체제와 인지도 사이에는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다. 예를 들어 굴곡지거나 교차점이 많은 통로는 쭉 뻗은 길보다 더 길게 인지된다. 인지도는 통로들에 의해 연결되는 많은 요소들로 구성되기 쉽다. 그러나 어떤 특정한 장 소에서는 이러한 요소들 모두가 똑같이 중요한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사람이 내리는 결정은 결코 완전히 합리적이지 않으며, 항상 감정에 의해 채색되어있 다. 그리고 사람의 사고는 항상 인지의 전체 스펙트럼에 기여하는 육체적인 감 각이나 그 밖의 과정들 속에 묻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러므로 인지도 작성은 사람들이 물리적 환경의 상대적 위치와 속성 등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약호화하며, 저장을 통한 재생, 해독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미지와 상징 3.2.3.

공간에 대한 지각은 신체에 의한 인식의 과정에 따라서 전개되어 진다. 즉, 고정된 관찰자의 존재에 의한 지각의 과정, 또는 관찰자 자신의 신체적 이동에 의한 지각의 과정으로 형성된다. 이미지는 내부화된 표현으로 환경의 차원에서 개인의 경험을 통해 그에게 알려진 외적 실제 세계의 일부분에 대한 개인의 심 상적 표현을 말한다. 이미지는 인간과 환경사이에 교차하는 상호 작용의 결과

참조

관련 문서

위턱굴의 여섯면 중 특히 아랫벽은 위턱 치아 뿌리와 매우 가까워 치과 시술시 중 요한 해부학적 구조물이다.또한,위턱굴 바닥에 위치하는 위턱굴 중격은 임플란트

이렇게 얻은 많은 정보들은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의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기능을 이용하면 새롭게 재생산하여 다른 사람들과 공유 할 수

마지막으로 한국의 중재법 제3조(직소금지)는 중재계약의 효력에 관한 규정으로 서, 중재계약의 당사자는 중재판정에 따라야 한다는 내용에는 중재판정이 일단 내

’즉 같은 주 제와 구도로 이루어진 표현이라 하더라도 목탄과 펜촉,연필은 다양한 강도와 단색 조의 표현이,콘테(conte),크레용(crayon)은 색조와 질감이 풍부한 표현이

[r]

직장인의 스포츠 활동 참여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대학원..

자연환경이 인간의 생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과거와 현재 의 사례를 조사하여 설명하고, 자연환경과 인문 환경의 영향 을 받아 형성된 다양한 문화를 제시할 수

대학 캠퍼스는 이러한 기능적 이념적 목적에 부합하는 다양하고도 매력적인 공간이 , 어야 한다 즉 연구 교육 봉사의 기능을 위한 표준시설의 기준은 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