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한・중・일 부품소재산업의 경쟁력 분석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한・중・일 부품소재산업의 경쟁력 분석"

Copied!
12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제4 7 9호 ( 2 0 1 0 - 11) 2010. 5. 11

[요 약]

◦ 우리나라는 주력 수출상품에 투입되는 핵심 부품소재의 원천기술이 일본보다 열위에 있어 부품소재의 대일 역조가 심화되고 있는 상황

- 더욱이 최근에는 중국 부품소재산업의 경쟁력이 강화되어 점차 우리에게 위 협적인 상황으로 진행

◦ 본고에서는 한・중・일 3국의 부품소재 경쟁력이 세계시장에서 어떻게 변화되어 왔으며, 한국의 대일・대중 교역구조에서 어떠한 변화를 겪고 있는지 분석

◦ 2 0 0 0~2 0 0 7년 기간 중 한・중・일 3국의 부품소재 세계시장 점유율은 일본이 다소 감소하고 한국은 완만한 증가세에 그치고 있는 반면, 중국은 급속한 증가 세를 시현

◦ 우리나라의 부품소재 제품에 대한 중국의 위협 정도를 분석한 결과, 중국 수출 의 절반 이상이 한국에 위협적인 것으로 나타나 일본의 위협을 넘어서고 있는 상황

- 과거 중국은 부품소재를 우리나라로부터 수입하여 완제품을 수출하는 형태 를 보여 왔으나, 분석결과 중국과의 경쟁력 역전현상이 대일 의존관계 심화 에 더하여 중요한 현안으로 대두

◦ 우리나라 부품소재산업은 향후 일본, 중국 제품과의 차별화를 도모하고 고부가 가치화를 촉진하기 위해 핵심 부품소재 개발과 제품의 고급화 등에 역량을 집 중할 필요

한・중・일 부품소재산업의 경쟁력 분석

(2)

2 0 0 7년 중국의 부품소재 세계시장 점유율이 韓・日을 추월

◦ 우리 경제는 반도체, 휴대폰 등 수출효자 품목의 핵심부품을 대부분 일본으 로부터 수입하기 때문에, 완제품 수출이 증가할수록 대일 무역적자가 늘어 나는 대일 의존형 산업구조를 보이고 있음.

- 부품소재의 대일 의존을 극복해야 하는 상황에서, 우리나라 부품소재산 업은 최근 중국의 세계시장 점유율이 급속히 상승함에 따라 세계시장에 서의 입지가 크게 약화되고 있음.

◦ 2 0 0 0 ~ 2 0 0 7년 기간 중 한・중・일 3국의 부품소재 세계시장 점유율 변화를 보면, 중국이 가장 빠른 증가세를 보이고 한국도 완만한 증가세를 보인 반 면, 일본은 오히려 감소하고 있음.

- 중국의 세계시장 점유율은 2 0 0 0년 3 . 5 %에서 2 0 0 7년 1 0 . 2 %로, 한국은 동 기간 중 3 . 8 %에서 4 . 2 %로 상승한 반면, 일본은 1 1 . 7 %에서 8 . 0 %로 하락함.

- 2006년 이후 중국의 세계시장 점유율이 일본을 추월함.

◦ 2 0 0 7년 기준 세계시장 점유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분야는 한국의 경우 전자 부품과 컴퓨터부품, 중국은 컴퓨터부품, 섬유소재, 전자부품, 일본은 전자부 품과 비금속광물, 정밀기기부품 등임.

- 2 0 0 0 ~ 2 0 0 7년 기간 중 한국의 세계시장 점유율은 전자부품이 6 . 5 %에서 9 . 6 %로, 컴퓨터부품이 6 . 8 %에서 7 . 4 %로 상승한 반면, 섬유소재는 8 . 2 % 에서 3 . 9 %로 하락함.

- 일본은 모든 부품소재산업에서 세계시장 점유율이 하락함.

- 중국은 모든 산업의 세계시장 점유율이 상승한 가운데, 특히 컴퓨터부품 (6.2% → 2 7 . 4 % )과 전자부품(3.3% → 1 6 . 2 % )의 세계시장 점유율이 급 속히 증가함.

・이는 대만, 일본, 한국의 컴퓨터 및 전자업체들이 중심이 되어 생산기지 를 자국에서 중국으로 점차 이전하는 데서 비롯된 것으로 판단됨.

(3)

2 0 0 0 ~ 2 0 0 7년 기간 중 韓・中은 부품산업 경쟁력이 강화되고, 日은 소재 산업 경쟁력이 개선

◦ 부품과 소재산업으로 나누어 R C A지수1 )를 기준으로 부품소재산업의 경쟁 력 변화를 보면, 한국은 2 0 0 0 ~ 2 0 0 7년 기간 중 부품산업의 경쟁력이 강화 된(0.98 → 1.11) 반면, 소재산업의 경쟁력은 약화된(1.05 → 0.81) 것으로 나타남.

- 중국 역시 부품산업의 경쟁력은 강화되고(0.96 → 1.10), 소재산업의 경 쟁력은 약화됨(1.09 → 0 . 8 2 ) .

<표 1> 한・중・일 3국의 부품소재산업별 세계시장 점유율 변화

단위:%

자료:UN, Comtrade Database에 의거하여 계산.

자주:세계시장점유율은 세계총수출에서 차지하는 각국의 수출비중으로 계산하며, 세계총수출은 1 9 9 5년 이후 연속된 수출통계를 발표한 8 0개국의 수출의 합으로 계산.

한 국 중 국 일 본

2 0 0 0 2 0 0 4 2 0 0 7 2 0 0 0 2 0 0 4 2 0 0 7 2 0 0 0 2 0 0 4 2 0 0 7

섬유소재 8.2 5.1 3.9 11.4 18.8 24.4 6.0 4.9 4.1

화학소재 3.2 3.4 3.7 2.4 3.5 5.5 8.5 6.7 5.7

고무・플라스틱제품 3.6 3.5 3.2 3.8 5.1 7.8 8.4 8.2 7.7

비금속광물 2.3 2.2 1.8 4.0 7.8 11.6 14.7 12.3 11.0

제1차금속 4.0 4.6 3.2 3.1 5.8 8.9 8.4 7.4 6.6

조립금속제품 3.0 2.9 3.5 4.1 7.1 11.4 10.3 9.6 7.3

일반기계부품 1.7 2.1 2.6 2.1 4.2 7.0 13.4 11.6 9.6

컴퓨터부품 6.8 7.3 7.4 6.2 19.6 27.4 10.9 7.8 2.1

전기기계부품 1.6 2.0 2.6 5.7 9.2 13.2 12.8 9.8 7.6

전자부품 6.5 7.3 9.6 3.3 9.7 16.2 15.6 13.5 11.5

정밀기기부품 0.8 1.0 1.7 2.2 3.4 5.4 14.2 12.9 10.9

수송기계부품 0.9 1.6 2.4 0.9 2.0 3.7 11.0 9.7 8.5

부품소재 합계 3.8 4.0 4.2 3.5 7.2 10.2 11.7 9.7 8.0

1) R C A지수는 특정국의 품목별 세계시장 점유율을 특정국의 세계시장점유율로 나눈 값으로, 그 값이 1보 다 크면 해당국가의 k품목이 자국의 여타품목에 비해 비교우위(경쟁력)가 있는 것으로 해석함.

R C Ai k= =

1) 단, X

i k:i국의 k상품의 대세계 수출액, TXk:세계전체의 k상품 수출액(수입액) . Xi:i국의 총수출액, TX:세계전체의 총수출액(총수입액) .

( Xi k/ Xi) ( Xi/ T X ) ( Xi k/ T Xk)

( T Xk/ T X )

(4)

- 반면, 일본은 부품산업의 경쟁력은 큰 변화가 없으며(1.12 → 1.12), 소 재산업은 R C A지수가 1 이하에 머물고 있으나 이 기간 중 경쟁력이 개선 됨(0.72 → 0 . 7 9 ) .

◦ R C A지수 기준의 경쟁력 변화를 산업별로 보면, 한국은 화학소재, 조립금속 제품, 일반기계부품, 전기기계부품, 전자부품, 정밀기기부품, 수송기계부품 등의 경쟁력이 상승하고, 나머지 분야는 오히려 약화되었음.

- 중국은 섬유소재의 경쟁력이 약화되었음에도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 고 있고, 컴퓨터부품의 경쟁력은 한층 더 강화됨.

- 일본은 화학소재, 컴퓨터부품, 전기기계부품을 제외한 대부분의 산업에 서 경쟁력이 개선되었고, 컴퓨터부품의 경쟁력 하락이 두드러짐.

◦ 한편, 2007년 현재 한・중・일의 산업별 R C A지수가 1을 상회하여 경쟁력을 보유한 것으로 평가되는 산업은 한국의 경우 전자부품과 컴퓨터부품임.

- 중국은 섬유소재, 컴퓨터부품, 전자부품, 전기기계부품이고, 일본은 전자

<표 2> 한・중・일의 산업별 R C A지수

자료:UN, Comtrade Database에 의거하여 계산.

한 국 중 국 일 본

2 0 0 0 2 0 0 7 2 0 0 0 2 0 0 7 2 0 0 0 2 0 0 7

섬유소재 2.15 0.93 3.25 2.40 0 . 5 1 0.51

화학소재 0.85 0.87 0.69 0.54 0.73 0.72

고무・플라스틱제품 0.94 0.76 1.08 0.77 0.72 0.96

비금속광물 0.60 0.42 1.14 1.14 1.26 1.37

제1차금속제품 1.05 0.77 0.89 0.87 0.72 0.82

(소재 전체) 1.05 0.81 1.09 0.82 0.72 0.79

조립금속제품 0.80 0.82 1.18 1.12 0.88 0.91

일반기계부품 0.46 0.61 0.60 0.69 1.15 1.20

컴퓨터부품 1.79 1.75 1.76 2.70 0.93 0.27

전기기계부품 0.43 0.62 1.63 1.30 1.10 0.95

전자부품 1.72 2.28 0.95 1.59 1.34 1.44

정밀기기부품 0.21 0.40 0.61 0.53 1.21 1.36

수송기계부품 0.23 0.56 0.27 0.36 0.94 1.06

(부품 전체) 0.98 1.11 0.96 1.10 1.12 1.12

R C A > 1인 산업 수 4 2 6 6 5 5

(5)

부품, 정밀기기부품, 일반기계부품, 비금속광물임.

수출금액 기준 일본 수출제품의 51.7%, 중국 수출제품의 6 3 . 2 %가 한국에 위협적

◦ 부품소재산업에서 일본과 중국이 한국에 얼마나 위협적인지를 살펴보기 위 하여 2 0 0 0 ~ 2 0 0 7년 기간 중 각국의 세계시장 점유율2 )변화를 비교함.

◦ 2 0 0 0~2 0 0 7년 기간 중 세계시장 점유율의 변화로 본 부품소재산업의 한・

일 간 경쟁관계는 한국의 세계시장 점유율이 증가하고는 있으나 한국제품에 대한 일본의 위협은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됨.

- 수출금액 기준 일본 제품의 1 1 . 4 %가 한국에 대해 직접적 위협, 40.3%가 부분적 위협으로 일본 수출의 5 1 . 7 %가 한국에 위협적임.

- 위협이 없는 제품은 26.8%, 한국이 오히려 일본에 위협적인 경우는 1 0 . 5 %임.

◦ 산업별로는 화학소재, 고무・플라스틱제품, 비금속광물, 일반기계부품, 전자 부품, 정밀기기부품 등은 우리나라보다 일본의 세계시장 점유율이 더 빠르 게 증가하여 일본이 한국에 대해 부분적 위협 상대국임을 보여줌.

2) 세계시장 점유율은 2 0 0 0 ~ 2 0 0 7년까지의 UN Comtrade 무역데이터를 통해 구했으며, 객관적 평가를 위 해 HS 6단위 품목을 기준으로 한국의 2 0 0 7년 현재 1 0만 달러 이상 수출 품목만을 대상으로 함.

<표 3> 세계시장 점유율 변화에 따른 경쟁관계 해석

주:John Weiss, People’s Republic of China and Its Neighbors:Partners or Competitors for Trade and Investment, August 2004.

세분류

세계시장 점유율

경제적 의미 한 국

(2000 → 2 0 0 7 )

일본, 중국 (2000 → 2 0 0 7 )

경쟁 관계

① 직접적 위협 감소 증가 일본, 중국이 한국을 크게 위협

② 부분적 위협 증가 韓보다 증가 일본, 중국이 한국을 다소 위협

③ 無위협 日・中보다 증가 증가 일본, 중국은 한국에 위협적이지 못함

④ 逆위협 증가 감소 한국이 오히려 일본, 중국을 위협

⑤ 無관계 감소 감소 경쟁관계 없음

(6)

- 반면, 조립금속제품은 한국이 오히려 일본을 위협하는 것으로 분석됨.

- 이 외에 섬유소재와 제1차금속은 일본이 한국을 크게 위협하고 있으며, 전기기계부품과 수송기계부품은 한국의 세계시장 점유율이 일본보다 크 게 증가하여 위협적이지 못한 것으로 나타남.

◦ 이처럼 한국에 비해 일본이 훨씬 높은 세계시장 점유율을 유지하고 있어 원천 기술 부족에 따른 대일 의존도는 여전히 해소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평가됨.

- 2 0 0 8년 대일 부품소재 무역적자는 2 0 9억 달러로 전체 대일 무역적자의 6 4 %를 차지함.

◦ 한편, 한・중 간에는 수출금액 기준으로 중국제품의 1 7 . 9 %가 한국에 대해 직접적 위협, 45.3%가 부분적 위협으로, 전체적으로 중국 수출의 6 3 . 2 %가 한국에 위협적인 것으로 나타남.

- 위협이 없는 제품은 17.3%, 한국이 오히려 중국에 위협적인 경우는 1 5 . 3 %임.

<표 4> 세계시장에서 한국 부품소재 제품에 대한 일본・중국의 위협

단위:%

자료:UN, Comtrade Database에 의거하여 계산.

자주:한국의 부품소재 산업별 수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으로, 일본과 중국 제품이 한국의 부품소재산업 수출 에 얼마나 위협적인지를 표시.

일본의 위협 중국의 위협

직접적 위협

부분적

위협 무위협 역위협 무관계 직접적

위협

부분적

위협 무위협 역위협 무관계

섬유소재 4 6 . 8 6 . 9 4 . 1 8 . 6 3 3 . 7 7 8 . 6 1 5 . 2 1 . 4 2 . 9 1 . 9 화학소재 1 7 . 1 4 4 . 3 7 . 4 1 3 . 3 1 7 . 8 1 2 . 5 1 4 . 0 6 . 7 4 4 . 4 2 2 . 4 고무・플라스틱제품 3 7 . 1 5 1 . 3 1 . 6 2 . 6 7 . 3 4 1 . 8 2 9 . 8 2 . 6 2 3 . 1 2 . 6 비금속광물제품 1 5 . 2 3 7 . 3 2 7 . 0 1 1 . 0 9 . 5 2 3 . 5 2 5 . 6 3 2 . 4 1 7 . 3 1 . 2 제1차금속제품 3 5 . 0 2 2 . 5 1 6 . 6 1 7 . 5 8 . 4 3 6 . 1 2 7 . 3 1 6 . 2 1 5 . 0 5 . 5 조립금속제품 2 5 . 9 2 8 . 5 3 . 6 3 6 . 8 5 . 3 3 0 . 0 3 9 . 3 1 1 . 6 1 8 . 0 1 . 1 일반기계부품 5 . 4 6 1 . 5 1 9 . 1 1 1 . 0 3 . 0 8 . 1 3 9 . 7 1 2 . 9 3 9 . 0 0 . 3 컴퓨터부품 0 . 0 0 . 0 0 . 0 3 6 . 5 6 3 . 5 6 3 . 5 3 6 . 5 0 . 0 0 . 0 0 . 0 전기기계부품 1 3 . 0 2 4 . 4 3 5 . 1 2 2 . 9 4 . 6 1 6 . 7 3 5 . 2 4 5 . 3 1 . 9 0 . 8 전자부품 2 . 3 5 7 . 0 3 9 . 7 0 . 7 0 . 4 2 . 4 8 0 . 2 1 3 . 0 4 . 0 0 . 3 정밀기기부품 2 0 . 6 5 5 . 4 1 8 . 9 4 . 4 0 . 7 2 1 . 2 1 4 . 6 4 6 . 5 1 7 . 6 0 . 1 수송기계부품 5 . 1 1 3 . 7 8 0 . 0 0 . 8 0 . 4 3 . 6 4 . 4 7 5 . 2 1 4 . 9 1 . 8 부품소재 전체 1 1 . 4 4 0 . 3 2 6 . 8 1 0 . 5 1 1 1 7 . 9 4 5 . 3 1 7 . 3 1 5 . 3 4 . 2

(7)

◦ 섬유소재, 고무・플라스틱제품, 제1차금속, 컴퓨터부품 등에서 중국의 위협 이 비교적 큰 것으로 나타나고 있음.

- 특히 컴퓨터부품의 경우 한국의 시장점유율 상승이 국내 컴퓨터업체의 중국 이전에 따른 부품수출 확대와 L C D모니터 등의 수출 증가에 기인하 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일반 컴퓨터부품은 이미 중국의 위협에 직면한 것으로 평가됨.

- 전자부품은‘부분적 위협’품목이 수출금액 기준으로 8 0 . 2 %나 차지해 향 후 중국의 위협이 가시화될 것으로 우려되며, 화학소재는‘역위협’품목이 절반 가까이 차지하고 있어 아직 중국의 위협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남.

대중국 교역에서 소재 경쟁력은 약화되고, 부품 경쟁력은 개선

◦ 우리나라의 대중국 부문별 부품소재 수출비중은 2 0 0 8년에 전자부품이 4 0 . 2 %로 가장 높고, 그 다음은 화학소재 22.0%, 전기기계부품 9.0%, 제1 차금속 7.9%, 일반기계부품 7 . 4 %의 순임.

- 대중국 부품소재 수출에서 부품의 비중은 1 9 9 5년 1 9 . 6 %에서 2 0 0 0년 41.0%, 2008년 6 6 . 8 %로 크게 증가한 반면,

- 소재의 비중은 1 9 9 5년 8 0 . 4 %에서 2 0 0 0년 59.0%, 2008년 3 3 . 2 %로 꾸 준히 하락함.

◦ 무역특화지수3 )로 본 경쟁력의 변화를 보면, 우리나라는 2 0 0 8년에 화학소 재(0.56), 정밀기기부품(0.51), 수송기계부품(0.38), 전자부품(0.34), 일 반기계부품(0.33) 등에서 중국에 대해 경쟁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남.

- 2 0 0 0년에 높은 경쟁력을 보였던 소재부문은 2 0 0 0년대 들어와 대중국 경쟁력이 계속 하락하고 있는 반면, 부품부문은 다소 개선됨.

3) 무역특화지수(TSI : Trade Specification Index)는 각 품목의 수출입 차를 해당품목의 교역규모(수출입 의 합)로 나눈 값으로, 수출에서 상대적 비교우위를 나타내는 지표임. 이는 - 1과 1 사이의 값을 가지며 0에서 - 1로 갈수록 수입특화의 정도가 높아지며, 0에서 1로 갈수록 수출특화의 정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해석됨.

T S I = X-M

; X, M :수출액 및 수입액

X+M

(8)

◦ 한편, 무역특화지수를 활용하여 경쟁력의 동태적 변화를 살펴보면, 2000~

2 0 0 7년 기간 중 우리나라의 대중국 교역에서 경쟁력이 강화된 품목의 수출 비중은 6 2 . 4 %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남.

- 2 0 0 0년에 수출특화품목이면서 2 0 0 7년에 경쟁력이 더욱 강화된 품목의 수출비중은 3 8 . 6 %이고, 수입특화품목에서 수출특화품목으로 전환된 품

<표 5> 대중국 무역특화지수 추이

자료:한국기계산업진흥회, 부품소재 무역통계 D B에 의거하여 계산.

1 9 9 5 2 0 0 0 2 0 0 3 2 0 0 4 2 0 0 5 2 0 0 6 2 0 0 7 2 0 0 8

섬유소재 -0.33 -0.01 0.00 0.00 -0.01 -0.09 -0.13 -0.11

화학소재 0.66 0.71 0.70 0.72 0.69 0.65 0.60 0.56

제1차금속 -0.21 0.21 0.30 0.10 -0.01 -0.09 -0.33 -0.53

일반기계부품 0.65 0.59 0.54 0.50 0.41 0.33 0.28 0.33

컴퓨터부품 -0.20 0.00 0.43 0.49 0.18 -0.03 0.02 -0.03

전자부품 0.26 0.22 0.33 0.41 0.49 0.46 0.44 0.34

수송기계부품 0.56 0.08 0.86 0.89 0.85 0.74 0.52 0.38

부품소재 전체 0.20 0.28 0.37 0.38 0.36 0.30 0.23 0.14

소재 전체 0.19 0.44 0.45 0.38 0.33 0.26 0.12 -0.04

부품 전체 0.26 0.11 0.31 0.38 0.38 0.33 0.30 0.26

<표 6> 부품소재산업별 대중국 경쟁력 변화

단위:%

자료:UN, Comtrade Trade Database에 의거하여 계산.

자주:1) 비중은 해당 경쟁력 변화군에 속하는 품목의 대중 수출이 각 산업의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가리킴.

자주:2) P 1:수출특화 강화, P2:수출특화 전환, P3:수입특화 약화.

Q 1:수출특화 약화, Q2:수입특화 전환, Q3:수입특화 심화.

경쟁력 강화 경쟁력 약화

P 1 P 2 P 3 합계 Q 1 Q 2 Q 3 합계

섬유소재 10.9 1.9 20.6 33.4 33.2 8.4 24.7 66.3

화학소재 58.4 1.7 6.4 66.5 23.1 4.8 5.2 33.1

제1차금속 6.9 7.9 5.2 20.0 18.5 16.6 44.7 79.8

일반기계부품 7.1 8.2 3.8 19.1 53.6 14.7 12.5 80.9

컴퓨터부품 57.1 42.9 0.0 100.0 0.0 0.0 0.0 0.0

전자부품 57.8 22.6 4.1 84.4 10.1 0.7 4.7 15.5

수송기계부품 67.9 5.7 5.0 78.6 9.5 3.4 7.5 20.4

부품소재 전체 38.6 17.2 6.6 62.4 17.0 6.0 14.5 37.4

소재 전체 29.2 4.6 7.2 41.0 23.2 11.4 24.1 58.7

부품 전체 43.4 23.7 6.3 73.4 13.7 3.2 9.5 26.4

(9)

목의 수출비중은 1 7 . 2 %임.

- 반면, 경쟁력이 약화된 품목의 수출비중은 3 7 . 4 %인데, 그 중 절반 정도는 수출특화품목이면서 경쟁력이 약화된 품목이며, 수출특화품목에서 수입 특화품목으로 전환된 품목의 수출비중은 6 . 0 %에 불과함.

◦ 이를 산업별로 살펴보면, 2000~2 0 0 7년 기간 중 대중국 교역에서 경쟁력 이 강화된 산업은 컴퓨터부품, 전자부품, 수송기계부품, 화학소재 등이며, 섬유소재, 고무・플라스틱제품, 제1차금속제품, 일반기계부품, 정밀기기부품 등은 경쟁력이 약화됨.

부품소재산업의 일본시장 점유율, 한국은 정체인 반면 중국은 급성장

◦ 우리나라의 대일본 부문별 부품소재 수출비중은 2 0 0 8년에 전자부품이 전 체 수출의 2 7 . 9 %로 가장 크고, 그 다음은 제1차금속제품 20.4%, 화학소재 14.6%, 일반기계부품 1 4 . 6 %의 순임.

- 전자부품은 1 9 9 5년에 대일본 부품소재 수출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였으 나, 2000년대에 들어와 일본 전자업체들이 중국 등 해외로 생산설비를 이전하면서 그 비중이 크게 하락하였음.

- 우리나라의 대일본 부품소재 수출에서 차지하는 소재의 비중은 2 0 0 0년 2 6 . 7 %에서 2 0 0 5년 30.7%, 2008년 4 1 . 6 %로 계속 상승하고 있음.

◦ 우리나라의 부품소재 일본시장 점유율은 2 0 0 0년 8 . 5 %에서 2 0 0 5년 8 . 9 % , 2 0 0 8년 8 . 6 %로 거의 정체 상태인 반면, 중국의 일본시장 점유율은 2 0 0 0년 1 1 . 7 %에서 2 0 0 5년 23.7%, 2008년 2 5 . 6 %로 계속 상승하고 있음.

- 이처럼 대부분 국가의 일본시장 점유율이 정체 내지 하락하고 중국만 큰 폭으로 상승한 것은 일본기업들이 중국투자를 확대하면서 역수입이 크게 늘어난 데다, 중국 부품소재의 급성장으로 중저가 제품의 대일 수출이 크 게 늘어났기 때문임.

◦ 한편, 무역특화지수를 통해 대일 경쟁력을 살펴보면, 2008년에 우리나라는 부품소재 모든 산업에서 일본에 대해 경쟁력이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음.

(10)

- 특히, 정밀기기부품(무역특화지수:-0.78), 비금속광물제품( - 0 . 7 1 ) , 고무・플라스틱제품(-0.66), 전기기계부품(-0.54), 제1차금속제품 (-0.47), 화학소재(-0.46), 수송기계부품(-0.43) 등에서 대일본 경쟁 력이 상당히 취약함.

<표 7> 대일 무역특화지수 추이

자료:한국기계산업진흥회, 부품소재 무역통계 D B에 의거하여 계산.

1 9 9 5 2 0 0 0 2 0 0 3 2 0 0 4 2 0 0 5 2 0 0 6 2 0 0 7 2 0 0 8

섬유소재 0.14 -0.11 -0.15 -0.12 -0.05 -0.01 -0.08 -0.05

화학소재 -0.72 -0.64 -0.62 -0.64 -0.59 -0.55 -0.57 -0.46

제1차금속 -0.38 -0.49 -0.59 -0.49 -0.47 -0.50 -0.45 -0.47

일반기계부품 -0.80 -0.60 -0.48 -0.45 -0.38 -0.39 -0.38 -0.33

컴퓨터부품 -0.48 0.25 -0.04 0.02 -0.04 -0.14 -0.13 -0.10

전자부품 -0.11 -0.31 -0.33 -0.30 -0.20 -0.03 -0.16 -0.29

수송기계부품 -0.82 -0.62 -0.56 -0.49 -0.48 -0.42 -0.43 -0.43

부품소재 전체 -0.47 -0.42 -0.48 -0.45 -0.42 -0.36 -0.41 -0.43

소재 전체 -0.53 -0.52 -0.59 -0.56 -0.54 -0.54 -0.54 -0.50

부품 전체 -0.43 -0.37 -0.41 -0.39 -0.34 -0.24 -0.31 -0.37

<표 8> 부품소재 산업별 대일본 경쟁력 변화

단위:%

자료:UN, Comtrade Trade Database에 의거하여 계산.

자주:1) 비중은 해당 경쟁력 변화군에 속하는 품목의 대중 수출이 각 산업의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가리킴.

자주:2) P 1:수출특화 강화, P2:수출특화 전환, P3:수입특화 약화.

Q 1:수출특화 약화, Q2:수입특화 전환, Q3:수입특화 심화.

경쟁력 강화 경쟁력 약화

P 1 P 2 P 3 합계 Q 1 Q 2 Q 3 합계

섬유소재 39.8 5.9 17.3 63.0 7.8 0.1 29.1 37.0

화학소재 6.5 7.1 24.7 38.3 6.1 0.0 55.6 61.7

제1차금속 11.8 4.7 26.8 43.3 8.2 0.1 48.3 56.7

일반기계부품 10.4 6.3 73.6 90.3 1.9 0.5 7.3 9.7

컴퓨터부품 70.8 29.2 0.0 100.0 0.0 0.0 0.0 0.0

전자부품 0.0 66.4 8.4 74.8 0.4 0.0 24.8 25.2

수송기계부품 2.4 21.7 49.0 73.1 6.6 0.4 19.9 26.9

부품소재 전체 7.1 23.8 30.9 61.8 5.7 0.1 32.3 38.2

소재 전체 8.3 4.8 23.5 36.7 10.4 0.1 52.9 63.3

부품 전체 6.4 35.5 35.4 77.3 2.8 0.2 19.6 22.7

(11)

- 소재부문은 2 0 0 0년 이후 무역특화지수가 - 0 . 5~-0.6 사이에 머물러 대 일 경쟁력의 취약성이 지속되고 있는 반면, 부품부문은 약간이나마 개선 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음.

◦ 2 0 0 0 ~ 2 0 0 7년 기간 중 한국의 대일본 부품소재 수출에서 경쟁력이 강화된 품목의 수출비중은 6 1 . 8 %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음.

- 그러나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동 기간 중 수입특화품목에서 수입특화의 정도가 약화된 경우가 3 0 . 9 %나 차지한 반면, 수출특화품목에서 경쟁력 이 더욱 강화된 경우는 7 . 1 %에 불과하였음.

- 반면, 한국의 대일본 부품소재 수출에서 경쟁력이 약화된 품목의 수출비 중은 3 8 . 2 %에 달하였는데, 그 대부분은 수입특화품목의 경쟁력 약화에 기인한 것으로 나타났음.

◦ 동 기간 중 대일본 교역에서 경쟁력이 강화된 산업은 컴퓨터부품, 일반기계 부품, 전자부품, 수송기계부품, 섬유소재 등임.

제품차별화・고급화 등 산업고도화로 부품소재산업의 경쟁력을 키워야

◦ 한・중・일 3국의 부품소재산업 경쟁력 분석 결과, 우리나라 부품소재산업은 경쟁력이 일본에 뒤처진 상황하에서 중국과도 치열한 경쟁을 하고 있어 대 응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평가됨.

- 일본의 경우 세계시장 점유율이 하락하고는 있으나, 중국으로의 설비이 전이 부분적인 요인인 데다 지속적인 기술혁신으로 여전히 한국 및 중국 보다는 높은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음.

- 중국은 전자부품(반도체), 컴퓨터부품, 일반기계부품 등 부품분야의 경쟁 력을 급속히 강화하면서 우리나라 입장에서는 일본보다는 오히려 중국과 의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임.

- 세계시장에서 한・일, 한・중 간 경쟁관계의 분석 결과도 일본보다는 중국 이 오히려 우리나라 부품소재의 수출에 더 위협적인 것으로 나타남.

◦ 중국 부품소재산업의 성장은 한국, 일본, 선진국들이 중국으로 생산기지를

(12)

본 자료는 산업연구원 홈페이지www.kiet.re.kr을 통하여 항상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 발간된 산업경제정보 및 더욱 상세한 관련 보고서도 보실 수 있습니다.

이전하고, 중국의 외국인투자 유치 노력이 완제품에서 점차 부품소재 쪽으 로 이전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으로 추정됨.

- 중국은 기존의 단순 제조단계를 넘어 핵심 부품소재에서 기술경쟁력을 기반으로 한 고부가가치 분야 중심의 산업구조를 정착시키는 데 주력하 고 있음.

- 선진기업의 생산기지 이전과 전략적인 외국인 투자 유치정책이 가속화되 면서 선진기술을 흡수하고 기술표준화를 추진하는 등 기술추격에 박차를 가함으로써 향후 더욱 위협적인 상대로 부상할 전망임.

◦ 따라서, 우리나라는 일본, 중국 제품과의 차별화를 모색하고 고부가가치화 를 촉진하기 위해 핵심 부품소재 개발과 제품의 고급화에 노력해야 함.

- 우리가 취약한 설계기술과 핵심부품의 원천기술 확보, 차세대 신기술 개 발 등으로 고부가가치 신제품의 발굴・육성이 필요함.

- 특히, 원천기술 확보를 위해서는 기업규모의 영세성에서 파생되는 대규 모 R&D 투자여력 부족을 먼저 극복해야 함.

- 섬유, 제1차금속, 고무・플라스틱 등은 고가품 위주로 생산원가 절감을 통 한 가격경쟁력 제고와 설계, 디자인, 품질, 브랜드 등 비가격경쟁력 제고 를 통한 제품혁신과 차별화 전략을 추진해야 함.

이 원 복

(부연구위원・동향분석실) wblee@kiet.re.kr

(02-3299-3126)

신 현 수

(연구위원・동향분석실) ktshs@kiet.re.kr

(02-3299-3140)

참조

관련 문서

농가도급경영제와 쌍층경영제도의 실시는 중국 농촌개혁의 핵심으로서 중국 농촌의 안정적인 발전의 기초가 됩니다... 둘째는

2) FTA 수출 특혜관세 활용률은 전체 수출액에서 원산지 증명서가 첨부된 수출액을 기준으로 산출함.. 2) FTA 수출 특혜관세 활용률은 전체 수출액에서

로 예상되는데 이러한 FTA의 무역규모 효과는 각국의 에너지부문 지역별 수출변화에서 뚜렷이 나타나고 있 는데, &lt;표 5&gt;에서 알 수 있듯이 한국의 지역별수출 변

셋째,자기지향 완벽주의와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연령의 조절효과 분석 결과,자 기지향 완벽주의와 학교적응과의 관계에 있어 연령이 조절효과를

The study expounds the differences in the rearing attitudes between Yanbian and Korean mothers and Jeju-do mothers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of

담양 죽로차의 문헌적 고찰은 생육환경에 따른 죽로차의 유래를 살펴보기 위해서 대 나무산지를 중심으로 한・중・일 죽로차의 역사를 비교하였다.담양 죽로차에 관해

Ÿ 인천은 4개 차원의 경쟁력 분석 결과 다소 낮은 점수를 나타내고 있으며, 마이스 질적 성장 증진에서는 호치민과 같은 점수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지역 연계

최근 정부와 기업계는 한・일 FTA의 양허안 마련을 위한 실태조사를 벌이는 등 나름대로 성공 적인 FTA의 체결을 위해 동분서주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결론부터