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회화적으로 재구성된 현대일상의 표현에 관한 연구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회화적으로 재구성된 현대일상의 표현에 관한 연구"

Copied!
67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년 월 2010 년 2 월 2010 년 2 월 2010 2

석사학위 논문 석사학위 논문 석사학위 논문

회화적으로 재구성된 현대일상의 표현에 관한 연구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 -

조선대학교 대학원 조선대학교 대학원 조선대학교 대학원

미 술 학 과 미 술 학 과 미 술 학 과

이 인 성

이 이 인 인 성 성

(2)

회화적으로 재구성된 현대일상의 표현에 관한 연구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 -

A study on expression of contemporary daily life

which is re-organized through painting -Mainly about my works-

년 월 일

2010 년 2 월 25 일 2010 년 2 월 25 일 2010 2 25

조선대학교 대학원 조선대학교 대학원 조선대학교 대학원

미 술 학 과 미 술 학 과 미 술 학 과

이 인 성

이 이 인 인 성 성

(3)

회화적으로 재구성된 현대일상의 표현에 관한 연구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 -

지도교수 崔 英 勳 지도교수 崔 英 勳 지도교수 崔 英 勳

이 논문을 미술학 석사학위신청 논문으로 제출함. . .

년 월

2009 년 10 월 2009 2009 년 10 10 월

조선대학교 대학원 조선대학교 대학원 조선대학교 대학원

미 술 학 과 미 술 학 과 미 술 학 과

이 인 성

이 이 인 인 성 성

(4)

이인성의 석사학위논문을 인준함 이인성의 석사학위논문을 인준함 이인성의 석사학위논문을 인준함

위원장 위원장

위원장 ( ) ( ) ( ) 인 인 인 위원 위원 위원 ( ) ( ) ( ) 인 인 인 위원 위원 위원 ( ) ( ) ( ) 인 인 인

년 월

2009 년 11 월 2009 2009 년 11 11 월

조선대학교 대학원

조선대학교 대학원 조선대학교 대학원

(5)

목 차

ABSTRACT

제 장 서 론 1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제 절 연구배경 및 목적 1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제 절 연구범위 및 방법과 절차 2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제 장 이론적 배경 2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

제 절 일상에 대한 이해 1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

일상의 의미 1.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

예술과 일상 2.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

현대인과 일상 3.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

제 절 작가연구를 통한 일상의 표현 2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2

보편적 삶의 소재로써의 일상 1.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2

가 . 에드워드 호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3

나 . 로버트 롱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8

의식적인 자아 표출의 도구로의 활용 2.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2

가 . 게오르그 바젤리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3

나 . 안젤름 키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7

(6)

제 장 작품 분석 3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2

제 절 서 언 1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2 제 절 내용적 측면 2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3

일상적 소재의 활용

1.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3 가 . 인물을 통한 냉소적 현실의 표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3 나 . 익명성의 공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9

해소와 사유의 장

2.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2 시선 을 통해 유도된 소통

3. ( 視線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5 제 절 조형적 측면 3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7

일상 속 드로잉

1.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7 감정 전달에 따른 묘사의 절제와 표현

2. · · · · · · · · · · · · · · · · · · · · · · · · · · · 49

제 장 결 론 4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2

참고도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4 참고문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6

(7)

ABSTRACT

A study on expression of contemporary daily life which is re-organized through painting

-Mainly about my works-

by Lee in-sung

Advisor : Prof. Choe Young-hoon Department of Fine Arts,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This paper has the purpose to propos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mporaries and the era as a way of seeking the identity of individual as member of the society living in the contemporary era and to confirm the artistic potential and value through theoretic background.

The contemporary era where we are living brought us speed and convenience through information technology and social development,

(8)

but robbed us of the room and leisure to think in daily life.

While daily life reflects the style of life incorporating spiritual activity as well as physical behavior, lack of leisure can cause social damages such as anxiety and chaos etc arising from questionability and uncertainty on human's essential perspective of value as entity of life.

These days, social members including many artists are increasingly drawn to daily life, and such phenomenon may be seen as a course to confirm the identity by raising question on one's identity in contemporary era which is uneasy to define and understanding the surrounding.

The artists of the 20th century proposed in this paper depicted the look of the era in the works through observation on their own environments, and realized values through arts by delivering the aesthetic amusement, sympathy and characteristics of the era to viewers.

The works they present serve as examples which elevated materials of daily life to artistic level, and their various yet unique methods of expression become important basis for the research objective of researchers.

Such express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era through daily life may serve as channel through which one can see the identity of the diversified era, and continued research on various expression

(9)

methods is a course to seek for the meaning of researcher's works and potential of mature artistic activities.

(10)

제 장 서론 1 ( 緖論 )

제 절 연구배경 및 목적 1

오늘날 현대 사회는 일상생활 자체가 빠르게 변화하는 주변 환경에 의해 정보화시대를 만들어 모든 사회인들이 그 체계에 뒤떨어지지 않기 위해 노력하며 살아가도록 요구한다.

이렇게 빠르게 변화하는 시대에서 현대 사회인들이 생존을 위해 전력질 주 하는 모습은 여유롭지 못하며 일상생활에 있어서도 자신의 주변 모습 을 둘러보지 못 하는 것은 당연할 것이다.

이러한 일상생활 속에서 우리는 그 사회를 생활하는 한 구성원으로 바쁜 생활, 또는 반복되는 생활에서 쉬고 싶거나 벗어나고픈 사고를 단순한 여 유로 인식하고 다시 사회가 요구하는 반복적인 일상적 생활로 빠져든다.

벗어나고픈 사고와 일상적 생활의 반복 역시 되풀이 되며 간혹 시대의 흐름 안에서 자신과 일상에 대하여 질문을 던지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주 변을 통해 자신을 확인하는 것 바로 정체성을 확인하는 것이다, .

정체성 확인은 자신이 처한 상황과 자아를 파악함으로 변화 빠른 현실 안 불안감으로부터 안정감을 주며 폭넓은 행동의 지표를 열어준다.

정체성을 확인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다. 이는 직접적인 사 물을 통해서 그 자체를 스스로 파악하기도 하지만 자신이 지니고 있는 모 든 매체를 적극 활용하여 그것을 기억하고 기록하는 방법을 통해 이루어 지기도 한다. 바로 TV, 컴퓨터, 등 매체들을 통해 간접적으로 관찰 하고 사진, 드로잉 등으로 기록할 수 있다 이렇게 관찰되어진 기록의 특징은. 시대의 모습을 보여준다.

오늘날 예술은 이러한 영향으로써 단순히 미적대상의 재현을 넘어 일상 적이며 일반적인 소재에 대한 관찰과 사유를 통한 표현으로 인간의 삶에 있어 근본적인 내용을 다루는 것을 볼 수 있다.

(11)

연구자 역시 작품을 통해 시대의 특성 안에 처해진 나‘ ’의 모습을 솔직 하게 나타냄으로써 혼란 속 자아의 모습을 확인하고자 하며 나아가 사회 구성원으로부터 시대적 귀감을 통해 우리의 모습을 비추어 볼 수 있는 계 기가 될 수 있다고 보았다.

이와 같이 주변의 강한 특징의 이미지들로 나타낸 작품 제작 과정을 통 하여 나타낸 일상적 소재로의 접근은 빠르게 변화 하는 시대 안에서 주체 성을 찾고자 하였으며 오늘날 일상적 소재를 통한 형식의 작업은 오늘날 범위와 소재가 다양해진 예술의 영역에서 어떤 의미가 있으며, 일상을 다 룬 다양한 표현과 비교, 공통점을 찾아봄으로써 작품 제작의 목적성의 확 인과 표현범위의 폭을 넓힐 수 있는 계기로 삼고자 하였다.

제 절 연구범위 및 방법과 절차 2

오늘날의 미술 영역은 시대가 변화하는 속도에 맞춰 그 범위도 넓어지고 활용하는 소재 또한 다양해 졌다 이러한 미술영역 내에 모든 작가들은. 함께하고 있으며 그 속에서 자신의 표현방식을 파악하고 개념을 설정하, 는 것은 작가로서 위치를 찾아가고 앞으로 작품의 완성도를 높이는데 중 요한 역할을 한다.

현대의 모든 생활은 과거의 모습을 바탕으로 발전되어 변화 되었으며 그 에 맞추어 추구하는 가치 또한 달라졌다 예를 들면 전쟁에 대한 기록은. 승 패의 원인을 알 수 있는 근거가 되고 이를 통한 여러 가지의 보완은‧ 과거와 다른 준비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과거에 대한 답습은 앞을 내다 볼 수 있는 삶속의 거울이 되며 연구자는 빠르게 발전하는 미술 영역 안에서 작가로서의 방향설정과 고유 의 표현방식을 찾는 과정으로 지나온 미술을 답습하는 방법을 통해 접근 하였다.

원시 시대 부터 오늘날 까지 행동양식과 그에 맞는 가치관의 변화와 더 불어 미술사적 소재 또한 달라졌는데 동굴벽화 에서 보여 지는 인간이 갖

(12)

고자 하는 동물이나 숭배의 대상부터 그리스 로마 시대에는 신을 대상으‧ 로 한 표현 인간중심의 르네상스시대의 인물 풍경화 그리고 생활 속 사, , , 용 되어지는 상품이나 개별적 소재들을 다루는 오늘날 미술까지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였으며 예술 표현의 소재들은 당시의 시대와 문화에 따라 달라지지만 예술의 근본은 삶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오늘날까지의 미술 중 연구자의 작업분석과 앞으로의 방향을 위한 연구 범위는 동시대와 가까운 20세기 예술가들이며 이들의 공통점은 일상을 주제이자 소재로 삼아 자신만의 독자적 표현방법을 통해 자신과 속해있는 지역 그리고 시대를 나타내었으며 이를 통한 연구는 곧 연구자의 작업에, 대한 이해와 예술표현의 중요한 단서가 된다.

절차로는 이론적 배경의 단원으로 2장에서는 작업에 근원이 되는 일상 에 대한 의미로 일반적으로 지루하게 느껴지는 일상의 가치와 가능성을 살펴보고 일상의 모습을 특징적으로 나타낸, 20세기 예술가로 에드워드 호퍼(1882~1967)와 로버트 롱고(1953~)의 작품을 통해 분석하고 일상을 적극적으로 표현의 수단으로 끌어들인 게오르그 바젤리츠(1938~)와 안젤 름 키퍼(1945~)를 통해 그 시대의 일상과 시대의 모습을 어떻게 인식하 고 표현해 왔는지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장에서는 연구자의 작품을 분석하는 단원으로 현대인의 일상에 대한 3

관심으로 얻어진 현대 일상의 특징과 작품에 나타나는 소재와 내용의 관 계 그리고 내용 전달을 위한 연구자가 사용하는 감정표현의 방식을 서술, 함으로써 작품제작과정과 의도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한다.

(13)

제 장 이론적 배경 2

제 절 일상에 대한 이해 1

일상의 의미 1.

아침에 일어나서 익숙하게 욕실로 가서 오늘의 활동을 위해 씻고, 아침 을 먹고, 옷을 갈아입고 밖으로 나가 정해진 시간동안의 활동을 하고 돌 아와 여가 시간을 보낸 후 잠자리에 들며 내일을 계획하기까지 큰 차이 없이 내일과 연결되어지는 이러한 모습을 우리는 쉽게 일상이라고 한다.

일상이란 우리에게 친숙한 단어로서 일반적으로 규칙적이거나 전반적인 삶의 모습을 뜻하며 이는 되풀이 되는 반복성을 지닌다.

한스 페터 투른(H.P.Thurn)에 의하면 어원학적으로 볼 때 일상, ‘ ’(Alltag) 이란 개념은 그리스어 ‘카테메란’(catemeran)과 라틴어 ‘코티디아누스

로부터 유래하는데

(cotidianus)’ , 그 뜻은 매일 반복적인 것 을 의미한다고‘ ’ 한다. 동시에 이런 반복의결과 ‘관례화된 것’ 또는 ‘습관 을 의미하기도’ 한다. 이것은 한문의 ‘日常(일상 과도 일맥상통하는 것이다)’ . ‘日常’이란 늘 되풀이되고 반복되는 하루하루란 뜻이다 우리 속담에 다람쥐 쳇바퀴. ‘ 돈다 는 말로 바로 이런 일상의 반복적인 성격을 의미한다.’ .1) 이렇게 늘‘ ’, 항상 이란 말에는 바로 일상이 우리의 삶이라는 의미가 담겨 있는 것이

‘ ’ 다.

반복적 특성이 강한 일상은 같은 임무 언제나 반복되는 상품이나 사물, 들과의 관계 항상 해결되지 않는 돈이나 욕구와의 관계 등 다시 말해, , 궁핍의 존속이고 부족함의 연장이며 박탈 억압 채워지지 않는 욕망의, , , 연속으로 우리에게 다가온다.

하지만 일상은 반복에 의한 지루한 부분만 있는 것이 아니며 반복의 권

1) 최종욱, 「일상에서의 철학」, 지와 사랑, 2000, p.171.

(14)

태로 인한 감정이나 생각들로 인해 일상에서 벗어나거나 지루함을 완화시 키기도 하는데 바쁜 일상의 틈새를 이용한 여행이나 운동 문화생활 같, , 은 방식들이 이를 말해준다 이처럼 정신적인 활동과 이로 인한 창조적. 삶의 모습도 우리의 일상에 속한다.

하지만 이내 그동안 이루어 놓은 생활체계에 벗어남에 대한 불안감으로 길게 유지되지 못하고 다시 자신이 꾸려온 현실로 돌아오게 되며 이렇게 반복적인 생활과 일탈의 시도는 꾸준히 지속된다.

휴식을 취해야 하는 상황에도 불구하고 생활체계에 대한 걱정과 스트레 스는 주변을 통해 볼 수 있는 현대인들의 특징적인 모습이다.

일상이라는 비슷한 상황의 굴레 안에서 개인마다의 삶의 차이가 나는 것 은 이 정신적 활동의 변이에 생겨나는 것이며 반복과 일탈의 지속은 현실 적 자기모습과 이상적 자기모습의 관계에 의한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하이데거(Heidegger, Martin:1889~1976)의 주장을 통해 알 수 있 는데 하이 데 거 는 이러한 일상 속에서의 변화와 해 체를 자아(現存 재:Dasein)의 내면적 긴장 상태가 빚어낸 대립에서 발생하는 문제로 파악 하고 있다 하이데거는 자아를 본래적 자아. ‘ (authentic self)’와 비 본래적 인 일상적 자아‘ (they-self)'로 구분 하고 이 둘은 창조적인 주체로서의, 존재와 소외되고 구체화된 존재 사이의 갈등으로 대립한다고 보았다 즉. 일상적 자아는 반복적으로 전개되는 일상적 세계의 친숙성 속에서 자기 자신을 상실해 버림으로써 점차 불안을 느끼게 되는데 이 불안감은 일상, 속에 열중하고 있는 일상적 자아를 본래적 자아가 있는 곳 즉 기획 적이, 자 창조적이고 초월적인 곳으로 데리고 간다고 보았다.2)

이처럼 일상은 우리의 생존 체계로써의 반복되는 지루한 삶의 모습만 의 미하는 것이 아닌 정신적 활동이 공존하는 넓은 의미이자 삶의 무대라고 할 수 있으며 나아가서 일상을 돌아보는 것은 자신의 모습을 발견 할 수 있는 자아의 거울이라고 할 수 있다.

2) 조세핀 도노번, 「페미니즘 이론」, 김익두 이월영 역 문예출판사, , , 1993, p.218-219.

(15)

예술과 일상 2.

예술가는 현시대를 살아가는 존재이자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자신이 살고 있는 시대의 영향을 받는다 예술 활동은 작가의 일상 속에서 느끼는 정. 신활동의 진솔한 표현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인간의 본질에 대한 탐구이며 단편적 시대 속 새로운 시각과 의미를 담아내고자 하였다.

예술은 삶의 본질에 지속적으로 관계를 맺는다 삶과 예술은 따로 떼어. 구분지어 질 수 없고 삶의 연장선상에서 동시에 구현되어지는 것이다 예. 술가는 작품을 통하여 일상을 바라보며 일상 속에서 작품의 모티브를 찾 아내며 예술 활동을 통해 삶을 새로이 해석하고 타인과의 의사소통을 위 한 연결통로를 만든다 이는 모든 위대한 철학과 예술이 바로 우리 눈앞. 에 펼쳐지는 일상으로부터 나온 것만 봐도 알 수 있다 이미지의 창조자. 인 예술가는 자신의 삶속에서 생각하고 느낀 바를 독창적이고 표현적인 형식을 통해서 몸짓이나 질료의 이미지 속에 자기를 나타낸다 예술작품. 은 일상 경험들 속에서 흔히 산만하고 희박해서 소홀히 되기 쉬운 감지적 통일의 어떤 직각적 표현인 것이다.3)

도판 상처 입은 소 도판 빌렌도르프 비너스

[ 1] , [ 2] ,

추정 추정

B. C 15000 ~12000 . B. C 28000 ~ 25000 . 예술은 이렇게 예술가가 처해진 상황 안에서 각기 다른 해석을 통해 여 러 가지의 표현방식으로 나타낸다 다양한 접근으로 인해 다양한 예술형.

3) Virgil C. Aldrich,「예술철학」, 오병남 역, 서광사, 1977, p.8-9.

(16)

태들이 나타나게 되며 예술가들이 처해진 시대성과도 밀접한 관계를 맺는 다.

미술사의 흐름을 통한 예시로 인간으로서 살기 위한 가장 기본인 의식주 에 충실했던 원시시대의 미술품으로 앞의 도판[ 1, 2]처럼 의식주와 관련된 동물의 형상을 그려 넣거나 풍요와 관련된 상징물들의 제작을 시작으로,

도판 만종 장 프랑수와 밀레 도판 모나리자 레오나르도 다빈치

[ 3] , , [ 4] , ,

1859. 1503~1506.

그 후 인간중심의 사고와 과학의 발달로 인한 [도판3, 4]와 같은 사실적 인 표현으로 신화나 인간의 삶 혹은 풍경 그리고 근대에 와서 기존의, , 단순한 보여지는 아름다움과 완성미에서 벗어나 [도판5, 6]처럼 주관적인

도판 절규 에드바르 뭉크 도판 별이빛나는밤에

[ 5] , , [ 6] ,

빈센트 반 고흐

1893. , 1889.

소재들의 등장과 감정의 표현으로써 대상이 가지고 있던 이미지에서 벗어

(17)

나는 표현양식이 등장하였으며 오늘날 새로운 미술로의 발전으로서 가치 탐구와 철학적 사고의 결합으로서 다양한 형태와 기능으로의 예술에 이르 기까지 그 소재의 폭 또한 넓게 변화됨을 볼 수 있다.

도판 샘 마르셀 뒤샹 도판 캠벨수프 앤디 워홀

[ 7] , , 1971. [ 8] , , 1962.

이처럼 기존의 미술에 나타나는 대상으로 신화나 역사화와 같이 숭고의 대상처럼 큰 가치가 예술표현의 소재였으며 이후 서민들의 생활 모습의 묘사 그리고 현대에 와서, [도판7, 8]과 같은 깡통이나 나이프처럼 인공 품과 같은 일상에서 쉽게 찾아 볼 수 있는 개인생활 위주의 소재로의 변 화는 오늘날의 변화된 시대의 가치관을 엿볼 수 있게 해준다 다시 말해. 예술의 소재는 신이나 특별한 능력에서 오는 것이 아닌 우리 가까이에 있 음을 알 수 있고 일상의 관찰은 예술로 전환할 수 있는 가능성이 내재 되 어 있음을 말한다.

모리스 그로써(Mauris Grosser, 1903~1986, 미국 는 인간이 사회를 떠) “ 나서 존재할 수 없듯이 예술 또한 현실을 떠나서는 존재할 수 없으며 바 람직한 회화의 주체는 화가가 살고 있는 시대의 정서적이라고도 지적인 관심거리를 가장 정확하게 반영하는 것이다.”4)라고 했으며 예술이 사회 를 나타낸다고 볼 때 일상은 우리의 현실을 이해하는 중요한 근거가 된 다.

위에서 말하는 화가의 일상은 지극히 개인적인 일상을 뜻하는 것이 아니

4) M.그로써,「화가와 그의 눈」, 오병남 신선주 역 서광사, , , 1987, p.159.

(18)

며 시대안의 영향을 받은 한구성원으로써 전체와 연관 지을 수 있다.

예술가의 일상은 특별한 일상이 아니며 남녀노소 신분과 지위의 격차와 상관없이 사회 구성원 모두 동시대를 살아간다 결국 예술은 우리의 일상. 에 대한 이야기이며 일반적으로 예술이란 초월적이거나 고상하다는 인식 으로 인해 개인의 삶과 별개라는 생각을 하게 되지만 앞에서 언급 하였듯 이 예술은 일상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으며 일상의 변화에 대한 관심은 우리의 변화된 시대의 가치관을 파악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현대인과 일상 3.

역사적 기준으로 현대는 보통 제 1차 세계대전(1914)과 러시아혁명발발 을 기준으로 오늘날 까지를 말한다

(1917) .

세기 산업혁명은 인간의 생산능력의 증대로 인해 편리를 가져다주고 18

기술의 발전으로 오늘날 매체들의 발달과 인터넷을 통한 정보화 시대에 이르게 되었다 우리는 직접 찾아가 만나지 않아도 매체를 통해 간접적. 만남을 가질 수 있으며 굳이 어렵게 사전을 뒤지지 않아도 빠르게 궁금점 에 대한 해답을 얻을 수 있다 이처럼 현대사회의 모습은 인간에게 새로. 움과 편의를 가져다주었다.

현대사회의 경이적인 변동 속에서 문명은 발달했으나 인간은 병들고 또 죽어가고 있다는 역리적인 오늘의 실상을 문명은 발달했으나 인간은 죽, 었다는 단적인 시대5)로 표현한 것은 의미 있는 지적이라 할 수 있다.

상업화 자본주의 시대의 영향으로 각자의 위치에 역할을 해야 하는 인, 간의 모습은 하나의 부품처럼 주문에 맞추어 돌아가야 하고 맞지 않으면 버려져야 하는 인간소외 현상을 야기 시켰다 이와 같은 현상들은 인간을. 중심으로 한 목적을 수단화시킴으로써 도덕의식 또한 배제 시켰다.

현대사회에서 비인간화 경향을 비롯하여 인간의 소외 윤리도덕의 상실, , 지성의 도구화 현상들은 현대사회의 병리 현상이라 할 수 있다 이에 감.

5) 조영식, 「인류사회의 재건」, 을유문화사, 1976, p.2.

(19)

염된 인간들은 스스로의 존엄성을 파괴하고 자신을 무력한 존재로 간주, 하게 된다 그 결과 인간은 내면의 정신적 가치를 상실하게 된다. .6)

이런 현상들은 불안을 조성하며 이런 불안과 공허가 언제나 함께하는 일 상에서 벗어난다는 것 일상의 도시생활에서의 휴식과 같은 상상은 사생, 활로 나타난다 교외의 별장에 사는 사람들을 포함하여 많은 사람들에게. 있어 그러하다 이 사생활은 담 벽 커튼 벽지에 의해 그리고 수많은 물. , , , 건들과 함께 고요함 은밀함 침묵 속에서 또는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은, , , 구석에서 또는 한 가닥의 시간과 공간을 완전히 소유한 속에서 마치 외 부 남의 시선과 태양 이웃 그리고 다른 가족으로부터 조차 벗어난 듯이, , , 상상되고 미화 되었다.7) 사람들은 이렇게 일상에서 벗어나려고 노력하지 만 막상 일상에서 유리된 자신의 모습을 보았을 때 다시 불안 해 하며 그 일상으로 되돌아가기를 갈망하게 된다 도시생활에서든 그곳을 떠난 휴. , 식처에서든 사회적 존재인 인간은 그 안의 현실에 결코 멀리 떨어져 존, 재 할 수 없고 그러한 이유로 고독과 불안은 인간을 끊임없이 따라 다닌 다.

불안은 프로이트(G. Freud, 1856~1939)에 의한 정신분석이론에서 가장 중요한 개념의 하나로써 불안은 인격의 기능의 역할에 있어서와 마찬가지 로 인격의 발달에 있어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불안은 신체의 내부기관. 의 흥분으로 생기는 고통스러운 정서적 경험이며 또한 불안은 공포감과 동의어이기도 하다 그는 불안을 현실적 또는 객관적 불안 신경증적 불. , 안 도덕적 불안의 세 가지로 구별했다 현실적 불안은 위험의 원천이 외, . 부의 세계에 있고 신경증적 불안은 이드, (id)8) 의 본능적 대상 선택에 그 원천이 있다 그리고 도덕적 불안은 초자아. (超自我, superego)의 양심에 그 위협의 원천이 있다. 그런데 이러한 경험을 하는 사람은 자신이 그 원

6) 임춘식, 「현대사회와 인간 소외」, 한남대학교 출판부, 1990, p.30.

7) 앙리 르페브르, 「현대세계의 일상성」, 박정자 역 세계일보, , 1990, p.137.

8) 프로이트는 정신은 이드(id), 에고(ego), 슈퍼에고(superego)의 세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설 명하고 있다 이드는 욕구 충동 성적 욕망을 나타낸다 슈퍼에고는 도덕적 신념 양심 과 이상적. , , . ( ) 포부를 구현한다 에고는 두 힘 사이에서 중재 역할을 하며 인간이 환경에 적응하는 방식과 관. , 련이 있다.

(20)

천을 모르는 경우도 있다. 불안의 기능은 자아에 위험을 알리는 신호의 역할을 한다 불안은 사람을 괴롭히지만 위험을 미리 알고 대비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기능이다 그러나 위험을 피할 수 없는 상황일 때는 신경. 쇠약에 걸리게 된다 이러한 세 가지의 불안들은 반드시 한 가지만 작용. 하는 것이 아니라 복합적으로 작용할 경우가 많다고 한다.9) 현대인들에 있어 현실의 급격한 변화와 그에 따른 가치관의 혼란은 이 세 가지 모든 불안의 원인 요소들 속에 고스란히 노출되어 있게 한다.

이처럼 도피의 연속은 결국 자신을 고립시키는 악영향의 순환이며 혼란 으로 인한 불안감들은 끊이지 않는다 불안감의 해소의 한 방법으로 연구. 자는 정체성의 확인으로 주체로서의 자아의 안정을 찾을 수 있다고 보는 데 정체성 확인 방법의 일상의 관찰을 들 수 있다 일상의 관찰은 사회의. 모습을 파악하고 자신을 알 수 있는 한 방법으로서 사회의 흐름 속에 자 신의 위치를 파악함으로서 불안한 요소들을 덜어준다.

하루하루의 일상의 축척을 통해 드러나는 특정 사회의 성격으로의 일상 성은 사회학자인 르페브르(Henri Lefebvre, 1901~1991)에게 있어서는 그 사회 전체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것이다 그가 일상성을 주. 목하는 이유는 현대세계의 일상성 에 관해 언급한 그의 말을 통해 짐작‘ ’ 해 볼 수 있다 전체 속에서 관계들에 의해 통합되지 않는 사회 그룹이 없. 듯이 서로 관계가 없는 사회적 사실은 없다 일상을 다루는 것은 결국 일. 상성을 생성하는 사회 우리가 그 안에서 살고 있는 그 사회의 성격을 규 정짓는 것이다 겉보기에 무의미한듯한 사실들 속에서 중요한 어떤 것을. 잡아내고 그 사실들을 잘 정돈함으로써 이 사회의 정의를 내리고 또 이, , 사회의 변화와 전망을 정의해야만 한다 일상성은 하나의 개념일 뿐 아니. 라 우리는 이 개념을 사회 를 알기 위한 실마리로 간주할 수 있는 것이, ' ' 다 이것은 일상을 전체 속에 위치시킴으로써 가능하다. .10)라고 하였다.

이처럼 우리가 살고 있는 빠르게 변하는 현대 일상은 결국 인간이 만들

9) 캘빈S홀,「프로이트 심리학의 기본이론」, 함희준 배재서관, , 1993, p.92~105.

10) 앙리 르페브르 앞의 책, , p.63.

(21)

어낸 폐해로서 인간성 상실이라는 사회적 문제를 안고 비인간화 되어가며 혼란속의 불안을 야기 한다 인간은 스스로 이를 자각하고 인간본질의 탐. 구를 통한 의지에 따라서 새롭게 만들어야 할 것이다.

제 절 작가연구를 통한 일상의 표현 2

보편적 삶의 소재로써의 일상 1.

오늘날 주변의 일상에 대하여 관심을 갖는 것은 기계화 되고 생존을 위 해 빨라지는 사회의 흐름 안에서 소홀해 지는 삶의 주체로써의 위치의 확 인과 물질만능의 배경으로부터 인간이 근본이 되는 삶을 영위할 수 있도 록 돕는다.

이는 연구자의 작업과정에 있어 배경을 일상적 소재로 다루는 목적이며 시간의 흐름에 따라 예술의 소재와 역할 또한 달라져 왔듯이 오늘날 시대 의 관심사인 일상의 모습은 현대미술에 있어서 중요한 소재가 되었다.

예술가들은 일상의 모습으로부터 달라진 인간의 가치관과 시대의 구조에 대해 파악하였으며 이렇게 나타낸 작품들은 동시대를 살아가는 사회 구성 원으로부터 미적 체험과 의식 전달을 통한 예술로의 귀감을 얻게 하였다.

이어질 내용에서는 삶의 배경이 되는 사회의 모습을 관찰과 주관적 사고 를 통해 우리가 살고 있는 시대의 특징을 나타내는 20세기의 대표적인 예술가들에 대한 분석으로 연구자가 나타내는 일상에 관한 작업의 이해를 돕고자 한다.

이 단원에서 제시한 20세기 예술가들은 자신의 일상을 통해 산업화된 도시 일상에서 빚어지는 인간소외나 물질만능의 흔적들의 모습을 재조명 해 재구성된 풍경으로 나타낸다 이들의 공통점은 미국에서 활동한 예술. 가로서 오늘날 발전의 정점을 달리는 미국을 배경에 두고 있으며 오늘날 세계화된 국제적 시대 안에서 산업화된 현대의 특징을 나타낸 대표적인 예술가의 예시라고 할 수 있다.

(22)

가 에드워드 호퍼 . (Edward Hopper 1882~1967)

에드워드 호퍼는 상업미술학교를 졸업하고 회화공부를 위해 프랑스를 여 행하였다 그는 자연스럽게 유럽회화의 영향을 받게 되었으며. 1920년대 에서 1950년대 왕성한 활동을 보인 미국사실주의 화가로 알려졌다 하지. 만 당시 사실적 표현에 중점을 두었던 다른 작가들과는 다르게 자신의 기 억과 상상에 의한 현실의 모습을 재구성해 전달을 하였다 당시 미국문화. 를 냉소적으로 바라보았으며 텅 빈 도시의 모습을 통해 인간의 부재 고, 립된 인간의 모습으로 표현한 작가이다.

호퍼의 작품에서는 도시의 겉모습 뿐 아니라 실내 생활 유리창을 통해, 바라다본 장면들 식당 사무실 주변의모든 것이 호퍼의 주제가 되었다, , , . 그 의 작품 속에 등장하고 있는 인물들은 사무원 실업가 중년부인 등으, , 로 흔히 볼 수 있는 평범한 인물의 모습이며 그의 작품에서 이러한 사람, 들이 주로 등장하는 상황 설정으로서의 무대는 도시 속의 호텔이나 기차 안 주유소 도시의 거리 한적한 교외 등이다 즉 그에게는 현실에서 보, , , . 여 지는 모든 것 그자체가 바로 주제인 것이다 이러한 주제이자 소재가, . 되는 것들은 우리가 매일의 생활에서 늘 접하는 친숙한 공간이다.

이러한 평범한 주제에 대한 자신의 입장을 동료작가인 버치필드(Charls 에 관한 그의 에세이에서 다음과 같이 이야기 E.burchfield, 1893~1967)

하고 있다.

평범한 예술가나 눈이 닫힌 문외한이 느끼는 한 시골마을의 매일매일

일상사의 권태 속에서 그는 시적이며 낭만적이며 서정적이라 불릴 수 있, 는 어떤 특질을 뽑아낸다 그 특질은 권태로서 그는 자신의 특별한 감성. , 으로 그것을 서사시적이며 보편적인 것으로 만들었다. 어떠한 분위기도 가치 없는 해석으로 보여 지지 않는다 정오의 불붙는 듯 한 태양 아래의. 아스팔트길, 철길 부근에 신이 져버린 듯이 놓여있는 자동차나 기관차, 짙푸른 잔디가 있는 여름날의 거리 포드자동차의 먼지 등 미국의 작은, 도시가 지니는 값싼 모든 생활과 그 이면의 모든 것들과 교외의 풍경에서

(23)

느껴지는 슬픈 고립 그는 무관심으로 흘려버리는 이러한 평범한 것들로, 부터 일상적인 자극을 끌어내었다.11)

호퍼는 문명의 상징물로써 주변의 풍경과 일상의 모습을 자주 등장시키 는데 특히 그의 그림에서 집은 문명의 질서를 나타낸다 집은 문명의 영. 역과 자연의 영역을 확연하게 구분지어 주고 그 두 공간 사이에는 어떠, 한 연관관계도 없다는 것을 나타내는 상징물이다.

도판 는 얼핏 보면 평범한 집을 나타낸 것으로 보이는데 자세히 보면 [ 9]

그 집은 버려진듯한 인상을 준다.

도판 철로변의 집 에드워드 호퍼

[ 9] , , 1925.

그림속의 집의 모습은 입구를 포함한 건물의 반이 그림자로 드리워져 있 어 날이 저무는듯한 인상을 주며 밖을 바라보게 만들어 졌을 창의 역할이 무색하게 주변은 공허하다 그림의 아랫부분을 나누듯 가로지르는 철길의. 모습은 아름다운 집의 모습과 대조적이다 집과 철로 그리고 아무것도 없. 는 모습의 조합은 처음 지어졌을 때와의 시간의 흐름을 추측하게 해주고 정리가 덜된 철길의 모습은 자연의 파헤쳐짐과 함께 상업화된 사회의 모 습을 대변하고 있다.

11) Brian O'doherty,「American Master , E.P.Dutton, New York, 1982, p.24~25.」

(24)

사람들로 북적 대는 바쁜 도시의 일상은 우리에게 익숙하다 그러나 호. 퍼는 표피적인 일상의 모습이 아닌 그 이면의 차가운 일상의 이미지를 나 타내었다 그 모습은 활발하고 복잡한 모습이 아닌 멈춘 듯 조용한 도시. 의 모습으로 나타난다 도판.[ 10]에는 밤 속의 도시적인 가게 모습을 나타 낸 것으로 황량한 거리와 불 꺼진 옆 건물과는 다르게 홀로 불을 밝히는 건물로서 외로운 도시의 모습을 연출 하였다 그리고 단순히 건물뿐만이. 아닌 건물의 실내의 인물에서도 도시의 특성을 보여주는데 각기 거리를 두고 떨어져 앉은 인물의 배치로 바에 홀로 앉은 남성 그리고 같이 앉아 있지만 얼굴을 마주하지 않는 남녀의 모습까지 세세한 부분에도 호퍼의 시대에 대한 의도를 찾을 수 있게 한다 이는 오늘날의 바쁜 도시 일상. 안에서 일회적인 만남과 조건적인 만남으로부터 느껴지는 현대 인간의 외 로운 모습을 보여준다.

도판 밤샘하는 사람들 에드워드 호퍼

[ 10] , , 1942.

또한 호퍼는 실내 공간과 실외 공간의 차이를 나타냄 으로써 다양한 시 각적 효과를 보여주고 있다 다음에 나올 도판. [ 11]의 내부공간과 외부 공 간 사이의 경계는 심리적 가치를 띄게 되고 극적 긴장감을 부여 받는다.

그림에서 집은 평온한 보금자리로서 밤의 한가운데 우뚝 서 있다 불을. 밝힌 아래층 방들과 거리로 면한 울타리 위로 환하게 불을 밝힌 창문은

(25)

안정감을 주는 요인들이다.

도판 관광객을 위한 방 에드워드 호퍼

[ 11] , , 1945.

반면에 집이 의미하는 개별적 공간과 외부로부터의 피난처 역할의 기능 은 소외감이라는 이중적 의미를 전달한다.

불 켜진 집의 실내의 인물은 앞의 도판에서처럼 묘사되어있지 않은 채 비워 놓았으며 주변의 어둠과 대조적이게 덩그러니 보여 지는 건물의 모 습은 외로운 분위기를 연출한다.

호퍼는 집의 모습을 대상 그대로 재현 하는 것이 아닌 설정을 통해 대상 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건물 주변의 모습과 세세한 인물의 설정을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외로운 이미지는 극대화 된다.

이렇게 나타낸 집의 모습은 단순히 집의 모습만을 나타낸 것이 아닌 도 시화 속 개인과 서로 떨어져 있는 현대인의 모습들을 대변한다.

호퍼는 실외풍경 이외에도 실내의 풍경역시 묘사하였는데 도시의 고독함 과 황량함 속에서 도시인들의 소외와 불안함 등 인간적인 문제로 접근한 다 식당과 극장은 그가 표현하고자 하는 내성적인 인물들을 위한 배경의. 역할을 한다 그는 식당이나 극장으로 대변되는 상업적 구조물에서의 인. 간의 소외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극장이나 식당은 대게 많은 사람들로. 붐비는 곳이다 이 복잡한 장소에서 발견된 호퍼의 그림 속 인물의 모습. 은 그 주변의 많은 사람들과 어울리는데 실패 했거나 수많은 군중 속에

(26)

쌓여 있으나 여전히 외로운 인물이다.

도판 의 제목인 식당은 필라델피아와 뉴욕에만 있는 카페 체 [ 12] Automat

인점으로 미국에서 가장 알려진 식당가운데 하나이며 모두 똑같은 형태로 되어있다.

도판 자급식당 에드워드 호퍼

[ 12] , , 1927.

매우 바쁘고 유명한 이 카페와 완전히 불일치하는 극도로 고요한 한명의 외로운 고객으로 호퍼는 도시와 기계에 대한 반감을 나타내는 이상한 분 위기를 포착했다 장엄한 진보와 현대 기계기술의 보급을 이룬 이 시기에. 낱말 오토매트는 자동화와 패스트푸드(fast food) 서비스 사이의 어떤 긍 정정 관계를 인식하고 제목을 지어졌을 것이다.

시선을 내리깐 채 침묵을 지키고 있는 여성의 부동성은 원형 탁자와 정 면의 빈 의자로 인해 더욱 부각된다 뒤쪽으로 길게 이어지는 램프의 행. 렬은 사각형 유리창과 어울려 독특한 전망을 만들어 낸다.

그러나 이렇게 본다면 착각이다 왜냐하면 유리창은 실내 공간을 거울처. 럼 되비칠 따름이기 때문이다 유리창 너머로 바깥은 전혀 보이지 않는. 다. 유리창은 다만 실내의 기하학적 특성을 부각시키면서, 마치 유리로 된 새장인 것처럼 여성을 그 안에 가둔다.

여성은 자기 자신에 침잠해서 시선의 고정성을 보여주는데 이런 모습은, 다른 신체 부위로까지 확산된다 그녀의 오른손은 맨손인데 왼손은 장갑.

(27)

을 끼고 있다 검게 칠해진 왼손은 장갑을 끼지 않은 오른손과 얼굴 깊. , 게 팬 목덜미와 맨살을 드러내고 있는 다리 등의 노출된 하얀 피부와 대 조되는데 장갑을 다 벗지 않은 채 커피를 마시고 있는 모습은 그나마 있 던 인물이 곧 자리를 떠날 것 같은 분위기도 나타낸다.

이렇게 호퍼는 일상에 낯익은 장면들을 세세하고 드라마틱한 그만의 화 법으로 이질적인 공간으로 만들어 내며 호퍼만의 주변 모습으로 탈 바꾸 어 우리에게 전달하였다 호퍼의 이러한 회화적 특징은 더욱더 획일화 되. 고 자아상실의 우리시대에 시사한 바가 크며 현실에 대한 모습을 직시하 도록 도우며 앞서 우리는 그의 작품 속에서 잃어버린 우리의 모습을 찾도 록 유도하고 있는 것이다.

. 로버트 롱고 (Robert Longo 1953~)

로버트 롱고는 주변의 매체들과 자신의 경험에서 작품의 소재를 얻어 독 창적인 사고와 결합하여 다양한 시각으로 시대의 모습을 나타내는 작가이 다.

또한 작가로서 가져야할 덕목으로 개척정신‘ (開拓精神)’을 주장하며 자신 의 세계를 구축해 나가는 롱고는 20세기 미국의 미술계에서 빼놓을 수 없는 작가 중 한명이다 그리고 예술은 시대에 영향을 주고 변화시킬 수. 있다는 확신을 가지고 작품 안에 자신의 개념과 가치관을 담아 현대문화 를 반영하고 사회적 기능을 제시하였다.

롱고의 이러한 성향은 문화적 사회적변화로서의 다원성 반총체 반이, , , 성 해체 참여 같은 특징을 가진 오늘날의 포스트모더니즘의 개념 에 부, , 합되는 부분이 많다.

이를 통해 롱고는 개성적이며 강렬한 이미지들을 창출하였고 사회의 문 제점들에 대한 사회 비판적인 의식을 작품에 담아내었다.

롱고의 작품은 순간적이다 마치 영화 속 한 장면을 정지시킨 듯한 이미. 지를 띠며 이로 인해 긴장의 최고조의 순간으로 우리를 안내 한다 또 하.

(28)

나의 특성은 그의 작품에서 보여 지는 흑백의 이미지인데 이는 이미 우리 에게 다가왔던 과거 속의 사진처럼 작품에서 보여 지는 장면들이 우리와 가까이 있음을 느끼도록 하며 퇴색된 현실의 모습을 그대로 나타낸듯 하 다.

도판 로버트 롱고

[ 13] Untitle <Dancing Trio>, , 1999.

그의 작품으로 잘 알려진 [도판13]은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회사원 복장의 차림으로 격식을 차려 입은 현대인의 모습을 대변하는 모 습의 남성이 제목에서도 알 수 있듯이 춤을 추는 모습으로 등장하지만 힘 없이 꺾여 있는 목과 중심을 잃은 듯 풀려있는 다리의 모습으로 겹쳐 바 쁜 일상으로 하여금 지쳐 있는듯한 모습으로 다가온다.

이처럼 롱고는 우리 주변의 모습을 반영하고 대중의 이미지를 차용하였 는데 이러한 부분은 이 논문에서 다루는 다른 작가들과 마찬가지로 가까 운 일상으로부터 영감을 받은 것을 알 수 있다.

차용이란 어떤 대상을 본래의 의미로부터 끌어내어 다른 요소에 결합시 키거나 혼합시킴으로써 그 본래의 의미를 박탈하거나 새롭게 해석 하는 것을 말한다.12) 롱고의 작업은 이처럼 일상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소재들 의 차용으로 자신의 작품을 제작하였다.

개인의 사고가 자리 잡는데 있어 어렸을 때의 주변 환경은 한사람의 형

12) 이 준, “신표현주의의 포스트모던적 특성”, 「미국 포스트모던 대표작가 4인전」, 호암갤러리, 1993, p.11.

(29)

성에 큰 영향을 준다 롱고는 발달한 대중매체의 통해 본 이미지들을 재. 창조하는데 많은 시간을 보냈고 실제로 자신이 자라면서 영향 받은 것들 로 [도판14]처럼 TV와 스포츠 여자 친구들 자동차 군인과 무기 장난감, , , 같은 것들을 언급하였다 이러한 점들은 어린 시절의 드로잉에서도 나타. 난다 대부분 탱크 풋볼선수 군인 우주비행사 카우보이 이미지들이었. , , , , 으며 이러한 소재는, 1970년대 후반에 제작된 작품에도 등장 하는 것을 찾아 볼 수 있다 또한 롱고는 과거의 다양한 영화 펑크나 뉴웨이브라는. , 장르위주의 음악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하였으며 이것은 작품 속의 분방한 인물과 드라마틱함에 나타난다.

이렇게 대중매체로 받은 영향들의 적극적인 활용으로 예술표현 영역의 폭을 넓혔으며 산업사회의 인물상을 객관화 시켜 나타낸 부분도 주목할 만한 부분이다 이처럼 롱고는 주변 상황과 그 안에서 만나는 일반적 사. 람들을 일상에서 얻어낸 핵심적 주제이자 소재로 나타내었다.

도판 로버트 롱고

[ 14] Body hammer:38 Special, , 1999.

이와 같이 그의 작품에 등장하는 남성과 여성은 현대사회에 직면한 인 간들을 상징화 한 것이며 그들의 배경에는 도시의 건물들과 풍경들이 다, 양한 매체와 이미지로 표현 되고 있다 또한 롱고는 개인적 차원에서의. 반항과 저항뿐 아니라 확대된 개념으로서의 인류의 희망과 평화까지 자,

(30)

신의 작품세계로 끌어들이고자 노력하였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롱고의. 예술세계는 인간 사회의 가치와 사회구성원의 행복에 대한 개념을 표현하 고자 하는 작가의식이 뚜렷이 담겨 있다.

그의 작품에 등장하는 주인공들은 자신이 선택한 역할을 표현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문화적으로 무력하고 조정되고 있는 듯한 이미지들을 전달, 하고 있다 그리고 롱고는 이러한 자아와 자각에 대한 자신의 의도를 인. 물들의 형상에 담아 제시함으로서 관람자로 하여금 그 질문들을 심각히, 생각해보고 자신을 깨닫도록 의도하였다. 또한 그의 작품들은 끊임없이 새로운 구성을 개발하여 보여주는 동시에 이러한 다양한 구성들을 통해, 작가가 관람자에게 제시한 정치적 사회적 존재적인 의문들을 개개인의 경· · 험과 해석에 의해 이해해 나가도록 유도하고 있다 롱고의 작품에는. [도 판15]처럼 제목이 붙지 않는 작품이 자주 등장 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점 역시 바라보는 관객의 이해에 따른 해석을 유도 하는 장치로도 해석 이 가능하다 이것은 사회와 개인 문화와 개인 간에 빚어지는 갈등과 힘. , 의 원리를 작품에 나타내고자 하는 작가의 취지를 엿볼 수 있는 중요한 감상적 요소가 된다.

도판 로버트 롱고

[ 15] Untitled, ,1981.

롱고의 작품에서 자주 보여 지는 인물의 특징으로서 그 의미를 찾아보자 면 그의 인간상은 구상적이나 일탈적이면서도 비틀어진 모습으로 등장하

(31)

는데 이것은 그의 작품이 물질을 중요시 하는 현대사회에 의해 개인이 파 괴된다는 것을 내포하고 있다는 사실을 반영한다.13) 따라서 롱고의 작업 에 나타난 인간상은 현대사회가 직면한 총체적 문제를 제기 하고 있다.

그리고 이것을 인식함에 있어서 여러 가지 복합적 시각이 요구되는 현실 의 표현인 셈이다.

이와 더불어 롱고는 전통적인 방식이 아닌 대중 매체의 광과 전략들을 자신의 작품에 도입하여 새로운 작업방식을 선보이는 작가이기도 하다.

무엇보다도 작업하는 방식에 있어 아직도 많은 예술가들이 자신의 작업, 실에서 혼자 작업에 열중하는데 비해 롱고는 시대의 특성을 이용해 많은 협력자들 즉 하나의 작품을 생산해 내기 위해 분업화된 체계를 가지고, 작업을 전개해 나감으로써, 변화하는 사회에 따라 적응하는 작업방식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미술 분야에서 뿐만이 아닌 다른 매체의 영역에서. 성공적으로 전개하는 롱고의 활동은 젊은 작가들에게 변화하고 있는 예, 술가의 상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시사 하는바가 크다고 하겠다.

의식적인 자아표출의 도구로의 활용 2.

오늘날 현대 미술에 있어 일상은 중요한 소재가 되었음은 본 논문을 통해 이야기된바 있다 일상은 예술의 대상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나아가 다양한 표현 방식으로 제시되어 진다 앞서 다룬 이론적 배경의. 작가들은 우리가 느끼는 시대의 모습을 화면으로 나타냄으로 보는 관객에 게 시대의 특성을 파악하게 함으로서 인간적인 삶이 이루어질 수 있는 동 기를 부여하였다.

이처럼 현대미술이 단순한 대상의 재현에 그치지 않고 인간으로서의 주 체성을 잃지 않기를 바라는 예술가의 의식은 작품에 적극적인 자세로서 나타나게 되었다 더 이상 일반적인 아름다움을 나타내는 고상한 표현으. 로서가 아닌 충격적인 대상의 모습과 추한 현실을 그대를 반영하는 난폭

13) 하워드 폭스,「남북전쟁에서 핀 대중예술」, 가나아트, 1992, p.38.

(32)

한 미술의 형태로도 나타난다.

이것은 예술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적극적으로 기대하고 예술가들의 생각을 주장하는 방식으로써 생겨나는데 이는 사회의 불안과 공포에서의 해방을 위한 예술의 배경을 가진 독일의 작가들의 작품에서 주로 찾아 볼 수 있다.

이번에 다룰 내용은 단순한 대상으로의 일상이 아닌 인간의 삶의 근본적 부분을 다루기 위해 제시되어지는 일상으로써 독일의 대표적인 작가 게오 르그 바젤리츠와 안젤름키퍼의 일상의 소재를 통해 적극적 표현방식과 그 로인한 예술의 기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가 게오르그 바젤리츠 . (Georg Baselitz 1938~)

바젤리츠는 독일 신표현주적 작가들로 분류되었고 그 중 선두 주자로서 인식을 받아왔으며 독일의 사회적 비판의식과 새로운 예술의 지향으로 자 유스럽고 독창적인 회화형식으로서 어떠한 형식의 틀 안에 단정 짓기 어 렵다고 할 수 있다.

바젤리츠의 본명은 케른(Hans-Georg Kern)으로 도이취바젤리츠라는 동 독의 한 도시에서 태어났으며 동 베를린의 미술학교에서 교육을 받았으나

정치적 미숙 이라는 이유로 서 베를린으로 이주하였다

' ' .

당시 독일의 분위기는 정치적 분단으로 인한 절망과 혼란의 분위기 속에 있었으며 이러한 분위기의 복구를 위한 미국의 영향은 문화적 갈등을 더 했으며 미술계에도 큰 영향을 끼쳤다.

독일의 미술계는 50년대에 있어 다양한 미술의 성향을 나타내었는데 크 게 동독은 사회주의 리얼리즘을 그대로 반영 하는 모습을 보이고 서독은 미국의 영향으로 추상미술의 양상을 나타내었다 바젤리츠의 서독으로의. 이주는 동독과 서독의 문화적 차이에 의한 혼란을 가져왔으며 이러한 이 질감은 또 다른 억압으로 작용하였다.

당시 추상미술의 지나친 이상적 표현방식의 반대적 입장으로 형상을 통

(33)

한 표현 방식의 표현주의 성격을 보이는 바젤리츠는 작품의 중심엔 인간 이라는 주제가 자리 잡고 있었으며 사회의 혼란과 시대의 부정적인 모습 들을 느끼는 그대로 표현함으로써 현실에 대한 자각을 알리고자 하였다.

바젤리츠는 자신이 살고 있는 사회의 모순적인 모습을 있는 그대로 추하 고 무감각적 인상으로 나타내었으며 기존의 미학적 기준을 거부하였고 그림은 있는 것을 보여주어야 한다 라고 말해 추상의 반대 입장과 반미

“ .”

학적 대상의 제시를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바젤리츠의 회화관은 독창적이고 자유스러운 회화는 작품을 거친 붓 터치와 소외의 심리묘사 분리되거나 상징적 대상을 나타내는 등 그의, 의식의 전달을 위한 표현방식은 그 어떤 것도 구애받지 않게 되었으며 대 상은 미화시키지 않고 오히려 인체의 내장이나 살덩어리 같은 혐오스러, 운 소재들도 전달을 위해서는 마다하지 않았다 이러한 독특하고 반 미학. 적 표현방식은 당시 미술계의 이목을 집중시켰으며 사회로부터 불만스러 운 목소리를 듣게 하였다.

년 전시 했던 도판 의 양동이속의 위대한 밤 이라는 제목의 그

1963 [ 16] ‘ ’

림은 얼굴의 모습이 완전하지 않고 대상의 세부적인 모습은 알아보기 힘 든 인간의 형태만 가진 인물의 그림으로 그 인물은 어두운 배경을 뒤로하 고 성기를 노출하고 있다.

도판 양동이속의 위대한 밤 게오르그 바젤리츠

[ 16] , , 1961.

벌거 벗은 채 수음을 하는 이 그림은 반 미학적 표현으로 전시를 통한

(34)

관람객에서 거부반응을 이끌었으며 국가의 권력에 대한 도전으로 해석되 어 결국 바젤리츠는 경찰에 검거 되었다 국가로부터 기소된 바젤리츠는. 변호사 프란즈 달렘 (F.Dahlem)의 도움으로 2년여 동안의 재판을 거쳐, 결국 자신의 작품을 돌려받는데 성공했다 바젤리츠는 국가가 양동이속의. <

위대한 밤 에서 단지 외적인 형상의 비도덕성만을 문제 삼은것이 아쉽다>

고 말했는데 그 그림은 자신의 젊은 날의 초상이라고 말하고 있다, .14) 이 처럼 바젤리츠의 작품 안에는 자유로운 주체와 검열과 속박의 당시 배경 이 되는 일상의 모습은 작품에 주가 되는 배경이자 근원이었다.

어렸을 적 폭격을 통해 오래전 죽은 슬라브인의 시체를 본 장면은 충격 이자 잊을 수 없는 장면으로 이야기 하였으며 위에서 언급한 동독과 서독 의 사이에서 자신의 위치에 대한 혼란을 나타낸 것 이며 스스로를 이방인 이자 외톨이라고 생각하였다 훗날 바젤리트는 그 사건의 장면을 떠올릴. 때 마다 표현할 수 없는 흥분을 느꼈으며 감각의 진실을 알게 되었다고 말했다.15)

바젤리츠의 작업은 독일의 표현주의와 리얼리즘 전통의 기본입장인 예‘ 술은 인간과 생의 의미에 대한 탐구 라는 인식의 재확인이다’ .16) 이처럼 바젤리츠는 인간의 내면에 대한 탐구와 의식의 제시로 작품을 나타내고 그는 인물을 나타내는데 있어 특정한 성격을 드러내지 않는 남녀노소의 모습을 배제시키고 육체의 기본특징만으로 표현하였으며 이것은 총체적 인간상을 통해 인간 본질에 대한 의미를 부여하였다.

바젤리츠는 개인의 자아와 대상의 구체화 주변 환경의 투영을 바탕으로 개인마다 다른 사고나 다른 문화로 인한 정체성들을 대상을 변형 해체, , 들을 통하여 나타내었고 다음 도판[ 17, 18]에서 나타나듯이 특유의 180도 거꾸로 그리는 표현방식으로 대상의 본질에 중점을 두고 바라볼 수 있도 록 유도하였다.

이는 바젤리츠가 바라보는 삶의 특징을 부정적으로 표현하는데 있어 결

14) Baselitz, 「Darstellen , p.45.」 15) Ibid.

16) 김봉선,「Georg Baselitz의 작품연구」, 석사학위논문 전주대학교, , 2002, p.23.

(35)

정적인 표현방식이며 이 부정적 표현은 세상을 똑바로 바라볼 수 있도록 하는 권유이자 충고인 것이다.

대상을 무섭게 혹은 추하게 나타냄으로서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대상을 느끼게 하는 표현은 니체의 관점에서도 나타난다 니체는 추를 예술 생. ‘ 리학 으로 이해했는데’ , 예술 고유의 충만함을 감각적 욕구로 본 것이 다.17) 따라서 니체는 추를 예술가의 의지와 감각과 무감각하게 되어버, , 린 감각 속에서 새로운 감각을 깨우는 그런 사물의 관찰로 보았다.18)

도판 엘케 바젤리츠 도판 왈드 바젤리츠

[ 17] (Elke), , 1976. [ 18] , , 1990.

또한 니체는 미를 인간적인 것이라고 생각하였으며 예술 미 에 대한 이‘ ’ 러한 이해는 이상주의 미를 배격하며 실존주의 미를 추구하는 것으로 작 품의 형식보다는 실존의 추 를 추의 긍적적인 가치로 평가하고 있다‘ ’ .19)

이와 같은 맥락으로 바젤리츠는 이렇게 자신의 눈에 비추어진 난폭하고 비정상적인 모습을 나타내는 거칠과 변형된 다양한 화법으로 무감각해진 살아가고 있는 일상의 모습을 충격과 공포의 모습으로 바꾸어 나타내었 다. “나는 항상 그림을 시작할 때마다 마치 어떤 대상을 처음 그린 양 또 그것이 유일한 것인 양 가장하고 그린다.”20)라고 말한 것처럼 대상을 향

17) F.Nietzsche, 「Zur Genealogie der Moral , 1887, p.852.」

18) F.Nietzsche, Werke, Bd.2, 「Götzen-Dämmerung , 1888, p.1032.」

19) 김향숙, "추의 미학 추의 형상, ", 「미술사학19호」,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05, p.79.

(36)

한 솔직한 시선을 통해 일상의 폐해에 물들어 있는 사람들을 향해 자각의 소리를 전달 하려 하였다.

나 안젤름 키퍼. (Anselm Kiefer 1945~)

안젤름 키퍼는 2차 세계대전을 배경으로 1945년 독일의 도나우 슁겐에 서 태어났으며 1969년 칼스루 예술 아카데미에서 미술공부를 하였다. 년대 요셉보이스의 강의를 청강 하였고 이는 키퍼의 표현방식에 영 1970

향을 끼쳤다 그의 어릴적 일상의 모습은 전쟁과 오랫동안 독일을 지배한. 나치즘의 잔해가 남아있는 시절로서 키퍼의 예술 활동의 전반적 분위기에 서도 나타난다 독일 민족이 가지고 있는 강인함과 의지 그리고 이러한. 전쟁의 흔적들은 일상 속에 고스란히 남아 있으며 이러한 일상의 모습은 키퍼의 작품 속에 삶에 대한 고찰의 결과물로서 나타난다.

키퍼의 작품에는 대지의 모습이나 상징소재의 사용으로 공허하고 황폐화 된 풍경의 모습을 나타내었다 또한 큰 크기의 대형작업과 납이나 지푸라. 기 같은 다양한 소재들을 화면에 붙이는 형식으로 새롭고 낯선 화면으로 보는 사람들을 압도 하였다.

마크 로젠탈은 뉴욕 현대 미술관(MOMA)에서 1988년 열린 전시와 함께 발간된 화집의 한 평문에서 키퍼의 작품을 이렇게 설명한다. “그는 문화, 종교 역사 그리고 문학에서 이끌어낸 도상을 풍경과 건축물의 기념비적, , 인 주제와 결합시켜 과거와 현재의 인간의 문명을 검토하고 이해하려 한 다 인간 조건에 대한 키퍼의 서사적 작품들은 인간의 깊은 감정과 복잡. 한 그리고 미묘한 주제를 담고 있고 그와 함께 엄청난 활력을 발산한다.

그의 작품은 로마제국에서 히틀러 시대까지의 제국주의적이고 억압적인 독일의 역사와 그 위풍당당했던 역사가 지금은 씻을 수 없는 암울한 얼룩 으로 남아 있다는 사실을 반영한다 그는 특히 네로와 히틀러 같은 인물. 에 관심을 가졌는데 그런 점에서 키퍼는 바젤리츠와 뤼페르츠와 함께 독

20) 질리오드,「모순과 역설로 창조해 낸 형상 회화」,월간미술, 1992, p.104.

(37)

일의 과거 역사의 실체를 파헤치려는 선동가로서 인식된다.21)

도판 안젤름 키퍼

[ 19] , Nigredo, 1984.

키퍼는 대부분 자신의 배경인 독일적 소재들을 차용하여 작품에 나타내었 고 잔재하는 역사의 흔적들을 등장시켰다. 1969년 키퍼는 여러 차례의 해외여행을 하며 나치에게 경례 하는듯한 모습의 사진을 찍고 작업에 나 타내었는데 이는 지난 독일의 흔적을 지우려는 시대의 인식이 짙은 사회 적 배경에 있어서 좋지 않은 평을 듣게 하였다 하지만 키퍼는 나치의 실. 체에 대항하려 했으며 과거는 지워질 수 없으며 파시즘 권력의 씨들은 여 전히 모든 사람의 영혼에 어느 정도 심어져 있다는 사실을 상기 시킨 다.22)

이처럼 키퍼는 감추고 싶어 하는 역사의 흔적들을 감추는 것 이 아닌 오 히려 자신의 작품을 통해 드러냄으로서 근원에 대해 다시금 생각할 수 있 게 전환의 계기를 만들고자 하였다 전쟁의 흔적을 나타내는. [도판19]와 같은 황폐화된 대지의 이미지나 수용소 같은 독일의 역사적 건축물의 공 간 안에 일반적으로 생명과 죽음의 양면성을 나타내는 이중적 이미지인 불이나 뱀과 같은 소재를 통해 다른 시각의 접근을 유도 하였다 키퍼는. 예술가의 사명으로 작품을 통해 정답을 내놓는 것이 아닌 보는 이로 하여

21) J.L . 페리에,「20세기 미술의 모험」, 김정희 역, API출판사편집부, 1990, p.53.

22) 김정진,「독일 신표현주의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대학원, , 2002, p.35.

(38)

금 문제에 대한 숙고의 동기를 유발 시키는데 있다고 보았다.

니체는 “진실은 추하다 우리는 진실로 인해 멸망치 않기 위해 예술을. 가지고 있다.”23)라고 이야기 하며 추와 미는 개인적 차별을 가질 수 있다 는 견해를 가지고 시대에 따라 달라지는 가변적인 개념으로서 그 기준은 형식보다 내용에 근거 하고 있으며 난폭하거나 강한 진실의 이미지는 깨 우침을 위한 의식적인 도구로서 사용될 수 있다고 하였는데 키퍼의 작업 은 이러한 점과 연관시켜 의미를 해석 할 수 있다.

이러한 난폭한 이미지의 표현은 당시 표현주의 예술가들의 작품과 오늘 날의 현대미술을 통해 많이 볼 수 있는데 이러한 점은 오늘날 전쟁과 같 은 실질적이고 물리적인 시대로부터 떨어진 현대사회 속에서의 시대의 특 성으로 인한 폭력성과 혼란을 느끼고 있음을 엿 볼 수 있게 한다.

년대에 키퍼는 기름 납 사진 목판 모래 지푸라기 아스팔트 등

1980 , , , , , ,

의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면서 기법적으로 성숙한 단계에 도달했다 이러. 한 재료의 텍스츄어와 조각적인 특징은 관람객에게 혐오감을 주는 동시에 주의를 끌게 했다 그림의 크기와 복합성은 작품의 강력한 현존성을 보유. 하며 추상적 속성이 특징적으로 나타난다 이같이 키퍼는 거대한 스케일. 과 추상표현주의의 시각적 풍부함을 의미있는 주제와 통합시키며 형태와, 내용 현실과 이상 미술과 삶을 한데 묶는다, , 24)

이처럼 키퍼의 주변에서 끌어들여온 실질적 재료들은 화면 안의 이미지 들과 결합함으로 더욱 강력하게 다가오게 하며 이는 단순히 일상을 표현 의 대상이 아닌 재료적인 부분으로 끌어들여 표현의 일부분이 되도록 함 으로써 직접적인 전달에 큰 의미를 가진다 화면을 구성하는 많은 재료. 중 짚의 사용은 전통적 아름다움의 대상을 재현하는 풍경화로부터 강하고 거칠며 역사에 대한 물음이 제기되어지는 새로운 사유의 풍경화로써 그 모습을 나타내었다. [도판19]에서 보이는 키퍼의 상징적 이미지인 불과 관련된 소재로써 짚의 물리적 허약함에 대한 느낌을 거친 땅의 이미지와,

23) F,Nietzsche, Bd.1, 「Die Geburt der Tragödie , 1872, p.48.」

24) 김정진,「독일 신표현주의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 논문 경기대학교 대학원, , 2002, p.36.

(39)

함께 독일의 역사와 운명을 암시적으로 나타내었다.

도판 안젤름 키퍼

[ 20] , Margarete, 1981.

작품제목에서 나타나는 마가레트 는 시‘ ’ ( )詩 속에 나오는 인물로서 독일 에 대한 표현이며 이 주제는 첼란(Paul Celan)이 1945년 집결 부대에서 쓰고 1952년에 발간한 몹시 괴로움을 주고 고통을 주는 “죽음의 전주곡” 이란 제목의 시에서 연유 한다.25) 이 시에서 마가레트는 금발의 인물 슐, 라미트는 검은머리로 나타나는데 [도판20]에 나오는 짚은 마가레트의 머 리카락을 상징함으로 높게 자라나는 식물로의 표현은 독일민족으로의 힘 차고 희망적인 모습으로 나타내었다.

이처럼 키퍼는 일상을 이루는 주변의 대상과 재료로서 그리고 민족성을 나타내는 신화적이며 역사적 소재는 작품을 통해 상징적으로 나타나며 그 의 작품 곳곳에서 볼 수 있으며 다양하게 나타나는 소재를 화면의 분위기 가 구조를 통해 다양한 의도와 해석의 기반이 되며 키퍼의 전체적 이야기 에 대한 흐름을 연결시킨다.

키퍼는 가장 자신의 존재를 잘 나타내는 독일적 내용을 통해 관객에게 동질감을 유도하며 일상적 이미지와 소재를 통해 그의 의식들을 적극적으

25) 김정연, 「Anselm Kiefer 회화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 논문 조선대학교 대학원, , 1999, p.25.

(40)

로 전달함으로써 독일과 자신의 정체성에 물음을 던지고 오늘날 예술의 역할에 대한 예시와 주변의 인식에 흔들리지 않고 대응하는 작품세계로 독자적 예술가의 자세를 보여주고 있다.

참조

관련 문서

우리나라의 인공태양 KSTAR를 실제로 견학해보고, KSTAR 소개 기사에 넣을 내용 을 연구자의 설명을 메모하거나 개별 질문을 통해 견학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e out the reason of which non-regular workers have been increased since the crisis, to show some problems of their

본 연구의 목적은 광주광역시에서 발생되는 생활폐기물의 효율적인 개선 방안의 모색을 위하여 발생원에서부터 감량화 방안을 모색하고 발생폐기물.. 제1장 서론에서는

이렇듯,과거에 성급히 도입되어 실패한 수많은 제도와 같은 전처를 밟지 않도록 하 기 위해 정부에서는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발주방식을 선정하여 건설

○ 스트로볼리안 분화와 플리니안 분화의 디지털 홀로그램 제작 기술 연구 - 홀로그램 제작에 관한 선행 연구를 통한 홀로그램 개념을 정립한다. - 레이저 커팅기를

셋째,우리나라 농지 유동화의 방향은 경영규모별 농가호수가 양극으로 분화되어 가는 가운데 기계등 자본장비가 충실하고 영농의욕이 강한,소수의 규모가 큰 농가 가

이렇게 공간디자인에 있어서 공간의 주체자인 인간의 능동적인 참여가 매우 중 요한 요소로 자리를 잡고 있다 이것은 다양한 방법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그중.

Basic Books. 신제품 개발에 있어서 감성디자인 요소가 제품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중앙. 대학교 공업디자인대힉원 석사학위논문. 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