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 4 장 신체지각의 디자인특성

제 1 절 . 신체의 시선유도 제 2 절 . 복합적 감각 제 3 절 . 기억의 지속성 제 4 절 . 시간성

제 5 절 . 다양성

제 4 장 신체 지각과 디자인 특성 .

신체의 시선유도 4.1.

공간을 인식하는 방법으로 어떠한 형태나 표현에 의해서도 아닌 사람 즉 인, 간의 움직임을 통한 체험에 의해서 이다 공간에서의 운동이란 인간의 움직임. 이며 그 움직임에 의해서 그 의미가 부여된다 인간이 움직임을 느

(Movement) .

끼는 것은 단순히 지속적인 시각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대립된 시. 각이나 변화된 시각의 움직임과 관련이 있다 따라서 인간의 움직임은 우리의. 시선을 이동시켜주며 시각은 우리에게 공간의 본질을 지각하는데 있어 가장 발 달된 감각이다 그래서 다른 지각요소에 비해서 그 우위를 정하고 있다고 판단. 된다 이러한 시각이라는 감각에 의한 지각과 인식에 있어서 주관적 여과과정. 을 통해서 공간에 대한 인식이 형성된다 따라서 공간에서 우리의 움직임을 담. 을 수도 있으며 우리의 움직임을 유도시켜주기도 한다 즉 신체 지각에서 가장. 먼저 시각에 의해서 이루어지므로 시선의 이동을 고려해야 한다.

지각된 공간을 만들기 위하여 공간에서 접근하는 방법중 빛을 통하여 시선의 이동을 유도하여 다른 쪽을 지각하게는 방식이거나 회유동선을 주어시선을 유 도하기도 한다 즉 움직임에 의해서 이동된 시선은 더 많은 것을 보고 느끼게. 만들어 줄 수 있다.

빛에 의한 시선 유도 4.1.1.

공간에서의 빛은 비추어지는 현상을 통해 인간과 대상의 관계에서 매개체로 작용하며 공간을 지각하게 된다 빛은 비물질적 실체로서 그 현상을 공간 내. 에 드러낼 때 형태와 구성요소들과의 새로운 이미지창출 및 시각적 효과를 느낄수 있다 또한 빛은 공간을 밝음과 어둠의 극대비를 통하여 공간체험. 을 구현시키

기도 하고 어둠과 대조되는 빛은 우리의 시선을 이동하게 된다 즉 벽과 벽이. , 만나는 공간 또는 벽과 천장이 만나는 경계의 공간에 만들어진 창은 빛으로 인 해 공간을 인식한다 공간의 한계는 넓어지고 경계는 더욱 모호해진다 또한 폐. . 쇄적이었던 공간에 큰 창을 통하여 유입되는 빛은 외부와 내부의 영역을 모호 하게 하여 우리 인식의 경계를 확장시켜 준다.

인간이 어둠의 공간 속에 있다면 빛의 공간은 하나의 밝은 무대의 공간이다.

또 반대로 빛의 공간 속에 있다면 어둠의 공간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것처 럼 생각되어진다. 이것은 마치 극장이나 무대공간이나 진열장 속에 사람들이 집중하는 것처럼 인간을 빛의 공간에 집중시키게 할 수 있다.

삼성미술관 Leeum에서 마리오 보타의 MUSEUM1은 내부는 단순한 입방체 를 시각적 강력함을 불러 일으킨다 더구나 로비의 중앙을 조명으로 집중시킨. 다 입구에서는 어둠의 긴 터널같은 느낌에서 자연빛과 조명으로 우리의 시선. 을 한눈에 이끈다.

안도다다오는 빛을 이용한 매스의 면으로의 분리에서 벽의 개념을 끌어내고 다시 빛에 의해 빛의( 교회), 그리고 자연의 반영을 통해 벽의 물리적 존재감을 상실시킨다 이러한 구성은 요소들간의 형태구성을 통한 의미의 생산을 위. 해 개별적인 요소들의 기호로서의 의미가 탈색되는 것 같다.

그림 삼성미술관

[ 4-1] Leeum [그림4-2] 안도다다오의 빛의 교회와 White U

회유 동선에 의한 시선유도 4.1.2.

신체의 움직임은 항상 시간의 이행에 관련된 공간적 시간적인 틈을 결합하는, 것과 관계가 있으며 시간의 이행 속에서 신체의 경험으로 체험되는 공간을 만, 들기 위해서 접근하는 방법에서 길고 회유적인 동선을 도입한다.

이것은 신체의 움직임 과정을 통해서 그 앞에서 펼쳐지는 연속 비연속적인, 장면들과의 지속적인 관계를 유지시켜 주게 된다.

삼성미술관 Leeum의 아동교육문화센터에서 렘 쿨하스의 개별 건물들이 유기 적으로 연결되는 동선을 제안 하고 대지의 경계면을 따라 삼성아동교육문화센 터와 주차 공간의 유리 벽면이 자연스럽게 흐르게 했다 그러나 그 무덤덤한. 흐름 안에는 미래의 공간이 강력한 에너지를 품은 채 진동하고 있다 유연한. 공간은 동선과 시점마다 서로 다른 공감각적 체험을 하게 한다 내부의 순환이 이상적으로 이루어지는 조화로운 도시의 모델로 승화시키고 있다 따라서 내부. 에서 우회적인 동선을 이끄어 내기 위해 다른 전시공간을 의도적으로 관통하는 오브제이자 다양한 시점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안도다다오의 물의 사원은 벽면 뒤에 서 있는 또 다른 벽면은 그 뒷면에 높 여 있는 연못의 곡선을 따르며 길은 이 두 벽 사이로 이어지고 연못의 가장자리를 그림 안도다다오의 물의 사원 [ 4-4]

그림 삼성미술관 아동교육문화센터 [ 4-3]

따라 다시 되돌아온 뒤에 중심부로 직선을 그리며 하강하는 계단이 놓여 있는 지점 에 도달하게 된다 이러한 동선의 조작방식으로 인해 사람들은 다양한 시점의 변화. 를 경험하게 된다.

복합적 감각 4.2.

신체적 지각은 감각기관에 크게 의존하고 있는데 하나의 감각에만 의존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복합적 감각을 사용할 수 있는 요소들을 사용하게 되면. , 건축물을 더욱 풍부하게 지각할 수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의 건축물들이 시각. 과 촉각에 많이 의존해 왔다면 다른 감각 후각 청각 미각까지 사용할 수 있, , , , 는 요소들은 그 건축물을 더욱 특별하게 지각하게 만들 수 있게 된다.

건축물은 인간이 생활하는 곳으로 단순히 보는 것으로 끝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시각이외의 감각을 자극하여 시각이외의 감정과 더 많은 관계를. 가지고 있는 나머지 감각들은 공간을 지각하는데 더욱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 며 시각 이외의 감각을 사용할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하고 있다 이것은 한 장소. 를 기억할 때 그것에 대한 시각적 특징뿐만 아니라 다른 감각적 특징들이 함께 어우러져 있음을 알 수 있다.

이토 도요의 The Wind Tower는 주변의 소리와 시간 그리고 바람에 의해 조명이 혼합되어 나타나는 이미지로 변화하는 도시환경과 자연의 정보를 복합적으로 나 타낸다 이중적인 입면을 통해 끌어들여지는 바람이라는 자연적인 요소의 흐름과. 강도는 센서에 의해 감지되어 인공조명을 통해 시각적인 빛의 신호로 전이되어 나 타나며 바람의 탑은, 3가지의 조명들이 반투명한 입면과 내부 금속면의 반사에 의

그림

[ 4-5] Toyo Ito의 바람의 탑

해 다양하게 복합적으로 표현되어 주변의 환경과 시간의 변화에 따라 각기 다른 모 습을 반영한다.

기억의 지속성 4.3.

경험에 의한 지각 4.3.1.

우리는 경험하는 모든 것을 완벽하게 기억하지는 못한다 하지만 그러한 어. , 렴풋한 기억이라고 하더라도 우리는 다음에 다른 장소나 또는 같은 장소에 가 게 되었을 때 그 기억에 의한 이미지들이 나도 모르는 사이에 또는 알며 지금 의 순간과 결합되어 지각하는데 영향을 미치게 된다 특히 주변 환경과 재료에. 대한 느낌 같은 것들은 오랜 시간동안 축적되어 쌓인 고정의 이미지들이 이미 존재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디자이너들이 자주 사용한다 따라서 주변 환경. 을 그대로 끌어와서 다시 한번 그 장소에 대한 기억을 환기시켜준다거나 주변, 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요소들을 이용하거나 그것을 전복시킬 수 있는 방법 을 사용한다.

이토도요의 센다이 미디어 테크는 공간의 통합을 위해 주로 빈 공간을 만들어 주는 방식을 취하며, 공간의 연속 적 흐름을 유도하는 과정에서

관(tube)을 이용하여 전체레이어를 관통하는 방식으로 내부를 통합하였다. 내부에서는 도심속에서 건물이 즐비해 있는 길을 어느 사람이 통행하면서 느 끼는 경험과 같이 튜브안을 통과하면서 다양한 공간감을 느끼며 건물의 내부, 가 아닌 도심의 가로가 확장된 듯한 모습을 반영하고자 하였다.

기억의 착각 4.3.2.

그림

[ 4-6] Toyo Ito - 센다이 미디어 센터

우리는 자연대지에 투명한 표면을 사용하여 자연의 환경과 함께 용해되어 버 린 건축물들을 접하곤 한다 주변 환경과의 관계 속에서 자신을 드러내기 보다. 는 사라지게 함으로써 실체와 비실체 사이의 괴리감을 만들어 주며 이것은 인, 간의 지각 능력을 시험해 보고 있는 것 같다 지금까지의 건축물은 고정된 실. 체로 중력과 싸워왔으며 항상 거기 있는 것이라고 생각되어졌다 하지만 이런, . 건물들은 그런 인식을 전복시켜버려 때로는 신비감으로 나타나게 된다 장식이. 없는 벽들로 이루어진 형태와 표면은 인식의 전복에 효과적일 것이다.

도미니크 페로의 Aplix공장은 주변 환경과의 관계속에서 자신 을 드러내기 보다는 자연의 일부 분으로서 인식이 되어지며 실체 와 비실체 사이의 혼돈을 부여하

여 인간의 지각능력을 모호하게 인식되며 공장의 표면은 유리면이 아닌 금속판으 로 된 희미하게 빛을 발하는 마감 재료로서 구성되어 있는데 공장건물이 주변 환경 과의 자연적인 녹지 환경을 반영하여 주변 경관 속으로 절묘하게 융합되어 있다.

장 누 벨 의 F o u n d a t i o n 는 외부 Cartier

와 내부의 막힘 없는 대화와 투 명유리로 투영되

는 대지의 자연적 연출은 인접해 있는 주변건물들 속에서 비워있는 듯 하면서 대지 에 꽉 차 있는 듯한 모습을 반영한다 또한 유리면의 표면은 고정된 이미지를 부여. 하는 물성이 아닌 가변적인 이미지를 창출하여 주체와 객체와의 감성적인 접촉과

그림

[ 4-7] 도미니크 페로의 Aplix공장

그림

[ 4-8] 장 누벨의 Foundation Cartier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